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鹿菴 權哲身의 천주교 수용과 그 성격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사회에서 鹿菴 權哲身의 천주교 수용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는 星湖 李瀷의 학통을 이을 인물로 주목받고 있었으며 ‘鹿菴系’라는 학파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제자들이 한국천주교회를 창설하고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권철신이 西學이라는 학문적 차원을 넘어 천주교라는 종교 수용에까지 나아 간 데에는 먼저 그의 학문적 성향으로 볼 때 진보적 개혁적 색채가 두드러졌다. 李瀷과 李秉休로 이어지는 학문성향은 경전에 대한 자주적 해석을 통해 스스로 얻는 지식 즉 ‘自得之學’에 바탕을 두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와 함께 ‘知行合一’을 강조하는 陽明學을 수용함으로써 권철신의 학문은 창조적이며 실천적 방향으로 흐르고 있었다. 이러한 학문적 성향은 그의 문도들을 이끌고 走魚寺 講學과 같은 모임을 통해 시대적 고민과 함께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권철신을 비롯한 실학자들은 그 시대에 절망하고 있었다. 18세기 말 민중의 의식은 성장하고 있었지만 지배층이 그것을 감당할 수 없었던 통치력의 부재에 대한 반감, 피폐한 민들의 삶에 대한 성찰로 고민하고 있었다. 권철신은 그 시점에 서양의 과학기술, 서양의 천주교를 병든 시대를 치유할 대안으로 생각하게 된다. 서양의 과학기술이 제공하는 효율성과 함께 천주교는 종교로서의 매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新文化 受容 運動’의 측면 또는 ‘補儒’的 차원의 수용을 넘어서는, 천주교 교리를 조선의 지배이념으로 하고 서양의 제도와 과학기술로 나라를 발전시키려는 ‘유교적 한계 극복’ 차원의 천주교를 수용함으로써 백성의 삶을 행복하게 하려는 이상사회를 꿈꾼 것이다. 권철신의 천주교 수용은 종교적 측면과 개혁사상의 차원이 혼재된 상태였다고 할 수 있으며 종교적 측면 보다는 개혁적 측면이 더 강한 성격을 띄고 있었다고 할 것이다.
      번역하기

      조선 후기사회에서 鹿菴 權哲身의 천주교 수용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는 星湖 李瀷의 학통을 이을 인물로 주목받고 있었으며 ‘鹿菴系’라는 학파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

      조선 후기사회에서 鹿菴 權哲身의 천주교 수용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는 星湖 李瀷의 학통을 이을 인물로 주목받고 있었으며 ‘鹿菴系’라는 학파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제자들이 한국천주교회를 창설하고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권철신이 西學이라는 학문적 차원을 넘어 천주교라는 종교 수용에까지 나아 간 데에는 먼저 그의 학문적 성향으로 볼 때 진보적 개혁적 색채가 두드러졌다. 李瀷과 李秉休로 이어지는 학문성향은 경전에 대한 자주적 해석을 통해 스스로 얻는 지식 즉 ‘自得之學’에 바탕을 두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와 함께 ‘知行合一’을 강조하는 陽明學을 수용함으로써 권철신의 학문은 창조적이며 실천적 방향으로 흐르고 있었다. 이러한 학문적 성향은 그의 문도들을 이끌고 走魚寺 講學과 같은 모임을 통해 시대적 고민과 함께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권철신을 비롯한 실학자들은 그 시대에 절망하고 있었다. 18세기 말 민중의 의식은 성장하고 있었지만 지배층이 그것을 감당할 수 없었던 통치력의 부재에 대한 반감, 피폐한 민들의 삶에 대한 성찰로 고민하고 있었다. 권철신은 그 시점에 서양의 과학기술, 서양의 천주교를 병든 시대를 치유할 대안으로 생각하게 된다. 서양의 과학기술이 제공하는 효율성과 함께 천주교는 종교로서의 매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新文化 受容 運動’의 측면 또는 ‘補儒’的 차원의 수용을 넘어서는, 천주교 교리를 조선의 지배이념으로 하고 서양의 제도와 과학기술로 나라를 발전시키려는 ‘유교적 한계 극복’ 차원의 천주교를 수용함으로써 백성의 삶을 행복하게 하려는 이상사회를 꿈꾼 것이다. 권철신의 천주교 수용은 종교적 측면과 개혁사상의 차원이 혼재된 상태였다고 할 수 있으며 종교적 측면 보다는 개혁적 측면이 더 강한 성격을 띄고 있었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acceptance of the Catholic Church by Shun means something special. He was regarded as a person who would succeed in his academic career, and was forming a school called ‘Nokam-gye(鹿庵系).’ This is all the more so in that his students creat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played a leading role. The fact that Kwon went beyond the academic dimension of Kwon Chul-shin to accept Catholicism was marked by progressive reform in view of his academic background. The academic inclination, which leads to profit and profit, has moved toward pursuing novelty based on self-explanatory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namely ‘self absorption(自得之學)’. At the same time, Kwon"s studies were flowing in a creative and practical direction by accepting the idea of emphasizing knowledge and behavior. This academic tendency was to lead his literary followers and seek to find a solution with an age-old thought through a meeting like Jui-sa Instructor(走魚寺 講學).
      The real scientists, including Kwon Chul-shin, were in despair at the time. People`s consciousness was growing in the late 18th century, but they were agonizing over the lack of control that the ruling class couldn`t handle, and reflections on the lives of the impoverished people. At that point, Kwon thought of Western technology and Catholicism as an alternative to curing the ailing era. Along with the efficiency provided by Western technology, Catholicism was well equipped with the charm of religion. In the process, Catholicism, which goes beyond the accept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n idealistic Catholicism that seeks to develop the nation with the Western system and technology. Kwon`s acceptance of Catholicism was a mixture of religious and reformist ideas, and he was said to have had a stronger progressive nature than religious.
      번역하기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acceptance of the Catholic Church by Shun means something special. He was regarded as a person who would succeed in his academic career, and was forming a school called ‘Nokam-gye(鹿庵系).’ This is ...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acceptance of the Catholic Church by Shun means something special. He was regarded as a person who would succeed in his academic career, and was forming a school called ‘Nokam-gye(鹿庵系).’ This is all the more so in that his students creat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played a leading role. The fact that Kwon went beyond the academic dimension of Kwon Chul-shin to accept Catholicism was marked by progressive reform in view of his academic background. The academic inclination, which leads to profit and profit, has moved toward pursuing novelty based on self-explanatory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namely ‘self absorption(自得之學)’. At the same time, Kwon"s studies were flowing in a creative and practical direction by accepting the idea of emphasizing knowledge and behavior. This academic tendency was to lead his literary followers and seek to find a solution with an age-old thought through a meeting like Jui-sa Instructor(走魚寺 講學).
      The real scientists, including Kwon Chul-shin, were in despair at the time. People`s consciousness was growing in the late 18th century, but they were agonizing over the lack of control that the ruling class couldn`t handle, and reflections on the lives of the impoverished people. At that point, Kwon thought of Western technology and Catholicism as an alternative to curing the ailing era. Along with the efficiency provided by Western technology, Catholicism was well equipped with the charm of religion. In the process, Catholicism, which goes beyond the accept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n idealistic Catholicism that seeks to develop the nation with the Western system and technology. Kwon`s acceptance of Catholicism was a mixture of religious and reformist ideas, and he was said to have had a stronger progressive nature than religio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학문 성향과 西學 접촉
      • Ⅲ. 鹿菴系 형성과 走魚寺 講學
      • Ⅳ. 천주교 수용과 그 성격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학문 성향과 西學 접촉
      • Ⅲ. 鹿菴系 형성과 走魚寺 講學
      • Ⅳ. 천주교 수용과 그 성격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