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의 대외정책노선과 2012년 이후 대외정책의 영향 변수들 = Russian Foreign-policy Line and Influence Factors on Foreign Policy after 201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5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는 1997년 '유라시아 지역의 독자적 강대국' 노선으로 대외정책노선을 형성하였다. 15년이 흐른 현재까지 러시아의 대외정책노선은 변화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본질적 변화없이 상당...

      러시아는 1997년 '유라시아 지역의 독자적 강대국' 노선으로 대외정책노선을 형성하였다. 15년이 흐른 현재까지 러시아의 대외정책노선은 변화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본질적 변화없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다. 지금까지는 강대국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위세(威勢)적 방어 전략'에 치중한 시기였다면, 2012년 푸틴3기부터는 경제현대화와 문화역량을 강화하는 '강대국으로서의 정상화 전략'으로 초점이 이동하고 있다. 러시아 대외정책노선에 대한 네 가지 주요 영향변수들 가운데, 가까운 미래에 변화 가능성이 있는 것은 통치체제로서 '푸틴주의'이다. 그러나, 러시아의 국내정치와 경제정책이 '재자유화'의 방향으로 전개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세 가지 영향변수들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한, 러시아의 대외정책은 장기간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보장해 온 '독자적 강대국' 노선의 틀 내에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ssia got to the formation of foreign-policy line, "an autonomous great power in Eurasia region" in 1997. While 15 years have passed, this foreign-policy line has not changed and will continue in the forseeable future. There is a difference, however,...

      Russia got to the formation of foreign-policy line, "an autonomous great power in Eurasia region" in 1997. While 15 years have passed, this foreign-policy line has not changed and will continue in the forseeable future. There is a difference, however, in that this line up to recent time has focused on an "assertive defense strategy" to be recognized as a great power and, now, moves the focus to the "strategy of great power normalization". Among the four influence factors upon Russian foreign-policy line, one factor which is open to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near future is "Putinism" as a ruling system. Although Russian polictics and economic policy might turn to re-liberalization, however, as long as other three factors do not change fundamentally, Russian foreign policy will remain in the frame of "an autonomous great power" line which has guaranteed long-term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글머리
      • Ⅱ. 메드베데프 시기까지 러시아의 대외정치적 정체성과대외정책노선
      • Ⅲ. 2012년 이후 대외정책의 영향 변수들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글머리
      • Ⅱ. 메드베데프 시기까지 러시아의 대외정치적 정체성과대외정책노선
      • Ⅲ. 2012년 이후 대외정책의 영향 변수들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봉구, "현대 러시아 대외정책의 이해"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2 강봉구, "푸틴주의 정치 리더십의 권위주의적 특성과 전망" 국제지역연구센터 14 (14): 3-30, 2010

      3 강봉구, "편승과 균형: 21세기 세계정치와 러-미관계"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263-286, 2005

      4 강봉구, "키르기스스탄의 정치 변동에서 러시아 요인의 작용 양태와 성공 원인"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4 (14): 1-32, 2011

      5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유라시아헤드라인 제64호(2011.10.25.), 제79호(2012.02.07)"

      6 제성훈, "외교ㆍ안보 결산: 평가와 전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7 강봉구, "옐친에서 푸틴으로: 러시아의 국가전략 변화" 25 (25): 2002

      8 고재남, "시리아 사태와 러-중 거부권 연대" (152) : 2012

      9 Baylis, John, "세계정치론" 을유문화사 2006

      10 제성훈, "메드베데프 정부의 새로운 대외정책노선: 정책기조, 변화의 원인, 수행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31-60, 2011

      1 강봉구, "현대 러시아 대외정책의 이해"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2 강봉구, "푸틴주의 정치 리더십의 권위주의적 특성과 전망" 국제지역연구센터 14 (14): 3-30, 2010

      3 강봉구, "편승과 균형: 21세기 세계정치와 러-미관계"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263-286, 2005

      4 강봉구, "키르기스스탄의 정치 변동에서 러시아 요인의 작용 양태와 성공 원인"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4 (14): 1-32, 2011

      5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유라시아헤드라인 제64호(2011.10.25.), 제79호(2012.02.07)"

      6 제성훈, "외교ㆍ안보 결산: 평가와 전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7 강봉구, "옐친에서 푸틴으로: 러시아의 국가전략 변화" 25 (25): 2002

      8 고재남, "시리아 사태와 러-중 거부권 연대" (152) : 2012

      9 Baylis, John, "세계정치론" 을유문화사 2006

      10 제성훈, "메드베데프 정부의 새로운 대외정책노선: 정책기조, 변화의 원인, 수행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31-60, 2011

      11 블랭크(Blank, Stephen), "러시아의 정체성과 대외정책, In 유라시아지역의 국가ㆍ민족정체성" 한울 아카데미 2010

      12 서동주, "러시아 푸틴정부의 정치개혁: 집권 1기 평가와 2기 전망"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151-173, 2004

      13 엄구호, "강력한 도전에 직면한 ‘푸틴주의’"

      14 강봉구, "‘푸틴주의의 종언’과 ‘푸틴주의’ 없는 푸틴?: 2011-2012 러시아 선거국면을 보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37 : 2012

      15 강봉구, "‘연성 권위주의’로부터의 재자유화: ‘푸틴주의’의 종언과 차기 정권의 성격" (146) : 2012

      16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стратегия России на период до 2030 года"

      17 Минрегионразвития., "Стратегия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Байкальского региона на период до 2025 года" Изд-во Дальнеаост 2010

      18 "Стратегия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о 2020 года" Утверждена Указом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19 Медведев, Дмитрий, "Россия, вперед! Статья Дмитрия Медведева"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и.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20 Путин, Владимир, "Россия и меняющийсямир" Московские новости.

      21 "Послание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едеральному Собраниюю"

      22 Путин, Владимир, "Новый интеграционный проект для Евразии — будущее, которое рождается сегодня" Известия

      23 "Независимая газета"

      24 "Концепция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тратила силу)"

      25 "Концепция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6 "Дипломатический вестник"

      27 "Военная доктр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8 Путин, Владимир. В, "Быть сильными: гарантии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России"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29 Hearst, David, "Will Putinism See The End of Putin?"

      30 "Vladimir Putin expected to lay out foreign policy on China visit"

      31 Jonson, Lena, "Vladimir Putin and Central Asia: The Shaping of Russian Foreign Policy" I. B. Tauris 2006

      32 Waltz, Kenneth N, "Theor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Addison-Wesley 1979

      33 Clunan, Anne L, "The Social Construction of Russia’s Resurgence: Aspirations, Identity, and Security Interest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9

      34 Lynch, Allen C, "The Realism of Russia’s Foreign Policy" 53 (53): 2001

      35 Walt, Stephen M, "The Origins of Allianc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36 Hunter, Shireen, "Strategic Development in Eurasia After 11 September" Frank Cass & Co 2004

      37 Seely, Robert, "Russo-Chechen Conflict, 1800-2000: A Deadly Embrace" Frank Cass 2001

      38 Shin, Beom-Shik, "Russia’s ‘Return’ to Asia: How Should South Korea Respond?" 2011

      39 Tsygankov, Andrei P, "Russia’s Foreign Policy: Change and Continuity in National Identit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10

      40 Jackson, Nicole J, "Russian Foreign Policy and The CIS: Theories, Debates and Actions" Routledge 2003

      41 Rangsimaporn, Parad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42 Pannier, Bruce, "Putin Proposes Vast Rearmament, Military Reform" RFERL

      43 Shambaugh, David, "Power Shift: China and Asia’s New Dynam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44 Herman, Charles F, "Changing Course: When Government Choose to Redirect Foreign Policy" 34 (34): 1990

      45 에너지경제연구원, "CIS Customs Union Says Kyrgyzstan Can Join" RFERL

      46 Schweller, Randall L, "Bandwagoning for Profit: Bringing the Revisionist State Back in" 19 (19): 1994

      47 홍현익, "2012년 러시아 정세 전망과 한반도" 세종연구소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eace Studie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평화연구소 ->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Peace Studies, Korea University -> Peace & Democracy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4 1.22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