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랍의 봄 이후 중동발 이주와 한국 내 예멘 및 아프가니스탄 난민 지위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Post-Arab Spring Migration of the Middle East and the Status of Yemeni and Afghan Asylum-seeker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4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urmoil of the decade after the 2011 Arab Spring has changed the migration patterns of MENA that had long been a frequent phenomena of the region since early human civilization. Traditional dispersal was concentrated between MENA countries, and from MENA countries to Europe or North America. However, since 2011, as migration from the Middle East hasbeen dealt as human security and national security agendas of host countries, migration destinations for nationals from MENA countries have diversified.
      T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increased from MENA countries to Korea after the Arab Spring. Therefore, based on international law, this study examines how to understand migration from the MENA countries after the Arab Spring and analyses the influx of Yemenis and Afghans which had a great impact on Korean society in 2018 and 2021. Through the legal analysis on the settlement of special contributors of Afghanistan and humanitarian stay permit to Yemeni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possible policy recommendations on refugees and immigration policies of Korea.
      번역하기

      The turmoil of the decade after the 2011 Arab Spring has changed the migration patterns of MENA that had long been a frequent phenomena of the region since early human civilization. Traditional dispersal was concentrated between MENA countries, and fr...

      The turmoil of the decade after the 2011 Arab Spring has changed the migration patterns of MENA that had long been a frequent phenomena of the region since early human civilization. Traditional dispersal was concentrated between MENA countries, and from MENA countries to Europe or North America. However, since 2011, as migration from the Middle East hasbeen dealt as human security and national security agendas of host countries, migration destinations for nationals from MENA countries have diversified.
      T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increased from MENA countries to Korea after the Arab Spring. Therefore, based on international law, this study examines how to understand migration from the MENA countries after the Arab Spring and analyses the influx of Yemenis and Afghans which had a great impact on Korean society in 2018 and 2021. Through the legal analysis on the settlement of special contributors of Afghanistan and humanitarian stay permit to Yemeni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possible policy recommendations on refugees and immigration policies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랍의 봄 이후 10년의 혼란기는 오랜 세기 전부터 MENA 지역에서 빈번히 행해지던 이주 행태까지 변화시켰다. 기존의 이산은 MENA 지역 국가 간, MENA 지역 국가에서 유럽으로 혹은 북미 지역으로 집중되었었다. 그러나 2011년 이후부터는 중동발 이주 문제가 수용국의 인간안보, 국가 안보의제로 다루어지고, 기존의 주요 MENA 발 이주민 수용국의 이민 정책이 엄격해짐에 따라, MENA 지역 국가 국민의 이주 종착지는 다변화되었다. 아랍의 봄 이후 대한민국으로 유입되는 MENA 지역국가 국민의 증가가 그 실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법을 바탕으로 아랍의 봄 이후 벌어진 중동발 민족이산, 특히 경제적·정치적 또는 전쟁 난민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조망하고, 2018년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던 제주 예멘 인도적 체류자 유입 사태와 2021년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정착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중동 지역 이주민들의 수용에 있어 한국의 난민 및 이민 정책의 보완점 및 함의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아랍의 봄 이후 10년의 혼란기는 오랜 세기 전부터 MENA 지역에서 빈번히 행해지던 이주 행태까지 변화시켰다. 기존의 이산은 MENA 지역 국가 간, MENA 지역 국가에서 유럽으로 혹은 북미 지역으...

      아랍의 봄 이후 10년의 혼란기는 오랜 세기 전부터 MENA 지역에서 빈번히 행해지던 이주 행태까지 변화시켰다. 기존의 이산은 MENA 지역 국가 간, MENA 지역 국가에서 유럽으로 혹은 북미 지역으로 집중되었었다. 그러나 2011년 이후부터는 중동발 이주 문제가 수용국의 인간안보, 국가 안보의제로 다루어지고, 기존의 주요 MENA 발 이주민 수용국의 이민 정책이 엄격해짐에 따라, MENA 지역 국가 국민의 이주 종착지는 다변화되었다. 아랍의 봄 이후 대한민국으로 유입되는 MENA 지역국가 국민의 증가가 그 실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법을 바탕으로 아랍의 봄 이후 벌어진 중동발 민족이산, 특히 경제적·정치적 또는 전쟁 난민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조망하고, 2018년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던 제주 예멘 인도적 체류자 유입 사태와 2021년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정착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중동 지역 이주민들의 수용에 있어 한국의 난민 및 이민 정책의 보완점 및 함의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훈 ; 최두영, "중동의 노동 이주와 카팔라 체제-지대추구국가의 체제 안정성과 이중 노동시장 구조-" 한국중동학회 43 (43): 119-144, 2022

      2 최유, "제주예멘난민 이후 난민법 개정안의 입법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이민정책학회 5 (5): 19-40, 2022

      3 오승진, "전쟁난민의 보호" 비교법학연구소 68 : 413-444, 2022

      4 조정현,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국제법평론회 (47) : 37-56, 2017

      5 김진혜 ; 조정현, "인도적 체류지위의 정의규정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원 180 : 356-392, 2020

      6 백승훈, "아랍의 봄 이후 정치지형과 법제도의 변화" 세창출판사 2022

      7 백승훈, "심연국가(Deep State)와 이집트 아랍민주공화국: 아랍의 봄 이후 이집트 군부의 지대추구체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31 (31): 111-138, 2021

      8 신지원, "미국의 아프간 특별이민비자 제도의 절차와 한계" 한국사회역사학회 25 (25): 33-64, 2022

      9 이세련, "국제난민법상 난민의 배제에 대한 고찰 : 1951년 국제난민협약 제1조 F항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44 (44): 231-261, 2020

      10 전의령, "‘위험한 무슬림 남성’과 ‘특별기여자’: 전 지구적 인도주의 담론과 포스트 9·11체제의 공모" 아시아연구소 12 (12): 3-31, 2022

      1 백승훈 ; 최두영, "중동의 노동 이주와 카팔라 체제-지대추구국가의 체제 안정성과 이중 노동시장 구조-" 한국중동학회 43 (43): 119-144, 2022

      2 최유, "제주예멘난민 이후 난민법 개정안의 입법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이민정책학회 5 (5): 19-40, 2022

      3 오승진, "전쟁난민의 보호" 비교법학연구소 68 : 413-444, 2022

      4 조정현,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국제법평론회 (47) : 37-56, 2017

      5 김진혜 ; 조정현, "인도적 체류지위의 정의규정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원 180 : 356-392, 2020

      6 백승훈, "아랍의 봄 이후 정치지형과 법제도의 변화" 세창출판사 2022

      7 백승훈, "심연국가(Deep State)와 이집트 아랍민주공화국: 아랍의 봄 이후 이집트 군부의 지대추구체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31 (31): 111-138, 2021

      8 신지원, "미국의 아프간 특별이민비자 제도의 절차와 한계" 한국사회역사학회 25 (25): 33-64, 2022

      9 이세련, "국제난민법상 난민의 배제에 대한 고찰 : 1951년 국제난민협약 제1조 F항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44 (44): 231-261, 2020

      10 전의령, "‘위험한 무슬림 남성’과 ‘특별기여자’: 전 지구적 인도주의 담론과 포스트 9·11체제의 공모" 아시아연구소 12 (12): 3-31, 2022

      11 McAuliffe, M., "World migration report 2018"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1-32, 2018

      12 Metcalfe-Hough, V., "The migration crisis? Facts, challenges and possible solutions"

      13 Huysmans, J., "Security Unbound : Enacting Democratic Limits" Taylor & Francis Group 2014

      14 Betts, A., "Refuge: Transforming a broken refugee system" Penguin UK 2017

      15 Beschel, R. P., "Public sector reform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Lessons of experience for a region in transit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9

      16 Ali, H., "Post-arab spring : the arab world between the dilemma of the nation-state and the rise of violent non-state actors(VNSAs)" 14 (14): 68-83, 2020

      17 Salamey, I., "Post-Arab Spring : changes and challenges" 36 (36): 111-129, 2015

      18 Menaifi, F., "How can Social Cohesion Foster State-Building and Confront Tribalis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st-Arab Uprisings Period in Tunisia and Libya" 44 (44): 68-83, 2022

      19 Sanliturk, E., "Global patterns of migration of scholars with economic development" 120 (120): e2217937120-, 2023

      20 Cassarino, J. P., "EU-Migration Governance in the Mediterranean Region : the Promise of(a Balanced)Partnership?"

      21 Carrera, S., "EU migration policy after the Arab Spring : the pitfalls of home affairs diplomacy" 74 : 2013

      22 Geddes, A., "Changing the path? EU migration governance after the ‘Arab spring’" 23 (23): 142-160, 2018

      23 Saouli, A., "Back to the future : the Arab uprisings and state(re)formation in the Arab world" 22 (22): 315-334, 2015

      24 조정현, "A Study on Expanded Refugee Concept for Large-scale Displacement Crises" 법학연구소 42 (42): 539-564, 2018

      25 Alterman, J., "A New Arab Spr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