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착하다'의 어휘사 = The lexical history of korean word 'chak-hada[착하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5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lexical history of 'chak-hada[착하다]'. The paper dealt with the provenance of 'chak-hada[착하다]' by analyzing the literary appearance of 'chak-hada[착하다]' and a variety of changes in lexical me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lexical history of 'chak-hada[착하다]'. The paper dealt with the provenance of 'chak-hada[착하다]' by analyzing the literary appearance of 'chak-hada[착하다]' and a variety of changes in lexical meanings.
      'chak-hada[착하다]' is first appeared in Seogungilgi[셔궁일긔] and Kyechukilgi[계튝일기] as with '착'. Many of the linguistic evidences are showed that these books are assisted or recreated at least after 1600 years. Therefore, this paper has examined that the first appearance of '착다' found in Manchu language which has a great effect on Middle Korean is possible. Especially, like the word phrase 'cak sere'. and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cak sere' was changed the meaning from 'commendable, peculiar, strict' to 'lift up to adult's expectations' go through 'be worth satisfying one's expectations' which is the meaning of Modern Korean.
      Going forward, enter into Modern Korean 'chak-hada[착하다]' has undergone a variety of changes in lexical meanings. The paper pointed out the opaqueness of incomplete root 'Chak[착]' in 'chak-hada[착하다]' for the important cause of the meaning cha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글
      • 2. 최초의 기록
      • 3. 만주어의 'cak sere'와 중세국어 '착ᄒᆞ다'
      • 4. '착하다'의 의미 확장
      • 5. 결론
      • 1. 머리글
      • 2. 최초의 기록
      • 3. 만주어의 'cak sere'와 중세국어 '착ᄒᆞ다'
      • 4. '착하다'의 의미 확장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광, "형용사 ‘착하-’의 구조 변화에 대한 일고찰"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17-137, 2009

      2 조항범, "현대국어의 의미 변화에 대하여(2) -형용사, 동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81) : 85-112, 2012

      3 김철규, "한국어 형용사 ‘착한’의 연어(collocation)에 관한 단기 통시적 고찰" 한국언어과학회 19 (19): 65-87, 2012

      4 홍기원, "인목대비의 서궁일기" 민속원 2004

      5 김민수, "신국어학" 일조각 1982

      6 민영대, "서궁일기에 삽입되어 있는 서간의 유형과 기능" 한남어문학회 23 : 5-30, 1998

      7 김양진, "만주어사전 『어제청문감』(1780)의 사전학적, 언어학적 의의" 한국사전학회 (24) : 33-66, 2014

      8 정병설, "계축일기의 작가문제와 역사소설적 성격" 고전문학회 15 : 149-171, 1999

      9 김양진, "『御製淸文鑑』 「天部」 校勘 및 譯註 硏究" 인문학연구원 (25) : 121-160, 2014

      1 김명광, "형용사 ‘착하-’의 구조 변화에 대한 일고찰"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17-137, 2009

      2 조항범, "현대국어의 의미 변화에 대하여(2) -형용사, 동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81) : 85-112, 2012

      3 김철규, "한국어 형용사 ‘착한’의 연어(collocation)에 관한 단기 통시적 고찰" 한국언어과학회 19 (19): 65-87, 2012

      4 홍기원, "인목대비의 서궁일기" 민속원 2004

      5 김민수, "신국어학" 일조각 1982

      6 민영대, "서궁일기에 삽입되어 있는 서간의 유형과 기능" 한남어문학회 23 : 5-30, 1998

      7 김양진, "만주어사전 『어제청문감』(1780)의 사전학적, 언어학적 의의" 한국사전학회 (24) : 33-66, 2014

      8 정병설, "계축일기의 작가문제와 역사소설적 성격" 고전문학회 15 : 149-171, 1999

      9 김양진, "『御製淸文鑑』 「天部」 校勘 및 譯註 硏究" 인문학연구원 (25) : 121-16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