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라 퐁텐 작품에 나타난 "사랑"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1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전주의 작가 장 드 라 퐁텐(Jean de La Fontaine 1621-1695)은 17세기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프랑스를 대표하는 우화작가이며, 그가 남긴 많은 작품들은 시대와 사회를 뛰어넘어 독자들에게 많은 감동과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본 연구자가가 이번 연구를 위해 선택한 그의 작품은 그동안 『우화집』에 밀려 덜 주목받았던 바로 『프쉬케와 큐피동의 사랑(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이다. 이 작품은 그의 많은 작품들 중 가장 詩적이며 동시에 가장 소설적이다 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669년 『아도니스(Adonis)』와 더불어 발표된 소설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은 이미 1668년 발표한 우화 제 6권의 에필로그를 통해 이듬해에 자신의 소설이 발표될 것임을 암시했었다. 라 퐁텐은 자신의 후원자들 중 부이용 공작부인(la duchesse de Bouillon)에게 이 작품을 헌정했으며, 그는 이 소설의 서문을 통해 아풀레이우스로부터 (Métamorphoses d'Apulée. livre IV-VI) 영감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는 자신의 작품이 원전에 예속되기를 거부하고, 단순한 번역이나 모방이 아닌 새로운 창조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당대의 문학적 유행에 맞게 썼음을 알렸다. 고대 작품에서 주제를 차용하고, 번역이 제2의 창작으로 유행처럼 번졌던 시대에 라 퐁텐이 선택한 이 소설 또한 아풀레이우스의 일명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 속에 삽입된 큐피드와 프쉬케의 사랑을 라 퐁텐적인 글쓰기로 재탄생한 작품이다. 먼저 작품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이 두 작품을 비교하며 원전을 확인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한 결과물을 통해 라 퐁텐적인 글쓰기를 이해하고,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인물들의 구도 속에서 이 연구의 주제에 해당하는 ‘사랑’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이 소설에 나타난 ‘사랑’에 대한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공간’이 ‘사랑’에 미치는 영향이다. 먼저 외부 환경에 따라 ‘사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기위해 ‘열린 공간’으로 등장하는 궁전과 정원이라는 장소가 ‘사랑’에 있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분석하고, 더불어 폐쇄적이고 은밀한 공간으로 그려지는 동굴과 침실이 사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두 번째로는 프쉬케와 큐피동이라는 두 인물을 통해 나타난 사랑의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사랑을 얻기 위한 프쉬케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는 반대로 어머니 비너스의 명령에 복종하고 마마보이적인 성향 속에서 소극적이고 우유부단한 모습으로 일관된 큐피동과 우리는 직면하게 될
      번역하기

      고전주의 작가 장 드 라 퐁텐(Jean de La Fontaine 1621-1695)은 17세기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프랑스를 대표하는 우화작가이며, 그가 남긴 많은 작품들은 시대와 사회를 뛰어넘어 독자들에게 많은 ...

      고전주의 작가 장 드 라 퐁텐(Jean de La Fontaine 1621-1695)은 17세기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프랑스를 대표하는 우화작가이며, 그가 남긴 많은 작품들은 시대와 사회를 뛰어넘어 독자들에게 많은 감동과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본 연구자가가 이번 연구를 위해 선택한 그의 작품은 그동안 『우화집』에 밀려 덜 주목받았던 바로 『프쉬케와 큐피동의 사랑(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이다. 이 작품은 그의 많은 작품들 중 가장 詩적이며 동시에 가장 소설적이다 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669년 『아도니스(Adonis)』와 더불어 발표된 소설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은 이미 1668년 발표한 우화 제 6권의 에필로그를 통해 이듬해에 자신의 소설이 발표될 것임을 암시했었다. 라 퐁텐은 자신의 후원자들 중 부이용 공작부인(la duchesse de Bouillon)에게 이 작품을 헌정했으며, 그는 이 소설의 서문을 통해 아풀레이우스로부터 (Métamorphoses d'Apulée. livre IV-VI) 영감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는 자신의 작품이 원전에 예속되기를 거부하고, 단순한 번역이나 모방이 아닌 새로운 창조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당대의 문학적 유행에 맞게 썼음을 알렸다. 고대 작품에서 주제를 차용하고, 번역이 제2의 창작으로 유행처럼 번졌던 시대에 라 퐁텐이 선택한 이 소설 또한 아풀레이우스의 일명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 속에 삽입된 큐피드와 프쉬케의 사랑을 라 퐁텐적인 글쓰기로 재탄생한 작품이다. 먼저 작품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이 두 작품을 비교하며 원전을 확인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한 결과물을 통해 라 퐁텐적인 글쓰기를 이해하고,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인물들의 구도 속에서 이 연구의 주제에 해당하는 ‘사랑’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이 소설에 나타난 ‘사랑’에 대한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공간’이 ‘사랑’에 미치는 영향이다. 먼저 외부 환경에 따라 ‘사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기위해 ‘열린 공간’으로 등장하는 궁전과 정원이라는 장소가 ‘사랑’에 있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분석하고, 더불어 폐쇄적이고 은밀한 공간으로 그려지는 동굴과 침실이 사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두 번째로는 프쉬케와 큐피동이라는 두 인물을 통해 나타난 사랑의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사랑을 얻기 위한 프쉬케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는 반대로 어머니 비너스의 명령에 복종하고 마마보이적인 성향 속에서 소극적이고 우유부단한 모습으로 일관된 큐피동과 우리는 직면하게 될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an de La Fontaine, a writer of the Classical era, is a representative French fable writer until now, not only in the 17th century. Many of his works brought heart moving emotions and pleasures to the readers transcending time and place. This study aims to study his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 a work which has attracted less notice than his Fables. However, this work has been praised as the most poetic and the most romantic among his many works.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 a novel which was published along with Adonis in 1669, was already implied to be published in the next year at the epilogue of the 6th chapter in Fables published in 1668 by the writer. Jean de La Fontaine dedicated the work to la duchesse de Bouillon among many patrons. On the preface, he stated that he was inspired to write this book by Métamorphoses d'Apulée. livre IV-VI of Lucius Apuleisu. When writing the book, he refused to be subordinate to the original, and tried to create a new work, not just a simple translation nor an imitation. Also, as he stated, he followed the popular styles of literature in those days. At that time, adopting themes from the ancient works and then translating it was popular and this kind of writing process was considered as the 2nd creation. Jean de La Fontain
      번역하기

      Jean de La Fontaine, a writer of the Classical era, is a representative French fable writer until now, not only in the 17th century. Many of his works brought heart moving emotions and pleasures to the readers transcending time and place. This study a...

      Jean de La Fontaine, a writer of the Classical era, is a representative French fable writer until now, not only in the 17th century. Many of his works brought heart moving emotions and pleasures to the readers transcending time and place. This study aims to study his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 a work which has attracted less notice than his Fables. However, this work has been praised as the most poetic and the most romantic among his many works.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 a novel which was published along with Adonis in 1669, was already implied to be published in the next year at the epilogue of the 6th chapter in Fables published in 1668 by the writer. Jean de La Fontaine dedicated the work to la duchesse de Bouillon among many patrons. On the preface, he stated that he was inspired to write this book by Métamorphoses d'Apulée. livre IV-VI of Lucius Apuleisu. When writing the book, he refused to be subordinate to the original, and tried to create a new work, not just a simple translation nor an imitation. Also, as he stated, he followed the popular styles of literature in those days. At that time, adopting themes from the ancient works and then translating it was popular and this kind of writing process was considered as the 2nd creation. Jean de La Fontai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