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가정의 확산으로 인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생태체계적 맥락에 근거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148412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89-221(33쪽)
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가정의 확산으로 인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생태체계적 맥락에 근거하여,...
최근,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가정의 확산으로 인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생태체계적 맥락에 근거하여,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살펴보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수집은 부산시에 거주하는 632명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 문제와 정신건강 영향요인을 고찰할 수 있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학력과 소득수준, 자녀유무 등의 변인에서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 수준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과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관계 등과의 상관관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태체계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위계적 회귀모형에서는 조사대상자들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다음의 요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들이 정신건강의 44.5%를 설명해 주었다. 조사결과,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는 학력과 소득수준,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교류 정도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생활사건으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들 중에서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문화적응스트레스 변인이었으며, 가족체계 관련변인들의 영향력 또한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여성결혼이 민자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을 제안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viding high quality and effective health care service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that are due to increasing culturally diversity and multi-cultural family in these day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ecological...
Providing high quality and effective health care service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that are due to increasing culturally diversity and multi-cultural family in these day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marriage migrant women`s mental health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Research subjects consist of 632 marriage migrant women who are living in Busan Cit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variables such as education, monthly income, presence of children regarding to mental health problem. Second, mental health problem was found to be strong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on stress positively and family relationship negatively. Third, hierarchi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higher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frequent social contact with Koreans and much more the number of social support they had, the more positive mental health status they acquired. However, Higher acculturation stress and exposure to family distress ev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The explanatory power was 44.5% and the most powerful impact factors wa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n factors regarding to family system was also important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Psychiatric social work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those women`s mental health and cultural adaptation were suggest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신선인,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과한 연구 Ⅰ-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46 : 210-235, 2001
3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4 염미경, "제주사회의 여성결혼이민자들-선택과 딜레마, 그리고 적응-" 선인 2007
5 김동인, "정신질환자 선별을 위한 한국판 일반정신건강검사(General Health Questionnair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27 : 221-230, 2001
6 이기영, "이주난민의 정신건강과 상담" 나눔의 집 2009
7 안준희, "이주 애도 (migratory grief)와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6) : 219-253, 2007
8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기초연구" 문화관광부 2005
9 김민경,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33-76, 2006
10 통계청,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통계청 2009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신선인,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과한 연구 Ⅰ-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46 : 210-235, 2001
3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4 염미경, "제주사회의 여성결혼이민자들-선택과 딜레마, 그리고 적응-" 선인 2007
5 김동인, "정신질환자 선별을 위한 한국판 일반정신건강검사(General Health Questionnair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27 : 221-230, 2001
6 이기영, "이주난민의 정신건강과 상담" 나눔의 집 2009
7 안준희, "이주 애도 (migratory grief)와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6) : 219-253, 2007
8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기초연구" 문화관광부 2005
9 김민경,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33-76, 2006
10 통계청,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통계청 2009
11 김연수,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 217-252, 2007
12 양옥경,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6) : 79-110, 2007
13 김현숙, "부산지역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16 (16): 1-14, 2006
14 부산광역시, "부산시 결혼이민자 통계 현황분석 & 결혼이민자 지원기관 네트워크 리플렛"
15 김현재, "베트남여성의 한국으로의 결혼이민:그 배경과 원인에 대한 고찰" 동아연구소 (52) : 219-254, 2007
16 채옥희,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1-74, 2007
17 최명민,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학지사 2009
18 김유경, "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연구-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9 김은미, "다문화사회 한국" 나남 2009
20 손병돈, "다문화가족복지 관련 외부 환경분석. in: 다문화가족복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장기발전 전략 연구보고서" 평택대학교 특성화사업단 8-35, 2007
21 양옥경, "다문화가족 지역정착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22 김민경,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47-73, 2007
23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24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151-182, 2006
25 김연수, "남편의 아내모국문화 이해노력과 심리사회적 지지가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59-580, 2007
26 설동훈, "국제여성결혼이민자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27 이영주, "국제 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83-105, 2007
28 김오남, "결혼이민자가족의 이해" 집문당 2008
29 김지은, "“한국인 아내” 만들기:베트남 여성 사례를 통해 본 결혼이민의 제도화" 비교문화연구소 13 (13): 41-72, 2007
30 Kirmayer, L. J., "Use of health care services for psychological distress by immigrants in an urban multicultural milieu" 52 (52): 295-304, 2007
31 Eagles, J., "The relationship between schizophrenia and immigration: Are three alternatives to psychosocial hypotheses?" 159 : 783-789, 1991
32 Mumford, D. B., "The measurement of culture shock" 33 : 14-154, 1998
33 Germain, C., "The life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Advances in theory and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34 Nicholson, B. L., "The influence of pre-emigration and postemigration stressors on mental health: A study of Southeast Asian refugees. in: Multicutural issues in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NASW Press 635-653, 1999
35 Hudson, W. W., "The WALMYR Assessment Scales Scoring Manual" WALMYR Publishing Company 1997
36 Wang, J.,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on Major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47 (47): 167-173, 2002
37 Castles, S., "The Age of Migraion(4th ed)" Guilford 2009
38 Hoschl, C., "Symposium: The impact of migration on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23 (23): 2008
39 Fossion, P., "Psychosis, migration and social environment: an age-and-gender controlled study" 19 : 338-343, 2004
40 Sluzki, C., "Psychogische Pahasen der Migration und ihrer Auswirkungen. in: Tramskulturelle Psychiatrie" Psychiatrie-Verlag 101-115, 2001
41 Ponizovsky, A. M., "Patterns of Loneliness in an Immigrant Population" 45 (45): 408-414, 2004
42 Johns, F., "Migration, Mental heatlh, and human rights" 27 : 505-509, 2004
43 Lindert, J., "Mental health care utilisation of migrants in Euro" 23 : 14-20, 2008
44 Spanier, G. B.,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in: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3rd ed) vol 1" Free Press 108-111, 1994
45 Kleimman, A., "Major conceptual and research issues for cultural psychiatry" 4 (4): 3-23, 1980
46 Juss, S. S., "International Migration and Global Justice" Ashgate Publishing Company 2007
47 Berry, J. 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ion" 46 (46): 5-68, 1997
48 Menjivar, C., "Immigran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common experience in different countries" 16 (16): 898-920, 2002
49 James, S., "Cultural diversity and mental health toward integrative practice" 22 : 1133-1154, 2002
50 Berry, J. W., "Cross-Cultural Psychology-Research and Application(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1 Donnelly, T. T., "Contextual analysis of coping: implications of for immigrants' mental health care" 23 : 715-732, 2002
52 UN CERD., "Consideration of Reports Submitted by State Parties Under Article 9 of the Convention: Concluding Observations of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Republic of Korea"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2007
53 Potocky-Tripodi, Miriam., "Best Practices for social work with Refugees & Immigr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54 Mui. A. C., "Acculuratio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Asian immigrant Elders" 51 (51): 243-255, 2006
55 Oh, Y., "Acculturation stress and depressive symtoms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142 (142): 511-526, 2002
56 Cruellar, I., "Acculturation rating scale for Mexican Americans-Ⅱ: Ar revision of the original ARSMA scale" 17 : 275-304, 1995
57 Berry, J. W.,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3: Scocial behavior and applications(2nd ed)" Allyn and Bacon 291-326, 1997
58 Tran, Thanh. V., "A measure of english acculuration stress and its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in a sample of elderly russian immigrants" 50 (50): 37-50, 2008
59 Sarasson, I., "A brief measure of social support: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4 : 497-510, 1987
60 Goldberg, D. P., "A Scaled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9 : 139-145, 1979
61 출입국, "2009 출입국 외국인 정책통계" 법무부 2009
62 통계청, "2005년 결혼․이혼 통계결과" 인구동태 2006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대처기술훈련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2-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 |
2019-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6-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Mental Health & Social Work | ![]() |
2007-03-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 | 1.87 | 2.195 | 0.27 |
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