본 연구에서 경제문제, 도덕적 쟁점, 그리고 이라크전쟁에 대한 평가가 양극화된 정당지지로 연결되는 정치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선 미국 사회의 이념적 갈등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6126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경제문제, 도덕적 쟁점, 그리고 이라크전쟁에 대한 평가가 양극화된 정당지지로 연결되는 정치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선 미국 사회의 이념적 갈등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 경제문제, 도덕적 쟁점, 그리고 이라크전쟁에 대한 평가가 양극화된 정당지지로 연결되는 정치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선 미국 사회의 이념적 갈등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새퍼․클라케트(Shafer and Claggett, 1995)와 카민스․엔슬리․와그너(Carmines, Ensley, and Wagner, 2005)의 연구는 미국 사회의 이념적 갈등구조가 1930년대 뉴딜시기부터 형성되어온 경제-복지 쟁점차원과 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발전되어온 사회문화적 쟁점차원의 2차원 구조로 발전되어왔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2003년 이라크전쟁과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외교정책차원이 더해져 현재 미국사회의 갈등구조는 경제, 문화, 그리고 외교라는 이념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여기에 앱라모비츠․사운더스(Abramowitz and Saunders, 1998)의 정당지지의 이념적 재편성(ideological realignment) 이론은 좋은 이론적 모형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197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미국 유권자들의 이념성향과 정당일체감은 느슨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1980년 이후 민주․공화 양당의 정당 지도자들과 활동가들의 이념적 양극화의 심화는 유권자들로 하여금 정당 간 이념적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게끔 했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이념적으로 가까운 정당으로 자신의 정당일체감을 지니는 세속적인 재편성(secular realignment)을 경험했고, 따라서 정당일체감과 이념정향 사이의 조응도(congruity)의 증가와 함께 투표선택에 있어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따라서 두 이론틀의 결합은 2008년 대선에서 경제, 도덕적 쟁점, 그리고 이라크전쟁이라는 세 가지 차원의 이념적 갈등구조가 유권자의 정당지지와 투표선택에서 각 정책차원이 내포하는 이념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발견될 것이라는 가설을 성립하게 한다.
본 연구는 세 쟁점이 대선경쟁에서 자아내는 이념적 갈등구조를 복원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간이론(spatial theory)을 이용하고자 한다. 공간이론은 미국 대선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선거분석에서 유용한 분석틀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즉 본 연구는 공간이론을 이용하여 2차원 이념공간에 후보자와 정당의 위치를 복원하고, 경제적 쟁점, 도덕적 쟁점, 그리고 이라크 전쟁에 대한 유권자들의 평가가 어떠한 사회적 균열 형태를 띠며 정당 및 후보지지로 연결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