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Dermatophagoides farinae 자극에 대한 알레르기 천식 환아에서의 Th 및 Tc 림프구 반응 = T Helper and T Cytotoxic Lymphocyte Responses to Dermatophagoides Farinae In Child Asthma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13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Dermatophagoided farninae(Df)에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소아 천식 환아들의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여러 농도의 Df 존재 하에서 배향한 후 T helper(Th) 및 T cytotoxic(Tc) 림프구 반응을 관찰하여 Df 농도 변화에 따른 Th 및 Tc 림프구 반응의 변화를 관찰하고 면역요법 시행 유무에 따른 Th alc Tc 림프구 반응의 차이를 단일 세포 수준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천식 증상으로 충북대학교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피부 단자 검사상 Df에 강양성(4±)을 나타낸 10 명의 소아 알레르기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세에서 11세 사이의 소아만을 연구에 포함시켰으며, 이 중 소아 5명은 최소 2년 동안 면역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들이었다. 환아들로부터 말초혈액 단핵세로를 분리하여 각각 0, 0.1, 1, 10 ㎍/㎖의 Df 존재 하에서 5일 동안 배양한 후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Th 및 Tc 림프구의 빈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Th2/Th1 및 Tc2/Tcl 비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모든 환아에서 Df 자극에 의한 우월한 Th2 림프구의 빈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Th2/Th1 및 Tc2/Tcl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0㎍/㎖의 Df 농도에서는 Tc2/Tcl 비율 증가에 비해 Df 자극에 의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모든 환아들에서 0.1 및 1 ㎍/㎖의 Df농도에서는 현저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 Th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0㎍/㎖의 Df농도에서는 현저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 Th2/Th1 비율 및 Tc2/Tc1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론: Tc 림프구는 Th 림프구에 비해 IL-4 생성을 유도하는 Df 자극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알레르기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않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의 Th 및 Tc 림프구는 IL-4 생성을 유도하는 Df 자극에 저항성을 나타낸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Dermatophagoided farninae(Df)에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소아 천식 환아들의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여러 농도의 Df 존재 하에서 배향한 후 T helper(Th) 및 T cytotoxic(Tc) 림프구 반...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Dermatophagoided farninae(Df)에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소아 천식 환아들의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여러 농도의 Df 존재 하에서 배향한 후 T helper(Th) 및 T cytotoxic(Tc) 림프구 반응을 관찰하여 Df 농도 변화에 따른 Th 및 Tc 림프구 반응의 변화를 관찰하고 면역요법 시행 유무에 따른 Th alc Tc 림프구 반응의 차이를 단일 세포 수준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천식 증상으로 충북대학교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피부 단자 검사상 Df에 강양성(4±)을 나타낸 10 명의 소아 알레르기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세에서 11세 사이의 소아만을 연구에 포함시켰으며, 이 중 소아 5명은 최소 2년 동안 면역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들이었다. 환아들로부터 말초혈액 단핵세로를 분리하여 각각 0, 0.1, 1, 10 ㎍/㎖의 Df 존재 하에서 5일 동안 배양한 후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Th 및 Tc 림프구의 빈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Th2/Th1 및 Tc2/Tcl 비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모든 환아에서 Df 자극에 의한 우월한 Th2 림프구의 빈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Th2/Th1 및 Tc2/Tcl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0㎍/㎖의 Df 농도에서는 Tc2/Tcl 비율 증가에 비해 Df 자극에 의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모든 환아들에서 0.1 및 1 ㎍/㎖의 Df농도에서는 현저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 Th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0㎍/㎖의 Df농도에서는 현저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 Th2/Th1 비율 및 Tc2/Tc1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론: Tc 림프구는 Th 림프구에 비해 IL-4 생성을 유도하는 Df 자극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알레르기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않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의 Th 및 Tc 림프구는 IL-4 생성을 유도하는 Df 자극에 저항성을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monstrate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to graded doses of house dust mite (HDM) in HDM allergic child patients an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HDM-induced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between untreated and treat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ten Dermatophagoides farinae (Df)-sensitive asthmatics of which five children received immunotherapy to Df over a 2-year perio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PBMC) were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of each patient and cultured in the presence of graded doses of Df extract (0, 0.1, 1, 10 ㎍/㎖) 5 days. After harvest of cultured cells, Th and Tc cell frequencies were determined by a multiparameter cytosine flow cytometric assay that allow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IFN-γ and IL-4 in CD4+ or CD8+ cells.
      Results : Predominant Th2 responses to 8f were observed in all of the patients, especially at ㎍/㎖ of .Df Dose-dependent pattern in 8f-induced increases of Th2/Thl ratio was observed in three of untreated and one of treated patients. Increases in Tc2/Tcl ratio were less prominent than those in Th2/Thl ratio. There were no significant increases of Tc2/Tcl ratio at low concentration of Df, which were observed only at 10 ㎍/㎖ of Df. Df-induced increases of Th2/Th1 and Tc2/Tc1 ratios were less remarkable in treated than untreated patients.
      Conclusion : Tc Iymphocytes were more resistant to Df-induced stimulation to produce IL-4 than Th lymphocytes. Th and Tc lymphocytes of immunotherapy treated patients were more tolerant to the effect of Df to produce IL-4 than untreated patients.
      번역하기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monstrate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to graded doses of house dust mite (HDM) in HDM allergic child patients an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HDM-induced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be...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monstrate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to graded doses of house dust mite (HDM) in HDM allergic child patients an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HDM-induced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between untreated and treat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ten Dermatophagoides farinae (Df)-sensitive asthmatics of which five children received immunotherapy to Df over a 2-year perio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PBMC) were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of each patient and cultured in the presence of graded doses of Df extract (0, 0.1, 1, 10 ㎍/㎖) 5 days. After harvest of cultured cells, Th and Tc cell frequencies were determined by a multiparameter cytosine flow cytometric assay that allow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IFN-γ and IL-4 in CD4+ or CD8+ cells.
      Results : Predominant Th2 responses to 8f were observed in all of the patients, especially at ㎍/㎖ of .Df Dose-dependent pattern in 8f-induced increases of Th2/Thl ratio was observed in three of untreated and one of treated patients. Increases in Tc2/Tcl ratio were less prominent than those in Th2/Thl ratio. There were no significant increases of Tc2/Tcl ratio at low concentration of Df, which were observed only at 10 ㎍/㎖ of Df. Df-induced increases of Th2/Th1 and Tc2/Tc1 ratios were less remarkable in treated than untreated patients.
      Conclusion : Tc Iymphocytes were more resistant to Df-induced stimulation to produce IL-4 than Th lymphocytes. Th and Tc lymphocytes of immunotherapy treated patients were more tolerant to the effect of Df to produce IL-4 than untreated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1.대상
      • 2.재료(Chemicals)
      • 3.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분리
      • 서론
      • 대상 및 방법
      • 1.대상
      • 2.재료(Chemicals)
      • 3.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분리
      • 4.Df 존재 하에서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배양
      • 5.세포내 IFN-γ와 IL-4 생성에 대한 유세포 분석
      • 결과
      • 1.Df 농도에 따른 알레르기 환자에서의 Th 림프구 반응의 변화
      • 2.Df 농도에 따른 알레르기 환자에서의 Tc 림프구 반응의 변화
      • 고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