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별정책 분야의 연구내용 및 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게재논문(1989∼2017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Content and Trend in Specific Policy Areas: Focused on Article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989-20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3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content and trend of the articles in specific policy area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KJLG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paper analyzed 148 articles published in the KJLGS from 1989 to June 2017.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re male (87.2%), only single researcher (64.2%), and professor (59.2%).
      Second, pure academic research is 75.7%, while funded-research is 24.3%. Pure academic researches are gradually reducing, whereas funded-researches are steadily expanding. Third, as specific policy areas published in KJLGS are orderly environment・ energy policy (19.6%), welfare policy (14.2%), e-government・information policy (11.5%), cultural policy (9.5%), urban・housing policy (7.4%), and educational autonomy (5.4%).
      Fourth, the areas studied for pure academic research are science & technology policy (4.7%), disaster policy (2.7%), foreign policy (1.4%), and public management (2.0%).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area funded is agriculture & farming policy (3.4%). Fifth, non-quantitative researches show the decreasing trend, while quantitative studies seem to be the increasing trend. Finally, problem-solved researches are 93.9%, whereas theory-oriented researches are just 6.1%. Nonetheless, after the 2000s theory-oriented researches and the uses of advanced statistical analyses and methods somewhat show a steady growt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content and trend of the articles in specific policy area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KJLG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content and trend of the articles in specific policy area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KJLG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paper analyzed 148 articles published in the KJLGS from 1989 to June 2017.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re male (87.2%), only single researcher (64.2%), and professor (59.2%).
      Second, pure academic research is 75.7%, while funded-research is 24.3%. Pure academic researches are gradually reducing, whereas funded-researches are steadily expanding. Third, as specific policy areas published in KJLGS are orderly environment・ energy policy (19.6%), welfare policy (14.2%), e-government・information policy (11.5%), cultural policy (9.5%), urban・housing policy (7.4%), and educational autonomy (5.4%).
      Fourth, the areas studied for pure academic research are science & technology policy (4.7%), disaster policy (2.7%), foreign policy (1.4%), and public management (2.0%).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area funded is agriculture & farming policy (3.4%). Fifth, non-quantitative researches show the decreasing trend, while quantitative studies seem to be the increasing trend. Finally, problem-solved researches are 93.9%, whereas theory-oriented researches are just 6.1%. Nonetheless, after the 2000s theory-oriented researches and the uses of advanced statistical analyses and methods somewhat show a steady grow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방자치학회보」에 게재된 개별정책 분야 연구논문들의 연구내용 및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지방자치학회보」(1989년 12 월∼2017년 6월) 게재된 개별정책 분야의 연구논문 148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의 특성으로 남성(87.2%), 1인 단독(64.2%), 교수(59.2%)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둘째, 순수학술연구가 75.7%인데 반해, 연구비지원연구가 24.3%로 나타났고, 순수학술연구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연구비지원연구는 점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셋째, 개별정책 분야로, 환경・ 에너지정책(19.6%)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복지정책(14.2%), 전자정부・정보정책(11.5%), 문화정책(9.5%), 도시・토지・주택정책(7.4%), 교육자치(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순수학술연구로만 연구된분야는 과학기술정책(4.7%), 재난정책(2.7%), 대외정책(1.4%), 행정관리(2.0%)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비지원만으로 연구된 분야는 농업・농촌정책(3.4%)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계량연구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계량연구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 지향적 연구가 93.9%이고, 이론지향적 연구가 6.1%로 나타났다. 다만, 2000년대 이후로 이론지향적 연구와 고급통계분석방법들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방자치학회보」에 게재된 개별정책 분야 연구논문들의 연구내용 및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지방자치...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방자치학회보」에 게재된 개별정책 분야 연구논문들의 연구내용 및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지방자치학회보」(1989년 12 월∼2017년 6월) 게재된 개별정책 분야의 연구논문 148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의 특성으로 남성(87.2%), 1인 단독(64.2%), 교수(59.2%)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둘째, 순수학술연구가 75.7%인데 반해, 연구비지원연구가 24.3%로 나타났고, 순수학술연구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연구비지원연구는 점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셋째, 개별정책 분야로, 환경・ 에너지정책(19.6%)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복지정책(14.2%), 전자정부・정보정책(11.5%), 문화정책(9.5%), 도시・토지・주택정책(7.4%), 교육자치(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순수학술연구로만 연구된분야는 과학기술정책(4.7%), 재난정책(2.7%), 대외정책(1.4%), 행정관리(2.0%)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비지원만으로 연구된 분야는 농업・농촌정책(3.4%)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계량연구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계량연구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 지향적 연구가 93.9%이고, 이론지향적 연구가 6.1%로 나타났다. 다만, 2000년대 이후로 이론지향적 연구와 고급통계분석방법들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택, "한국지방자치 연구경향분석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등재논문(2002-2010년)의 연구주제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5-23, 2011

      2 목진휴, "한국정책학회보 10년의 발자취" 11 (11): 305-319, 2002

      3 주상현, "한국자치행정학보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4년(2005-2008)간 한국자치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3 (23): 415-436, 2009

      4 목진휴, "한국의 정책연구 지향에 관한 실증분석: Lasswell의 정책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4 (14): 131-154, 2005

      5 주상현, "한국 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7년(1995-2001)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39-55, 2002

      6 이병렬, "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기고논문(1989-2001)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002

      7 권경득, "지방행정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행정학보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0 (50): 247-273, 2016

      8 최영출, "지방행정계층 및 구역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1989-2017)-" 한국지방자치학회 30 (30): 57-79, 2018

      9 하혜수, "지방행정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년)" 557-582, 2013

      10 이승철, "지방행정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KCI 등재논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335-362, 2013

      1 최호택, "한국지방자치 연구경향분석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등재논문(2002-2010년)의 연구주제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5-23, 2011

      2 목진휴, "한국정책학회보 10년의 발자취" 11 (11): 305-319, 2002

      3 주상현, "한국자치행정학보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4년(2005-2008)간 한국자치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3 (23): 415-436, 2009

      4 목진휴, "한국의 정책연구 지향에 관한 실증분석: Lasswell의 정책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4 (14): 131-154, 2005

      5 주상현, "한국 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7년(1995-2001)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39-55, 2002

      6 이병렬, "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기고논문(1989-2001)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002

      7 권경득, "지방행정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행정학보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0 (50): 247-273, 2016

      8 최영출, "지방행정계층 및 구역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1989-2017)-" 한국지방자치학회 30 (30): 57-79, 2018

      9 하혜수, "지방행정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년)" 557-582, 2013

      10 이승철, "지방행정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KCI 등재논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335-362, 2013

      11 권경득, "지방조직 및 인사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89-2017)-" 한국지방자치학회 30 (30): 27-56, 2018

      12 김이수,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연구경향 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1999-2016년)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4 (24): 29-61, 2017

      13 하혜영, "지방거버넌스 및 갈등관리 연구경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30 (30): 1-26, 2018

      14 오철호, "정책학 패러다임과 한국의 정책연구 경향분석: 한국행정학보(1967-2015년)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0 (50): 87-125, 2016

      15 정준금, "정책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31-61, 2013

      16 허만형, "방법론적 관점에서의 한국정책학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18 (18): 29-46, 2009

      17 김건위, "「지방행정연구」지의 게재논문 분석(1986-2014)을 통한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33-62, 2015

      18 우양호, "「지방정부연구」의 실증적 분석(1997~2004)- 행정학 분야 주요 학술지와의 비교연구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75-103, 2004

      19 Ripberger, J. T., "Whither Civil Defense and Homeland Security in the Study of public Policy? A Look at Research on the Policy, the Public, and the Process" 39 (39): 77-91, 2011

      20 Carlson, D., "Trends and Innovations in Public Policy Analysis" 39 (39): 13-26, 2011

      21 Nowlin, M. C.,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State of the Research and Emerging Trends" 39 (39): 41-60, 2011

      22 Petridou, E.,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Contemporary Scholarship and Future Directions" 42 (42): 12-32, 2014

      23 Robichau, R. W., "The Mosaic of Governance: Creating a Picture with Definitions, Theories, and Debates" 39 (39): 113-131, 2011

      24 Jenkins-Smith, H. C., "The 2018 Public Policy Yearbook:Recent Trends in Public Policy Research" 46 (46): S4-S12, 2018

      25 Trousset, S., "The 2015 Public Policy Yearbook:Tracking Research in Public Policy" 44 (44): S4-S13, 2016

      26 Trousset, S., "The 2015 Public Policy Yearbook:Tracking Research in Public Policy" 43 (43): S1-S11, 2015

      27 Guzman, T., "Social Policy: What Have We Learned?" 41 (41): 53-70, 2013

      28 Perry, J. L., "Research Methodology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75-1984" 46 (46): 215-226, 1986

      29 Stallings, R. A.,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Work in PAR, 1940-1984" 48 (48): 580-586, 1988

      30 Houston, D. T.,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 Assess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0 (50): 678-680, 1990

      31 Lasswell, H. D., "Policy Sciences" Stanford Univ. Press 3-15, 1951

      32 Redd, S. B., "Policy Perspective on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41 (41): 11-37, 2013

      33 Adams, W. C., "Policy Journal Trends and Tensions: JPAM and PSJ" 42 (42): S118-S137, 2014

      34 Eissler, R., "New Avenues for the Study of Agenda Setting" 42 (42): 71-86, 2014

      35 Mullinix, K. J., "Lingering Debates and Innovative Advances: The State of Public Opinion Research" 39 (39): 61-76, 2011

      36 Kresis, A. M., "Law and Public Policy" 41 (41): 38-52, 2013

      37 Niles, M. T., "Integrative Frontiers in Environmental Policy Theory and Research" 40 (40): 41-60, 2012

      38 Blume, G., "Empirical Innovations in Policy Analysis" 42 (42): 33-50, 2014

      39 Trousset, S., "Current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AN Examination of Published Works from 2010-2012" 42 (42): 87-117, 2014

      40 Gupta, K., "Comparative Public Policy: Using the Comparative Method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Policy Process" 40 (40): 11-26, 2012

      41 Haeder, S. F., "Beyond Path Dependence: Explaining Healthcare Reform and Its Consequences" 40 (40): 65-86, 2012

      42 Pump, B., "Beyond Metaphors: New Research on Agendas in the Policy Process" 39 (39): 41-60, 2011

      43 Bachner, J., "Advances in Public Opinion and Policy Attitudes Research" 42 (42): 51-70, 2014

      44 Conner, T. W., "Accountability, Affordability, Access: A Review of the Recent Trends in Higher Education Policy Research" 39 (39): 93-112, 2011

      45 Lan, Z., "A Paradigmatic View of Contemporary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An Empirical Test" 32 (32): 138-165, 2000

      46 Pump, B., "A New Normal? American Economic Policymaking After The Great Recession" 40 (40): 27-40, 2012

      47 deLeon, P., "A Contemporary Reading of Advice and Consent" 39 (39): 27-39, 2011

      48 Jenkins-Smith, H. C., "2017 Public Policy Yearbook: Tracking Research in Public Policy" 45 (45): S4-S12, 2017

      49 Trousset, S., "2014 Public Policy Yearbook: Recent Developments in Public Policy Research" 42 (42): S1-S11, 2014

      50 Bingham, R. D., ""Mainstream" Public Administration over Time: A Topical Content Analysis of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4 (54): 204-208,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