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천능력의 향상을 위한 초등 도덕 교과서 단원 재구성 -Dewey "경험의 계속성"을 중심으로 = Unit Reconstruction for Moral Practice Capability Improvement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Focusing on Continuity of Experience in Dewey s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0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교육이 지향하는 실천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두고 교과서의 단원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도덕교과서는 ‘기본적이고 중심적인 자료``이기에 교사의 재구성 능력을 통해 보다 나은 수업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교과서는 덕목의 의미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판단하는데 중점이 있기 때문에 <이해-탐구-탐구-탐구>의 형태로 단원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학생들이 실생활 속에서 실천한 것을 수업 중에 다루지 못하게 된다. 왜냐하면 실천계획을 세우는것은 맨 마지막 차시에 위치하게 되고, 실천 연습은 사후과제로 제시되어 실천 결과를 반성할 단계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계획 및 반성의 단계가 중심이 되도록 <이해-탐구-실천-탐구>의 절차로 단원을 재구성 하였다. 변경된 절차에 따르면 학생들은 덕목의 의미를 이해한 후 생활 속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결정하게 된다. 이 후 실천계획을 세우고 일주일 동안의 실천연습을 경험한 후 수업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게 된다. 도덕적 문제 사태의 해결 방법은 모범답안처럼 주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 속에서 역동적으로 찾아 나가야 하는 과정임을 알게 되고 이는 자연스럽게 ‘굳건한 인성’으로 이어진다. 단원 재구성의 원리는 Dewey의 ‘경험의 계속성’에 토대하였다. 왜냐하면 도덕적 경험이 계속될 때만이 학생의 삶이 도덕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경험이 계속 되기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흥미’가 있어야 하고 ‘실천’해 보아야 하며 실천 내용을 ‘반성’해야 한다. 또한 세 단계는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확대되어야 한다. 연구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의 계속성’의 의미와 구성 요소를 탐구하였다. 이후 ‘경험의 계속성’에 근거하여 4학년 도덕 교과서 1단원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의 내용을 토대로 ‘경험의 계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원 재구성 사례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교육이 지향하는 실천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두고 교과서의 단원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도덕교과서는 ‘기본적이고 중심적인 자료``이기에 교사의 재구성 능...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교육이 지향하는 실천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두고 교과서의 단원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도덕교과서는 ‘기본적이고 중심적인 자료``이기에 교사의 재구성 능력을 통해 보다 나은 수업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교과서는 덕목의 의미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판단하는데 중점이 있기 때문에 <이해-탐구-탐구-탐구>의 형태로 단원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학생들이 실생활 속에서 실천한 것을 수업 중에 다루지 못하게 된다. 왜냐하면 실천계획을 세우는것은 맨 마지막 차시에 위치하게 되고, 실천 연습은 사후과제로 제시되어 실천 결과를 반성할 단계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계획 및 반성의 단계가 중심이 되도록 <이해-탐구-실천-탐구>의 절차로 단원을 재구성 하였다. 변경된 절차에 따르면 학생들은 덕목의 의미를 이해한 후 생활 속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결정하게 된다. 이 후 실천계획을 세우고 일주일 동안의 실천연습을 경험한 후 수업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게 된다. 도덕적 문제 사태의 해결 방법은 모범답안처럼 주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 속에서 역동적으로 찾아 나가야 하는 과정임을 알게 되고 이는 자연스럽게 ‘굳건한 인성’으로 이어진다. 단원 재구성의 원리는 Dewey의 ‘경험의 계속성’에 토대하였다. 왜냐하면 도덕적 경험이 계속될 때만이 학생의 삶이 도덕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경험이 계속 되기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흥미’가 있어야 하고 ‘실천’해 보아야 하며 실천 내용을 ‘반성’해야 한다. 또한 세 단계는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확대되어야 한다. 연구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의 계속성’의 의미와 구성 요소를 탐구하였다. 이후 ‘경험의 계속성’에 근거하여 4학년 도덕 교과서 1단원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의 내용을 토대로 ‘경험의 계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원 재구성 사례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it reconstruction for moral practice capability improvement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Virtue of the existing textbooks had to focus on understanding and judgment. So lesson is <Understanding - inquiry - inquiry - inquiry> was composed of a sequence. According to this, students during school hours does not deal with practical actions. Because Practice plan is located in the last section. And may not reflect on their own behavior. They can not look back on their behavior is right or wrong. So they can``t judge their actions. To solve this problem, unit reconstruct like <Understand - inquiry - practice - inquiry>. Students practice during a week. And they look back on practice during class time. Finally they find the answer by themselves. This study based on ‘Continuity of experience’ ln Dewey’s theory. ‘Continuity of experience’ is composed of the ‘interesting’, ‘action’, ‘reflection’. These are continuously repeated and expanded. Studies by the following. First, find out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the“continuity of experience”. Second, analyze the unit in terms of “continuity of experience”. Third, reconstruct unit based on “continuity of experi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it reconstruction for moral practice capability improvement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Virtue of the existing textbooks had to focus on understanding and judgment. So lesson is <Understanding - inquiry - inq...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it reconstruction for moral practice capability improvement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Virtue of the existing textbooks had to focus on understanding and judgment. So lesson is <Understanding - inquiry - inquiry - inquiry> was composed of a sequence. According to this, students during school hours does not deal with practical actions. Because Practice plan is located in the last section. And may not reflect on their own behavior. They can not look back on their behavior is right or wrong. So they can``t judge their actions. To solve this problem, unit reconstruct like <Understand - inquiry - practice - inquiry>. Students practice during a week. And they look back on practice during class time. Finally they find the answer by themselves. This study based on ‘Continuity of experience’ ln Dewey’s theory. ‘Continuity of experience’ is composed of the ‘interesting’, ‘action’, ‘reflection’. These are continuously repeated and expanded. Studies by the following. First, find out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the“continuity of experience”. Second, analyze the unit in terms of “continuity of experience”. Third, reconstruct unit based on “continuity of exper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ewey, John.,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교우사 2010

      2 송영민, "흥미를 고려한 초등 도덕과 교재 구성안"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6 : 121-142, 2005

      3 서강식, "초등 도덕교과서 개선을 위한 발문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6) : 5-38, 2008

      4 변순용, "초등 도덕과 교과서 개발에서 실천윤리 반영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12, 2010

      5 권혜선, "초등 교사의 교과서 중심 도덕 수업에 대한 이해"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4) : 1-28, 2014

      6 김은수, "초등 『도덕』 외적 체재 개선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23 (23): 237-268, 2007

      7 이영문, "윌슨의 개념분석법에 따른 도덕과의 개념 분석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 (6): 61-83, 2010

      8 이미식, "영화를 활용한 도덕과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2 (12): 129-152, 2008

      9 이인재, "영역에 적합한 초등 도덕교육의 실천 전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도덕성 함양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6 (26): 261-294, 2008

      10 김상봉, "도덕교육의 파시즘" 도서출판 길 2005

      1 Dewey, John.,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교우사 2010

      2 송영민, "흥미를 고려한 초등 도덕과 교재 구성안"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6 : 121-142, 2005

      3 서강식, "초등 도덕교과서 개선을 위한 발문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6) : 5-38, 2008

      4 변순용, "초등 도덕과 교과서 개발에서 실천윤리 반영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12, 2010

      5 권혜선, "초등 교사의 교과서 중심 도덕 수업에 대한 이해"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4) : 1-28, 2014

      6 김은수, "초등 『도덕』 외적 체재 개선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23 (23): 237-268, 2007

      7 이영문, "윌슨의 개념분석법에 따른 도덕과의 개념 분석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 (6): 61-83, 2010

      8 이미식, "영화를 활용한 도덕과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2 (12): 129-152, 2008

      9 이인재, "영역에 적합한 초등 도덕교육의 실천 전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도덕성 함양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6 (26): 261-294, 2008

      10 김상봉, "도덕교육의 파시즘" 도서출판 길 2005

      11 허재복, "도덕과 수업에서 있어 동기유발 방법연구-어린이 도덕철학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23 (23): 73-101, 2007

      12 교육부, "도덕 4 교사용지도서" 천재교육 2014

      13 교육부, "도덕 4" 천재교육 2014

      14 Dewey, John, "교육의 도덕적 원리 (Moral Principles in Education)" 교우사 2011

      15 Dewey, John, "경험과 교육" 문음사 2012

      16 김재식, "‘도덕적 행위’ 중심의 초등 도덕 교과서 구성"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 (3): 35-64, 2007

      17 박세원, "STS 저널쓰기를 통한 초등학생의 도덕적 성장 이야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0 (10): 67-108, 2006

      18 교육부, "2009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