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합형어미 ‘-다니까’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09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복합형어미 ‘-다니까‘의 의미ㆍ통사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연결어미 ‘-다니까’는 ‘-니까’와 관련되므로 이들의 비교도 진행하였다.
      우선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기능을 인과, 상황 설명과 경험/정보, 기대 부정으로 보았으며, 연결어미 ‘-다니까’는 발화와 그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다니까’는 선행절 명제의 사실성 여부, 필연성, 선후행절의 의미 요소 등에서 ‘-니까’와 차이가 있다. ‘-다니까’에 후행하는 반응은 화자의 기대에 맞을 수도, 어긋날 수도 있는데 기대에 어긋난 반응의 경우 후행절이 생략되고 수사의문문과 결합되면서 불만, 부정의 의미가 강조된다. ‘-니까’의 상황설명 기능은 ‘-다니까’에 드러나지 않는다.
      종결어미 ‘-다니까’는 첫째, 기대에 어긋난 반응을 보이는 상대방에게 불만이나 불평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둘째, 한 발화 안에서 자신의 발화를 받아 강조하는 기능을 하는 ‘-다니까’는 앞선 발화가 드러나지 않는 상황으로 그 쓰임이 확장된다. 셋째, 현재 시점에서 어떤 상황을 경험하면서 이미 있던 내면적 앎을 확인하는 것인데 의미가 강조되어 감탄문처럼 쓰인다.
      번역하기

      이 글은 복합형어미 ‘-다니까‘의 의미ㆍ통사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연결어미 ‘-다니까’는 ‘-니까’와 관련되므로 이들의 비교도 진행하였다. 우선 연결어미 ...

      이 글은 복합형어미 ‘-다니까‘의 의미ㆍ통사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연결어미 ‘-다니까’는 ‘-니까’와 관련되므로 이들의 비교도 진행하였다.
      우선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기능을 인과, 상황 설명과 경험/정보, 기대 부정으로 보았으며, 연결어미 ‘-다니까’는 발화와 그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다니까’는 선행절 명제의 사실성 여부, 필연성, 선후행절의 의미 요소 등에서 ‘-니까’와 차이가 있다. ‘-다니까’에 후행하는 반응은 화자의 기대에 맞을 수도, 어긋날 수도 있는데 기대에 어긋난 반응의 경우 후행절이 생략되고 수사의문문과 결합되면서 불만, 부정의 의미가 강조된다. ‘-니까’의 상황설명 기능은 ‘-다니까’에 드러나지 않는다.
      종결어미 ‘-다니까’는 첫째, 기대에 어긋난 반응을 보이는 상대방에게 불만이나 불평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둘째, 한 발화 안에서 자신의 발화를 받아 강조하는 기능을 하는 ‘-다니까’는 앞선 발화가 드러나지 않는 상황으로 그 쓰임이 확장된다. 셋째, 현재 시점에서 어떤 상황을 경험하면서 이미 있던 내면적 앎을 확인하는 것인데 의미가 강조되어 감탄문처럼 쓰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s of the endings of the compound form "-danikka", and compare the connective ending ‘-danikka’ and the connective ending "-nikka"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First, the connective ending "-nikka" performs three semantic functions. It is used to connect causes and results, contextual background and experiences/in formations, and expectations with opposite results. But the connective ending "-danikka" functions to connect someone’s utterance with people"s reaction to it. ‘-danikka’ differs from ‘-nikka’ in the truth of the proposition of previous clauses, necessity, and the semantic factors of previous and following clauses. The reaction appears on the following clause of conjunct sentences with "-danikka", which may well meet or go against the speaker"s expectations. However, in cases where the response does not meet the speaker"s expectations in the conjunct sessions, the following clauses are omitted and rhetorical questions are combined. Therefore, in this type of sentence, the meaning of discontent or negation is strongly expressed, and the function of situational explanation in ‘-nikka’ is not revealed in ‘-danikka’.
      First, the final ending "-danikka" indicates the complaint or dissatisfaction of a person with a reaction contrary to the speaker’s expectations. Second, ‘-danikka’ functions to emphasize what the speaker has said within a sentence. And this can be used even if the speaker has not previously said anything as the usage expands. Third, ‘-danikka’ serves to confirm the knowledge that was already in place when experiencing a situation. It is used as an exclamation with an emphasis on mea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s of the endings of the compound form "-danikka", and compare the connective ending ‘-danikka’ and the connective ending "-nikka"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Fir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s of the endings of the compound form "-danikka", and compare the connective ending ‘-danikka’ and the connective ending "-nikka"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First, the connective ending "-nikka" performs three semantic functions. It is used to connect causes and results, contextual background and experiences/in formations, and expectations with opposite results. But the connective ending "-danikka" functions to connect someone’s utterance with people"s reaction to it. ‘-danikka’ differs from ‘-nikka’ in the truth of the proposition of previous clauses, necessity, and the semantic factors of previous and following clauses. The reaction appears on the following clause of conjunct sentences with "-danikka", which may well meet or go against the speaker"s expectations. However, in cases where the response does not meet the speaker"s expectations in the conjunct sessions, the following clauses are omitted and rhetorical questions are combined. Therefore, in this type of sentence, the meaning of discontent or negation is strongly expressed, and the function of situational explanation in ‘-nikka’ is not revealed in ‘-danikka’.
      First, the final ending "-danikka" indicates the complaint or dissatisfaction of a person with a reaction contrary to the speaker’s expectations. Second, ‘-danikka’ functions to emphasize what the speaker has said within a sentence. And this can be used even if the speaker has not previously said anything as the usage expands. Third, ‘-danikka’ serves to confirm the knowledge that was already in place when experiencing a situation. It is used as an exclamation with an emphasis on mea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은나, "현대국어 통합형 종결어미 연구 : 인용 구성과 접속어미의 융합 형식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2 이창덕, "현대국어 인용 체계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6 : 255-299, 1993

      3 채숙희, "현대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채숙희, "해석적 언어 사용의 두 측면에서 바라본 간접인용구문의 용법" 한민족어문학회 (87) : 87-120, 2020

      5 안경화, "한국어 인용 구문의 연구 : 유형과 융합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6 송대헌, "한국어 연결어미 ‘-니까’의 문법화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6) : 321-343, 2013

      7 손유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증거 양태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3) : 263-293, 2017

      8 전혜영, "접속어미 ‘-다면’의 의미 기능" 이화어문학회 7 : 243-256, 1984

      9 이경우, "접속어미 " - 아서 " 와 " - 니까 " 의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30 : 2025-2040, 1987

      10 구종남, "인용표지의 연결어미적 기능" 국어문학회 63 (63): 71-101, 2016

      1 배은나, "현대국어 통합형 종결어미 연구 : 인용 구성과 접속어미의 융합 형식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2 이창덕, "현대국어 인용 체계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6 : 255-299, 1993

      3 채숙희, "현대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채숙희, "해석적 언어 사용의 두 측면에서 바라본 간접인용구문의 용법" 한민족어문학회 (87) : 87-120, 2020

      5 안경화, "한국어 인용 구문의 연구 : 유형과 융합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6 송대헌, "한국어 연결어미 ‘-니까’의 문법화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6) : 321-343, 2013

      7 손유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증거 양태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3) : 263-293, 2017

      8 전혜영, "접속어미 ‘-다면’의 의미 기능" 이화어문학회 7 : 243-256, 1984

      9 이경우, "접속어미 " - 아서 " 와 " - 니까 " 의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30 : 2025-2040, 1987

      10 구종남, "인용표지의 연결어미적 기능" 국어문학회 63 (63): 71-101, 2016

      11 구종남, "인용접속문의 축약 현상 연구" 국어문학회 66 (66): 125-155, 2017

      12 안주호, "인용문과 인용표지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10 (10): 145-165, 2003

      13 이금희, "인용문 형식의 문법화?문법화 과정과 문법화 정도에 대하여" 국어학회 (48) : 233-258, 2006

      14 이필영, "인용구문의 의미 특성 연구" 한국언어학회 30 (30): 479-494, 2005

      15 구종남, "융합형 종결어미 ‘-다니까’의 의미와 문법화" 한민족어문학회 (85) : 81-116, 2019

      16 김수태, "우리말 인용표지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31 : 239-271, 1994

      17 이희자, "어미 조사 사전-전문가용" 한국문화사 2010

      18 엄정호, "동사구 보문의 범위와 범주" 국어학회 33 : 399-428, 1999

      19 안명철,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민음사 723-743, 1991

      20 이필영, "국어의 인용구문" 탑출판사 1993

      21 이지양, "국어의 융합현상" 태학사 1998

      22 김희진, "국어문법의 탐구 4" 태학사 375-421, 1998

      23 남기심, "국어 완형 보문법 연구" 계명대학 한국학연구소 1978

      24 김희경, "간접 인용문의 구조적 특징 연구" 한국어학회 52 : 51-82, 2011

      25 嚴正浩, "終結語尾와 補助動詞의 統合構文에 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0

      26 安明哲, "現代國語의 補文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27 李智凉, "國語의 融合現象과 融合形式"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