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가어의 의미역 실현 양상 -TMP, LOC, EXT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09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부가어의 의미역’ 중에서 시간, 장소, 범위를 표시하는 TMP, LOC, EXT에 초점을 맞춘 논의이다. 통사론적인 정보를 통해서는 ‘-를’만을 요구하는 서술어로 확인되더라도 의미구조...

      본고는 ‘부가어의 의미역’ 중에서 시간, 장소, 범위를 표시하는 TMP, LOC, EXT에 초점을 맞춘 논의이다. 통사론적인 정보를 통해서는 ‘-를’만을 요구하는 서술어로 확인되더라도 의미구조에 따라 LOC, TMP, EXT를 선별적으로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LOC, TMP, EXT는 부가어의 의미역에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 LOC와 TMP, EXT의 관련성에 주목할 필요도 있는 것이다.
      의미 정보에 주목하면 ‘-에서 -까지’ 전체에 EXT를 부여하는 것이 EXT의 사용을 좀 더 원활하게 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TMP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TMP의 분포를 한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LOC의 경우는 TMP와의 관련성을 통해 부가어의 의미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LOC의 경우에는 논항의 의미역으로 상정될 가능성도 높지만, 부가어의 의미역으로 LOC가 부여되는 것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semantic roles of adjuncts TMP, LOC, and EXT. TMP, LOC, and EXT need to be considered within the semantic roles of adjuncts because they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mantic structure even if the predicate requires only ...

      This paper focuses on the semantic roles of adjuncts TMP, LOC, and EXT. TMP, LOC, and EXT need to be considered within the semantic roles of adjuncts because they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mantic structure even if the predicate requires only "-를" through syntactic information. It is also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relevance of LOC, TMP and EXT.
      By considering semantic information, granting EXT to the entire "-에서 -까지" may be a way to make the use of EXT extensively. If so, treating TMP in the same way would also help to limit the distribution of TMP as a semantic role. In the case of LOC, its relevance to TMP ensures its status as a semantic role of adjunct. LOC is highly frequently used as a semantic role of argument, but it cannot be ruled out that LOC is granted a semantic role of adjun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TMP와 LOC의 실현 양상
      • 3. EXT와 TMP, LOC의 실현 양상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TMP와 LOC의 실현 양상
      • 3. EXT와 TMP, LOC의 실현 양상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어 의존의미역 태깅가이드라인"

      2 신서인, "한국어 의미역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의미역 표지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66 : 175-204, 2019

      3 박철우, "한국어 용언 사전 기술을 위한 의미역 설정의 기본 문제들" 언어교육원 41 (41): 543-568, 2005

      4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5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6 장석진, "자연언어 처리의 기초연구" 한국과학재단 1989

      7 이홍식, "의미역의 분류에 대하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6 : 95-120, 2019

      8 김윤정, "의미역 태깅의 제문제 고찰 - 구축된 격틀사전의 문제점과 대상말뭉치의 문제점을 대상으로" 한국언어정보학회 20 (20): 1-26, 2016

      9 이선웅, "의미역 기술 모형 연구 및 시범 구축" 국립국어원 2019

      10 이선웅, "술어명사구와 동사구의 동질성과 이질성" 우리말글학회 38 : 107-133, 2006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어 의존의미역 태깅가이드라인"

      2 신서인, "한국어 의미역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의미역 표지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66 : 175-204, 2019

      3 박철우, "한국어 용언 사전 기술을 위한 의미역 설정의 기본 문제들" 언어교육원 41 (41): 543-568, 2005

      4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5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6 장석진, "자연언어 처리의 기초연구" 한국과학재단 1989

      7 이홍식, "의미역의 분류에 대하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6 : 95-120, 2019

      8 김윤정, "의미역 태깅의 제문제 고찰 - 구축된 격틀사전의 문제점과 대상말뭉치의 문제점을 대상으로" 한국언어정보학회 20 (20): 1-26, 2016

      9 이선웅, "의미역 기술 모형 연구 및 시범 구축" 국립국어원 2019

      10 이선웅, "술어명사구와 동사구의 동질성과 이질성" 우리말글학회 38 : 107-133, 2006

      11 김현권, "세종 용언전자사전의 의미역 기술체계 및 목록"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1 (2001): 319-325, 2001

      12 이홍식, "부가어의 의미역에 대하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7 : 5-29, 2020

      13 신서인, "구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4 국립국어원, "[단행본] 표준국어 대사전" 두산동아 1999

      15 Somers, H., "Valency and case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87

      16 Pustejovsky, J., "The Generative Lexicon" The MIT Press 1995

      17 Grimshaw, J., "Argument Structure" The MIT Press 1990

      18 홍재성,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분과 연구보고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