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KJ법을 통한 사례 연구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 case study through KJ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0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322 middle school students’ free writing answ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ast year according to the KJ method, thre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erived: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Educational Demand”,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367 labels. The sub-content of the groups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 Content” was largely composed of “Multicultural Acceptance Development, “Acquisi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iv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building Ability.” Seco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Negative” and “Posi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negativ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xceeded the positive. Third, the “Demand fo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mand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s a minor opinions who are “Opposing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consum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322 middle school students’ free writing answ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322 middle school students’ free writing answ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ast year according to the KJ method, thre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erived: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Educational Demand”,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367 labels. The sub-content of the groups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 Content” was largely composed of “Multicultural Acceptance Development, “Acquisi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iv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building Ability.” Seco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Negative” and “Posi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negativ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xceeded the positive. Third, the “Demand fo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mand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s a minor opinions who are “Opposing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consum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간 받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유기술 답변을 질적 사례 연구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내용’, ‘평가’, ‘요구’라는 총 3개 그룹이 도출되었다. 사례 수가 많은 순으로 각 그룹의 구성 내용을 보면 첫째, 교육 내용은 ‘다문화수용 태도 계발’, ‘지식 정보 습득’, ‘긍정적인 관계형성능력 함양’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육에 대한 평가는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상회하였다. 셋째, 교육에 대한 요구는‘교육의 변화’, ‘교육 기회 증진’이 도출되었고 교육의 확대를 반대한다는 소수 의견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교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다문화교육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간 받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유기술 답변을 질적 사례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간 받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유기술 답변을 질적 사례 연구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내용’, ‘평가’, ‘요구’라는 총 3개 그룹이 도출되었다. 사례 수가 많은 순으로 각 그룹의 구성 내용을 보면 첫째, 교육 내용은 ‘다문화수용 태도 계발’, ‘지식 정보 습득’, ‘긍정적인 관계형성능력 함양’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육에 대한 평가는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상회하였다. 셋째, 교육에 대한 요구는‘교육의 변화’, ‘교육 기회 증진’이 도출되었고 교육의 확대를 반대한다는 소수 의견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교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다문화교육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길 ; 소경희,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문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성격의 변화 양상 분석"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1 (11): 59-83, 2018

      2 김동진 ; 이슬기, "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분석 : 연구자, 교사,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253-275, 2021

      3 조영달 ; 박윤경 ; 성경희 ; 이소연 ; 박하나,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4 라종민 ; 정혜진, "학교 내 다문화교육 경험과 일반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1 (11): 165-184, 2013

      5 서종남, "청소년의 다문화인식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연구 - 초ㆍ중ㆍ고 학생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8 (18): 83-110, 2012

      6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69, 2015

      7 정옥분, "청년심리학" 학지사 2019

      8 이윤희, "찰스 샌더스 퍼스"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7

      9 윤헤경 ; 이지연,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의 개념과 수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1-18, 2010

      10 서재복 ; 송태규 ; 임명희, "중학생 민주시민역량 증진을 위한 인성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85-905, 2020

      1 김한길 ; 소경희,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문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성격의 변화 양상 분석"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1 (11): 59-83, 2018

      2 김동진 ; 이슬기, "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분석 : 연구자, 교사,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253-275, 2021

      3 조영달 ; 박윤경 ; 성경희 ; 이소연 ; 박하나,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4 라종민 ; 정혜진, "학교 내 다문화교육 경험과 일반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1 (11): 165-184, 2013

      5 서종남, "청소년의 다문화인식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연구 - 초ㆍ중ㆍ고 학생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8 (18): 83-110, 2012

      6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69, 2015

      7 정옥분, "청년심리학" 학지사 2019

      8 이윤희, "찰스 샌더스 퍼스"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7

      9 윤헤경 ; 이지연,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의 개념과 수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1-18, 2010

      10 서재복 ; 송태규 ; 임명희, "중학생 민주시민역량 증진을 위한 인성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85-905, 2020

      11 이기용 ; 최병옥,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태도, 다문화 교수 역량, 다문화 효능감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41-563, 2016

      12 권순구 ; 권미경, "중등 다문화교육 운영 현황 분석" 교육연구소 28 (28): 551-571, 2022

      13 육경민 ; 조현주,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11-439, 2016

      14 최준호 ; 김명아, "전북지역의 다문화 교육 및 활동 인식에 관한 실태 분석: 중·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7 (27): 157-177, 2019

      15 박애스더, "재한 일본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갈등과 대처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2 (32): 125-157, 2021

      16 한학범, "인천 지역 교원들의 다문화교육 개선 요구사항에 대한 다문화교육 관점 분석"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29-60, 2021

      17 맹수현, "아동・청소년 발달과정에 따른 자기애의 변화" 23 : 23-42, 2010

      18 김미진 ; 정옥분,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69-88, 2010

      19 Berk, L. E, "생애발달Ⅱ: 청소년기에서 노년기까지" 시그마프레스 2009

      20 박창민 ; 조재성 ; 김영천,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과정의 딜레마들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185-213, 2016

      21 김은희 ; 김영순, "대학생의 다문화 멘토링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다문화평화연구소 15 (15): 134-157, 2021

      22 박시균, "다문화・다문화가정・한국어교육 8년간의 인식 변화 연구(2013-2021)" 집문당 2021

      23 김민정 ; 홍선주,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모색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태 및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1-45, 2010

      24 김효선 ; 홍원표,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 우수 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73-96, 2016

      25 김명희 ; 김경주 ; 서나래,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5 (15): 49-81, 2022

      26 교육통계서비스,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 국적 분포"

      27 정영애 ; 류영철, "다문화 정책학교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분석: Banks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2 (12): 206-227, 2018

      28 서재복,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10 (10): 257-283, 2012

      29 김선영, "다문화 교육과정과 그 실행에 대한 비판적 분석: 초등학교 통합교과 ‘다양한 가족’ 주제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12-139, 2013

      30 박애스더, "귀국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한 사례 연구: 부모와 동행하여 중국 생활을 한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5-40, 2018

      31 임운, "강원도 원주지역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교육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교육연구원 33 (33): 1-24, 2017

      32 조경철, "Q방법론을 활용한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141-152, 2016

      33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Inc 2004

      34 川喜田二郎, "KJ法: 混沌をして語らしめる" 中央公論社 1986

      35 교육부, "2022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