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周) · 진(秦)의 국가철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70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대한인의 고대국가인 주·진(周·秦: B.C. 1122∼B.C. 206)시대의 국가철학에 관한 연구를 한 논문이다. 대한국인들의 근면성과 성실성, 자연질서의 존중, 충효, 선행의 실천 등이 신라의 풍류도에서 비롯되었고, 신라인들의 풍류도는 무언무위의 가르침 즉 자연의 질서인 순리를 따르는 것과 현실에 대한 적극적 태도인 호국사상인 나라를 사랑하는 충성심과 부모를 공경하는 효를 실천하고, 선한 행위를 하여 대중을 교화하는 것이다. 이를 최치원 선생은 유불선의 조화를 이룬 풍류도라하고 난랑비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대륙신라(B.C. 57)이전에 대륙에 존재했던 고대국가들인 한국·배달·조선(요·순·하·은·상)시대의 고대사상은 한국오훈, 천부경, 제세이화·홍익인간, 삼일신고, 단군왕검, 팔교령, 팔조금법 등에서 노자의 사상인 도가의 자연의 순리사상과 공자의 유가의 사상, 한비자의 법가의 사상의 맥을 알 수 있다. 주나라는 또 다른 대륙에 존재했던 서남조선국으로서 도가·유가·법가의 사상이 체계를 이루어 국가철학으로 승화된 시대이다. 진나라시대에는 진나라의 법가사상만이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시대의 통치도구로 활용되었다. 대륙동남조선의 고대국가는 진나라로부터 분리되는 무제유방이 세운 漢(B.C. 206∼A.D.7)나라로부터 현재의 중국민족의 역사가 시작되는 것으로 파악하여 신라건국이전의 국가인 번조선(B.C.341∼B.C.194), 고구려(B.C.231∼A.D.668), 백제(B.C.213∼A.D.660), 진(B.C.220∼B.C.206) 중 진의 법가와 주의 도가 및 유가를 대한인의 국가철학으로 포함하였다. 대한인의 고대국가철학인 도가·유가·법가를 연구하여 민족주체사관정립에 기여하고,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헌법이 도가·유가·법가의 맥을 이었고, 민족철학이 대망의 민족의 대통합의 길에 기여하길 바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대한인의 고대국가인 주·진(周·秦: B.C. 1122∼B.C. 206)시대의 국가철학에 관한 연구를 한 논문이다. 대한국인들의 근면성과 성실성, 자연질서의 존중, 충효, 선행의 실천 등이 신라�...

      이 논문은 대한인의 고대국가인 주·진(周·秦: B.C. 1122∼B.C. 206)시대의 국가철학에 관한 연구를 한 논문이다. 대한국인들의 근면성과 성실성, 자연질서의 존중, 충효, 선행의 실천 등이 신라의 풍류도에서 비롯되었고, 신라인들의 풍류도는 무언무위의 가르침 즉 자연의 질서인 순리를 따르는 것과 현실에 대한 적극적 태도인 호국사상인 나라를 사랑하는 충성심과 부모를 공경하는 효를 실천하고, 선한 행위를 하여 대중을 교화하는 것이다. 이를 최치원 선생은 유불선의 조화를 이룬 풍류도라하고 난랑비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대륙신라(B.C. 57)이전에 대륙에 존재했던 고대국가들인 한국·배달·조선(요·순·하·은·상)시대의 고대사상은 한국오훈, 천부경, 제세이화·홍익인간, 삼일신고, 단군왕검, 팔교령, 팔조금법 등에서 노자의 사상인 도가의 자연의 순리사상과 공자의 유가의 사상, 한비자의 법가의 사상의 맥을 알 수 있다. 주나라는 또 다른 대륙에 존재했던 서남조선국으로서 도가·유가·법가의 사상이 체계를 이루어 국가철학으로 승화된 시대이다. 진나라시대에는 진나라의 법가사상만이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시대의 통치도구로 활용되었다. 대륙동남조선의 고대국가는 진나라로부터 분리되는 무제유방이 세운 漢(B.C. 206∼A.D.7)나라로부터 현재의 중국민족의 역사가 시작되는 것으로 파악하여 신라건국이전의 국가인 번조선(B.C.341∼B.C.194), 고구려(B.C.231∼A.D.668), 백제(B.C.213∼A.D.660), 진(B.C.220∼B.C.206) 중 진의 법가와 주의 도가 및 유가를 대한인의 국가철학으로 포함하였다. 대한인의 고대국가철학인 도가·유가·법가를 연구하여 민족주체사관정립에 기여하고,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헌법이 도가·유가·법가의 맥을 이었고, 민족철학이 대망의 민족의 대통합의 길에 기여하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Choson Zeit(2333-285 v. chr.) Dangun-Wanggeum gründete 2333 v. chr. seine Hauptstadt in Pyongyang(Peking) und nannte von der Zeit an sein Land Choson. Der König Han-Sori gründete eine Staatsuniversität und erliß 1107 v. chr. folgende acht Gesetze: 1. Der Mörder muß sterben. 2. Der Schädiger muß mit Getreide entschädigen. 3. Der Räuber wird mit seiner Familie zum Sklaven gemacht. 4. Der Dieb wird zum Sklaven gemacht. 5. Der Mann arbeitet auf dem Gut. 6. Die Frau webt zu Hause das Tuch. 7. Der Mann hat eine Frau. 8. Man soll nicht in jemandes Pflicht eingreifen. II. Zu Zeit(1122-220 v. chr.) In die Koreanishe-Philosophie schloß der Gelehrte, Wie bereits ausgefüht hauptsächlich die kosmos-Theörie mit die Taoism von Noza und die Psychologische Philosophie ein, nämlich die Vernunft und dei Gemütsart mit das Konfuzianismus von Konza. III. Chin Zeit(220-194 v. chr.) In die Koreanische-Philosophie schloß die eine Rechtsstaates von Hanbiza sein. Die Bedeutung der rechssaatlichen Ordnung erschöpft sich nicht, wie das überkommene Verständis dies annimmt, in der Sicherung von Grundsäzen des Rechts und der bloßen Einschränkung staatlicher Gewalt zugunsten der Freiheit des einzelnen.
      번역하기

      I. Choson Zeit(2333-285 v. chr.) Dangun-Wanggeum gründete 2333 v. chr. seine Hauptstadt in Pyongyang(Peking) und nannte von der Zeit an sein Land Choson. Der König Han-Sori gründete eine Staatsuniversität und erliß 1107 v. chr. folgende acht Gese...

      I. Choson Zeit(2333-285 v. chr.) Dangun-Wanggeum gründete 2333 v. chr. seine Hauptstadt in Pyongyang(Peking) und nannte von der Zeit an sein Land Choson. Der König Han-Sori gründete eine Staatsuniversität und erliß 1107 v. chr. folgende acht Gesetze: 1. Der Mörder muß sterben. 2. Der Schädiger muß mit Getreide entschädigen. 3. Der Räuber wird mit seiner Familie zum Sklaven gemacht. 4. Der Dieb wird zum Sklaven gemacht. 5. Der Mann arbeitet auf dem Gut. 6. Die Frau webt zu Hause das Tuch. 7. Der Mann hat eine Frau. 8. Man soll nicht in jemandes Pflicht eingreifen. II. Zu Zeit(1122-220 v. chr.) In die Koreanishe-Philosophie schloß der Gelehrte, Wie bereits ausgefüht hauptsächlich die kosmos-Theörie mit die Taoism von Noza und die Psychologische Philosophie ein, nämlich die Vernunft und dei Gemütsart mit das Konfuzianismus von Konza. III. Chin Zeit(220-194 v. chr.) In die Koreanische-Philosophie schloß die eine Rechtsstaates von Hanbiza sein. Die Bedeutung der rechssaatlichen Ordnung erschöpft sich nicht, wie das überkommene Verständis dies annimmt, in der Sicherung von Grundsäzen des Rechts und der bloßen Einschränkung staatlicher Gewalt zugunsten der Freiheit des einzeln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주(周)·진(秦)의 국가철학(B.C. 1115-B.C. 206)
      • III. 도가ㆍ유가ㆍ법가의 국가철학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주(周)·진(秦)의 국가철학(B.C. 1115-B.C. 206)
      • III. 도가ㆍ유가ㆍ법가의 국가철학
      • IV.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張繼宗, "歷代神仙通鑑 11권" 1696

      2 程樹德, "論語集釋" 中華書局 1990

      3 馮達甫, "老子譯注" 上海古籍出版社 1991

      4 성백효, "현토완역-대학중용집주" 전통문화연구회 1991

      5 김상일, "한철학" 전망사 1988

      6 왕굉빈, "한비자" 베이징 북스 2012

      7 송호수, "한민족의 뿌리사상" 가나출판사 1987

      8 이중재, "한민족사" 평화사 1991

      9 임승국,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986

      10 김석근,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2002

      1 張繼宗, "歷代神仙通鑑 11권" 1696

      2 程樹德, "論語集釋" 中華書局 1990

      3 馮達甫, "老子譯注" 上海古籍出版社 1991

      4 성백효, "현토완역-대학중용집주" 전통문화연구회 1991

      5 김상일, "한철학" 전망사 1988

      6 왕굉빈, "한비자" 베이징 북스 2012

      7 송호수, "한민족의 뿌리사상" 가나출판사 1987

      8 이중재, "한민족사" 평화사 1991

      9 임승국,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986

      10 김석근,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2002

      11 최용기, "한국ㆍ배달ㆍ조선의 국가철학" 한국헌법학회 8 (8): 2002

      12 송호수, "한겨레의 뿌리얼" 개천대학 출판부 2000

      13 최용기, "통일헌법" 창원대 출판부 1996

      14 이석호, "춘추좌전(신완역 사서오경 10,11,12)" 평범사 1980

      15 리유립, "천부경 연구" 한배달 1994

      16 김용옥, "중용 인간의 맛" 통나무 2012

      17 펑우란, "중국철학사(상)" 까치 2013

      18 펑유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2010

      19 거자오광, "중국사상사" 일빛 2013

      20 곽보균, "중국 청동기 시대" 삼련서점 1977

      21 펑유란, "중국 철학의 정신「新原道」" 서광사 1993

      22 김도연, "주주금석 논어" 현음사 1990

      23 송영배, "제자백가의 사상" 현음사 1994

      24 마왕퇴, "전고일서석문" 문물출판사 1974

      25 조관희, "장자(풀어쓴 고전4)" 청아출판사 1988

      26 이기동, "장자 : 내편" 동인서원 2001

      27 오재성, "예조선사" 다물구리 2008

      28 호광등, "예기집설대전" 학민문화사 1990

      29 남만성, "예기(신완역사서오경 7,8,9)" 평범사 1980

      30 콜링우드, "역사의 관념" 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86

      31 하조무, "역사와 역사학" 옥스퍼드대학 출판사 1995

      32 최대림, "순자" 홍신문화사 2003

      33 김종무, "석분정오-논어신해" 민음사 1989

      34 김부식, "삼국사기 제1권"

      35 정범진, "사기본기" 까치 1994

      36 "북애노인찬" 규원사화 1675

      37 고준환, "반만년 대륙민족의 영광사, 하나되는 한국사" 한국교육진흥재단 2002

      38 기세춘, "묵자" 나루 1992

      39 허경진, "맹자(풀어쓴 고전)" 청아출판사 1988

      40 최용기, "대한헌법" 대명출판사 2000

      41 이을호, "대학중용(박영문고118)" 박영사 1976

      42 이기동, "논어강설" 성균관대 출판부 2008

      43 차주환, "논어ㆍ맹자(을유문고22, 139)" 을유문화사 1969

      44 장기근, "논어ㆍ맹자(신완역 사서오경 1,2)" 평범사 1980

      45 김용옥, "노자와 21세기" 통나무 1999

      46 우현민, "노자ㆍ장자(박영문고114)" 박영사 1976

      47 김용옥, "노자-길과 얻음" 통나무 1989

      48 박일봉, "노자 도덕경" 청문사 1996

      49 이기동, "노자" 동인서원 2001

      50 오재성, "구리계 번조선사" 다물구리 2008

      51 張覺, "韓非子 全譯(上ㆍ下)" 貴州人民出版社 1992

      52 劉建國, "莊子譯注" 吉林文史出版社 1993

      53 馬持盈, "臺灣商務印書館" 臺北 1979

      54 楊任之, "白話荀子" 嶽麓書社 1991

      55 班固, "漢書" 中華書局 1974

      56 梁海明, "戰國 韓非: 韓非子" 山西古籍出版社 1999

      57 楊伯峻, "孟子譯注(上ㆍ下)" 中華書局

      58 焦循, "孟子正義(上ㆍ下)" 中華書局 1987

      59 司馬遷, "史記" 中華書局 1982

      60 Arthur F Wright, "studies in Chinese Thought" Univ. of Chicago Press 1953

      61 Arthur Waley, "Three ways of Thought in Ancient China" Allen & Unwin 1939

      62 Lin Yutang, "The Wisdom of China and India" Random House 1942

      63 Y. P. Mei, "The Neglected Rival of Confucius" Probsthain 1934

      64 H. G. Creel, "The Man and the Myth" John Day 1949

      65 E:R. Hughes, "The Great Learning and the Mean-in-Action" Dutton 1943

      66 Hu Shin, "The Development of the Logical Method in Ancient" oriental Book co. 1928

      67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clarendon Press 1893

      68 J.J.L.Duy Vendk, "The Book of the way and Its Virture" John Murray 1954

      69 Arthur Waley, "The Analects of Confucius" Allen & Unwin 1938

      70 Janes Legge, "Scared Book of the East" clarendon Press 1885

      71 Holmes Welch, "Lao Tzu and the Taoist Mokement" Press 1957

      72 Yong-ki Choi, "Korea Schriftenreihe Band" Institut für Koreanische kultur Bonn 1988

      73 Joseph Needham, "History of scientific thought" Cambridge Univ. Press 1956

      74 David. S. Nivision, "Confucianism in Action" Stanford Univ. Press 1959

      75 John. K. Fairbank, "Chinese Thought and institutions"

      76 H. G. Creel, "Chinese Thought : From Confucius to Mao The-Tung" Univ. of Chicago Press 1953

      77 E. R. Hughes, "Chinese Philosophy in classical Times : Every man's Libraay" Dutton 1942

      78 W Theodore De Bary, "Burton Watson, sources of Chinese" Columbia Univ. Press 1960

      79 Wing-tist Chan, "An Outline and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Chinese Philosophy : Yale University" Far Eastern Publications 1959

      80 Feng You Lan, "A short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Macmillan Company 1948

      81 Feng Yu,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Ⅰ, Ⅱ" Princenton Univ. Press 1959

      82 W.K.Liao, "A Classie of Chineses Legalism" Probsthain 19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7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