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터키 문학에 나타난 장르 경계 해체 및 융합 양상 연구: 『빨강 머리 여인』에 나타난 소설과 신화의 크로스오버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smantling and Convergence of Genre Boundaries in Turkish Literature: Aspects of Crossover between Novel and Myth in The Red Haired Wo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4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rhan Pamuk combines different mythological genres into The Red Haired Woman and modernizes traditional themes like the father's absence, submission to and rebellion against the father's authority, and fate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 The theme of the Greek story Oedipus is "killing a father," and the Persian myth of Rustem and Shihrab is "murder of a son," with contrasting motives. The lack of a father unites the two narratives, despite their seeming contradictions. We can witness how the novel is born from the myth as the main character Cem's life crossovers with the myths in various ways. Both novels and myths reflect the universal love-hat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but what is new is that Pamuk reinterprets motifs such as father-son love, conflicts and death through the main characters of modern novels.
      번역하기

      Orhan Pamuk combines different mythological genres into The Red Haired Woman and modernizes traditional themes like the father's absence, submission to and rebellion against the father's authority, and fate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 The theme of...

      Orhan Pamuk combines different mythological genres into The Red Haired Woman and modernizes traditional themes like the father's absence, submission to and rebellion against the father's authority, and fate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 The theme of the Greek story Oedipus is "killing a father," and the Persian myth of Rustem and Shihrab is "murder of a son," with contrasting motives. The lack of a father unites the two narratives, despite their seeming contradictions. We can witness how the novel is born from the myth as the main character Cem's life crossovers with the myths in various ways. Both novels and myths reflect the universal love-hat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but what is new is that Pamuk reinterprets motifs such as father-son love, conflicts and death through the main characters of modern no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르한 파묵은 『빨강 머리 여인』에서 소설 속에 신화라는 다른 장르를 흡수 및 병합하여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속에서 아버지의 부재, 아버지의 권위에 대한 복종과 반항 그리고 운명 등의 모티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 오이디푸스 신화는 '아버지 살해'가 모티브가 된 그리스 신화이고, 뤼스템과 쉬흐랍 신화는 '아들 살해'를 다룬 페르시아의 신화로 살해 대상이 상반된 신화이다. 두 신화가 상반된 것처럼 보이지만 '아버지의 부재'라는 공통점이 있다. 소설에서 주인공 젬의 일생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신화와의 크로스오버가 적용되면서 신화로부터 어떻게 소설이 탄생하는지를 목격할 수 있다. 소설과 신화 모두 아버지와 아들의 보편적인 애증 관계를 반영하지만 새로운 점은 파묵이 부자간의 애증, 다툼, 죽음 등의 모티프를 현대소설의 주인공을 통해 재해석했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오르한 파묵은 『빨강 머리 여인』에서 소설 속에 신화라는 다른 장르를 흡수 및 병합하여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속에서 아버지의 부재, 아버지의 권위에 대한 복종과 반항 그리고 운명 등...

      오르한 파묵은 『빨강 머리 여인』에서 소설 속에 신화라는 다른 장르를 흡수 및 병합하여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속에서 아버지의 부재, 아버지의 권위에 대한 복종과 반항 그리고 운명 등의 모티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 오이디푸스 신화는 '아버지 살해'가 모티브가 된 그리스 신화이고, 뤼스템과 쉬흐랍 신화는 '아들 살해'를 다룬 페르시아의 신화로 살해 대상이 상반된 신화이다. 두 신화가 상반된 것처럼 보이지만 '아버지의 부재'라는 공통점이 있다. 소설에서 주인공 젬의 일생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신화와의 크로스오버가 적용되면서 신화로부터 어떻게 소설이 탄생하는지를 목격할 수 있다. 소설과 신화 모두 아버지와 아들의 보편적인 애증 관계를 반영하지만 새로운 점은 파묵이 부자간의 애증, 다툼, 죽음 등의 모티프를 현대소설의 주인공을 통해 재해석했다는 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대녕,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문학동네 2010

      2 류채린, "현대작품에서 나타나는 크로스오버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3 김병욱, "한국문학과 신화" 예림기획 2006

      4 한점돌,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특성의 일 고찰 - 윤대녕 장편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를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355-382, 2016

      5 베스타 S. 커티스, "페르시아 신화" 범우사 2003

      6 이난아, "터키문학의 이해" 월인 2006

      7 편집부, "이야기 페르시아 신화" 도서출판 글사랑 2002

      8 이영의, "신화와 문학의 상호텍스트성-러시아 모더니즘을 중심으로" 8 (8): 159-184, 1997

      9 이난아, "소설과 연극의 경계 허물기-소설 『눈』에 나타난 연극적 요소를 중심으로" 중동연구소 40 (40): 243-268, 2021

      10 오르한 파묵, "빨강 머리 여인" 민음사 2018

      1 윤대녕,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문학동네 2010

      2 류채린, "현대작품에서 나타나는 크로스오버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3 김병욱, "한국문학과 신화" 예림기획 2006

      4 한점돌,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특성의 일 고찰 - 윤대녕 장편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를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355-382, 2016

      5 베스타 S. 커티스, "페르시아 신화" 범우사 2003

      6 이난아, "터키문학의 이해" 월인 2006

      7 편집부, "이야기 페르시아 신화" 도서출판 글사랑 2002

      8 이영의, "신화와 문학의 상호텍스트성-러시아 모더니즘을 중심으로" 8 (8): 159-184, 1997

      9 이난아, "소설과 연극의 경계 허물기-소설 『눈』에 나타난 연극적 요소를 중심으로" 중동연구소 40 (40): 243-268, 2021

      10 오르한 파묵, "빨강 머리 여인" 민음사 2018

      11 존 로날드 로웰 톨킨, "반지의 제왕 1~3+ 호빗세트" arte(아르테) 2021

      12 조미영, "박찬욱의 작품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신화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박쥐>를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11 (11): 811-831, 2010

      13 황석영, "바리데기" 창비 2007

      14 이난아, "문학적 상상력을 통한 회화의 재현 -오르한 파묵의 소설 『내 이름은 빨강』을 중심으로-" 중동문제연구소 9 (9): 151-186, 2010

      15 이난아, "문학공간의 박물관 콘텐츠 확장 사례 연구 -오르한 파묵의 『순수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 23 (23): 223-247, 2013

      16 메네라오스 스테파니데스, "그리스 신화 8-오이디푸스" 열림원 2002

      17 Esra Başak Aydınalp, "Orhan Pamuk’un Kırmızı Saçlı Kadın adlıEserinde Baba/Oğul İkilemi, Yasa ve Kimlik Karmaşası" 3 (3): 204-215, 2020

      18 Rümeysa Köse, "Oedipus Kompleksi Işığıda Orhan Pamuk’ın Kırmızı Saçlı Kadın Romanı"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