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인공종묘의 대량생산 = Mass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s in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5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ss production method on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was developed indoor culture system. Spawning of adult clam (SL 65.8 ± 8.4 mm) was induced using the combined method of air exposure and water temperature raising. The fertilized eggs were developed to D-shaped larvae after 17.7 hours at 27℃ and hatching rate was 6.1%. Shell length (SL) of D-shaped larvae was measured to be 131.4 ± 2.6 μm and thereafter the larvae grew to the settled spats with SL 190.2 ± 7.5 μm in 4 days. Estimated survival rate of settled spats was 48.1%. Spat collection on 130,000 spats with SL 0.19 ± 0.01 mm performed conducted by sand bottom circulation filtering method. Collected spats grew up to 3.1 ± 0.8 mm in 46 days, 6.6 ± 1.8 mm in 87 days, and 10.5 ± 0.9 mm in 114 days. The relative growth between SL and shell height (SH) was calculated to be SH = 0.8501SL + 0.0196 (R2 = 0.9987) during the whole spat period. During spats rearing, they were suffered from one time of mass mortality at SL 3.1 mm, but 51,000 spats were finally survived with the rate of 39.2% at 114 days of spat rearing in indoor tank system.
      번역하기

      Mass production method on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was developed indoor culture system. Spawning of adult clam (SL 65.8 ± 8.4 mm) was induced using the combined method of air exposure and water temperature rais...

      Mass production method on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was developed indoor culture system. Spawning of adult clam (SL 65.8 ± 8.4 mm) was induced using the combined method of air exposure and water temperature raising. The fertilized eggs were developed to D-shaped larvae after 17.7 hours at 27℃ and hatching rate was 6.1%. Shell length (SL) of D-shaped larvae was measured to be 131.4 ± 2.6 μm and thereafter the larvae grew to the settled spats with SL 190.2 ± 7.5 μm in 4 days. Estimated survival rate of settled spats was 48.1%. Spat collection on 130,000 spats with SL 0.19 ± 0.01 mm performed conducted by sand bottom circulation filtering method. Collected spats grew up to 3.1 ± 0.8 mm in 46 days, 6.6 ± 1.8 mm in 87 days, and 10.5 ± 0.9 mm in 114 days. The relative growth between SL and shell height (SH) was calculated to be SH = 0.8501SL + 0.0196 (R2 = 0.9987) during the whole spat period. During spats rearing, they were suffered from one time of mass mortality at SL 3.1 mm, but 51,000 spats were finally survived with the rate of 39.2% at 114 days of spat rearing in indoor tank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8 ± 8.4 mm의어미 100 개체로부터 공기노출과 수온상승자극 방법으로 채란하였으며, 수정란에서 D형유생까지 발생 소요시간은 수온 27℃에서 17시간 40분, 발생률은 6.1%, D형유생은 각장131.4 ± 2.6 μm였다. D형유생은 4일간 사육하여 각장190.2 ± 7.5 μm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48.1%였다. 이후 침착기 유생 130,000 개체를 저면 모래순환여과 방법으로 침착시켜 사육하였으며, 46일째 평균각장 3.1 ± 0.8 mm, 87일째 6.6 ± 1.8 mm, 그리고 114일째에 10.5± 0.9 mm로 성장하였다. 치패의 각장 (SL) 에 대한 각고(SH) 의 상대성장식은 SH = 0.8501SL + 0.0196 (R2 =0.9987) 로 나타났다. 초기 침착치패인 각장 3.1 mm 이하에서 대량폐사가 일어났으며, 생존율은 사육 46일째 53.8%, 87일째 43.6%, 그리고 114일째에 51,000 개체가 생존하여 생존율 39.2%를 나타냈다.
      번역하기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8 ± 8.4 mm의어미 100 개체로부터 공기노출과 수온상승자극 방법으로 채란하였으며, 수정란에...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8 ± 8.4 mm의어미 100 개체로부터 공기노출과 수온상승자극 방법으로 채란하였으며, 수정란에서 D형유생까지 발생 소요시간은 수온 27℃에서 17시간 40분, 발생률은 6.1%, D형유생은 각장131.4 ± 2.6 μm였다. D형유생은 4일간 사육하여 각장190.2 ± 7.5 μm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48.1%였다. 이후 침착기 유생 130,000 개체를 저면 모래순환여과 방법으로 침착시켜 사육하였으며, 46일째 평균각장 3.1 ± 0.8 mm, 87일째 6.6 ± 1.8 mm, 그리고 114일째에 10.5± 0.9 mm로 성장하였다. 치패의 각장 (SL) 에 대한 각고(SH) 의 상대성장식은 SH = 0.8501SL + 0.0196 (R2 =0.9987) 로 나타났다. 초기 침착치패인 각장 3.1 mm 이하에서 대량폐사가 일어났으며, 생존율은 사육 46일째 53.8%, 87일째 43.6%, 그리고 114일째에 51,000 개체가 생존하여 생존율 39.2%를 나타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성규, "천해양식" 구덕출판사 251-261, 2000

      2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품종별 표준 설계도" 구덕인쇄사 45-49, 1996

      3 김태익, "먹이생물에 따른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유생의 성장 및 생존" 한국패류학회 27 (27): 175-180, 2011

      4 김태익,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의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 염분, 수용밀도의 영향" 한국패류학회 27 (27): 167-173, 2011

      5 김병학,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어미의 사육수온에 따른 성 성숙 유도" 한국패류학회 25 (25): 113-119, 2009

      6 伊藤進, "松川浦に於けるアサリ" 2 : 1-13, 1954

      7 藤森三郞, "有明海干瀉利用硏究報告" 福岡水試 175-, 1929

      8 宍戶一郞, "仙台地方貝類産卵期" 27-116, 1895

      9 內藤新吾, "主要貝類の産卵時期調査" 昭和5年度 21-23. 21-23, 1930

      10 上城義信, "ハマグリ人工種苗と稚貝の飼育" 7 : 39-50, 1978

      1 유성규, "천해양식" 구덕출판사 251-261, 2000

      2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품종별 표준 설계도" 구덕인쇄사 45-49, 1996

      3 김태익, "먹이생물에 따른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유생의 성장 및 생존" 한국패류학회 27 (27): 175-180, 2011

      4 김태익,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의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 염분, 수용밀도의 영향" 한국패류학회 27 (27): 167-173, 2011

      5 김병학,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어미의 사육수온에 따른 성 성숙 유도" 한국패류학회 25 (25): 113-119, 2009

      6 伊藤進, "松川浦に於けるアサリ" 2 : 1-13, 1954

      7 藤森三郞, "有明海干瀉利用硏究報告" 福岡水試 175-, 1929

      8 宍戶一郞, "仙台地方貝類産卵期" 27-116, 1895

      9 內藤新吾, "主要貝類の産卵時期調査" 昭和5年度 21-23. 21-23, 1930

      10 上城義信, "ハマグリ人工種苗と稚貝の飼育" 7 : 39-50, 1978

      11 上城義信, "ハマグリの人工採苗の成長とその生態に關する二, 三の實驗" 8 : 1-8, 1979

      12 小形國三, "ハマグリ. 淺海養殖60種" 大成出版社 228-236, 1965

      13 Chung, E.Y., "Ultrastructural study of germ cell development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10 : 181-202, 2000

      14 Choi, S.S., "Studies on the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eretrix lusoria" 7 : 1-6, 1974

      15 Taki, I., "Spawning season of Meretrix lusoria (Bivalve)" 15 : 479-486, 1949

      16 Sagara, J., "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the development of hard clam, Meretrix Meretrix lusoria" 22 : 27-32, 1958

      17 Lee, J.H., "Histological studies on the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13 : 131-141, 1997

      18 Choi, K.C., "Ecological studies of the clam, Meretrix lusoria and Cyclina sinenis for the increasing seed clam yield" 4 : 9-19, 1971

      19 Hur, Y.B., "Dietary value of microalgae for larvae culture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04

      20 Choi, S.S., "Comparative studies on th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growth of Meretrix lusoria and Cyclina sinensis" 8 : 185-195, 1975

      21 Iwata, K.S., "Artificial discharge of reproductive substances by potassium salts injection in Venerupis philippinarum, Meretrix lusoria and Mactra sulcataria (Bivalves)" 13 : 237-240, 1948

      22 Sagara, J., "Artificial discharge of reproductive elements of certain bivalves caused by treatment of sea water and by injection with NH4OH" 23 : 505-510, 1958

      23 Choi, S.S., "A study on the artificial discharge and young clam culture of Meretrix lusoria" 9 : 7-14, 1976

      24 Numaguchi, K., "A preliminary trial to induc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common oriental clam, Meretrix lusoria out of spawning season" 28 : 118-120,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331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