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도시재생사업이 근린상권의 창·폐업과 점포 수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on Start-ups, Closures, and the Number of Stores in Neighborhood Commercial Distri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5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in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t studie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jects interms of revitalizing a neighborhood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numbe...

      Nin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t studie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jects interms of revitalizing a neighborhood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number of start-ups, closures, andstores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implemented and its surrounding are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jects,difference-in-difference methods were performed using commercial area information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number ofstart-ups in the 100m×100m grid increased by 0.507 a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implemented. On the other hand, an average of0.901 business closures occurred in the areas where such a project was implemented after the completion of it. As a result, after the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2.35 stores decreased in the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재생사업이 9년차에 접어들었다. 2022년 9월 기준 전국 534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한편, 2014년 도시재생선도지역과 2016년 도시재생 일반지역에서 사업 종료 지역들이 등장...

      도시재생사업이 9년차에 접어들었다. 2022년 9월 기준 전국 534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한편, 2014년 도시재생선도지역과 2016년 도시재생 일반지역에서 사업 종료 지역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도시재생사업이 성숙기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사업 종료 지역에 대한 변화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도시재생사업 추진의 타당성을 확보하고(Yun & Nam, 2018), 재생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재점검한다는 측면에서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은 주거복지, 도시 활력 회복, 일자리 창출, 공동체 회복을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사업의 성과 역시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부문에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사업 종료지역의 내생적 발전과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경제적 부문에 미친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시재생사업 지역이 위치한 쇠퇴지역은 자영업자와 소규모 기업 비율이 높고, 이들은 원도심 내 전통시장, 주거지역, 골목상권 등 근린상권에서 경제 활동을 영위하고 있다. 근린상권은 경제 활동뿐만 아니라 상인과 지역주민들의 정보교류, 사교, 오락 등 다양한 사회기능이 결합된 지역 거점공간으로서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Kim, 2014).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근린상권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은 도시재생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과 근린상권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근린상권의 임대료 변화, 부동산 가격 변화로 대표되는 전트리피케이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데 집중해왔다. 또한, 연구 대상지 대부분이 수도권 및 대도시 도시재생사업지역에 국한되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을 쇠퇴지역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현재 도시재생사업지역의 근린상권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보다 점포 폐업, 점포의 지속 운영이 어려운 상황에 봉착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이 종료된 도시재생선도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근린상권의 창업 건수, 폐업 건수, 점포 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재생사업의 근린상권에 미친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은 1차적으로 해당 구역계 내부, 2차적으로 주변지역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도시재생사업과 그 주변지역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도시재생사업 추진 기간과 도시재생사업 종료 이후에 도시재생사업 일대의 창·폐업 건수, 점포 수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