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흥수, "해방 후 한국전쟁과 이승만 치하의 한국교회" 50 (50): 198-213, 2006
2 서보혁,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3 정기철, "한국의 통일신학을 위한 해석학적 단초" 20 : 195-218, 2006
4 통일위원회, "한국교회 평화통일운동 자료집" 천지문화사 2000
5 McGavran, D., "하나님의 선교전략" 한국장로교출판사 2011
6 이만열, "평화와 통일을 위한 한국교회 3·1선언의 역사적 의의" 3 : 13-43, 2009
7 주도홍, "통일한국을 위한 파트너로서의 한국교회" 한국개혁신학회 43 : 156-177, 2014
8 주도홍, "통일독일의 청소년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통일 후 한국교회를 생각하며" 11 : 166-199, 2006
9 김승호, "통일 후 효과적인 북한선교를 위한 전략연구: 북한이탈주민을 통한 북한복음화 전략" 개혁신학회 36 : 239-270, 2015
10 홍정근, "탈북자를 위한 교회교육적 관심" 270 : 13-18, 1999
1 김흥수, "해방 후 한국전쟁과 이승만 치하의 한국교회" 50 (50): 198-213, 2006
2 서보혁,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3 정기철, "한국의 통일신학을 위한 해석학적 단초" 20 : 195-218, 2006
4 통일위원회, "한국교회 평화통일운동 자료집" 천지문화사 2000
5 McGavran, D., "하나님의 선교전략" 한국장로교출판사 2011
6 이만열, "평화와 통일을 위한 한국교회 3·1선언의 역사적 의의" 3 : 13-43, 2009
7 주도홍, "통일한국을 위한 파트너로서의 한국교회" 한국개혁신학회 43 : 156-177, 2014
8 주도홍, "통일독일의 청소년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통일 후 한국교회를 생각하며" 11 : 166-199, 2006
9 김승호, "통일 후 효과적인 북한선교를 위한 전략연구: 북한이탈주민을 통한 북한복음화 전략" 개혁신학회 36 : 239-270, 2015
10 홍정근, "탈북자를 위한 교회교육적 관심" 270 : 13-18, 1999
11 통일부, "최근현황"
12 O’Dea, T. F., "종교사회학 입문" 대한기독교서회 1969
13 이순자, "조국통일을 위한 북과 해외동포, 기독자 간 대화"
14 이현모, "선교학 개론"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0
15 권형재, "새터민(국내입국탈북자)들의 안정된 정착을 돕는 사역을 통한 미래의 북한교회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한국교회의 선교전략" 12 : 173-191, 2008
16 백충현, "삼위일체적 평화통일신학의 적용 - 북한이탈주민들과 한국사회와의 상호 이해와 포용을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49 : 132-162, 2016
17 박영신, "사회구조, 통일, 사회통합 - ‘탈북인’ 이해의 문제 -" 한국실천신학회 (19) : 5-33, 2009
18 "사단법인평화한국"
19 김수경, "북한인권백서2019" 통일연구원 2019
20 김진숙,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III)-총론, 중등 국어과, 중등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1 김병로, "남북한 통합을 위한 종교교류·협력의 제도화 방안" 인문사회연구회 2002
22 김홍민, "난 용사가 아니에요. 여기 와서 용사인 척하지!" 15 : 33-35, 2003
23 윤응진, "기독교통일교육은 평화교육이어야 한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9) : 25-56, 2012
24 이문아, "기독교 청소년을 위한 탈인습적 통일교육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2020
25 주선애, "교회의 탈북자 사역 개발-새 생활 체험학교를 중심으로" 369 : 23-28, 2008
26 김영한, "개혁주의 평화통일신학" 76-92, 1993
27 Winter, R. D., "Perspectives on the World Christian Movement: A Reader" William Carry Library 1981
28 Freire, P., "Cultural Action for Freedom"
29 이유나, "88선언 전후시기 KNCC의 통일운동과 제 세력의 통일운동 전개" 89 : 30-4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