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살예방협회에서 2010년 4월 기준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만15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자살인식, 스트레스 위험, 자살 관련 경험 실태에 관해 조사하였는데, 이중 자살인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27578
2013
Korean
자살 ; 자살시도 ; 자살인식 ; suicide ; suicide attempt ; suicide ideation
학술저널
121-143(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자살예방협회에서 2010년 4월 기준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만15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자살인식, 스트레스 위험, 자살 관련 경험 실태에 관해 조사하였는데, 이중 자살인식...
한국자살예방협회에서 2010년 4월 기준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만15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자살인식, 스트레스 위험, 자살 관련 경험 실태에 관해 조사하였는데, 이중 자살인식에 관한 질문 10개 문항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경찰관들을 상대로 조사하여 그 결과를 일반인의 설문결과와 비교하였다. 경찰관들은 서울청 소속 강력계, 형사계, 한강순찰대 소속이었다. 자살인식에 대한 경찰관과 일반인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t 값은 -.526 이고 95% 신뢰구간에서의 유의확률은 .611로 두 집단의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살에 대해 말해서는 안 된다’, ‘내 가족이 자살한다면 내가 사회적으로 따돌림을 받을 것이다’, ‘자살시도에서 한 번 살아난 사람은 다시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자살은 개인보다 사회에 그 책임이 있다’라는 질문에 대해 ‘내 생각과 같다’는 응답비율이 50% 이상 차이가 나 일반인의 인식과 경찰관의 인식 사이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uicide Prevention Association(KSPA) conducted a research on suicide recognition, stress risk, and suicide related experiences of 1000 people over 15 years of age in 16 major cities of Korea. This study asked 10 of KSPA`s research questions con...
Korean Suicide Prevention Association(KSPA) conducted a research on suicide recognition, stress risk, and suicide related experiences of 1000 people over 15 years of age in 16 major cities of Korea. This study asked 10 of KSPA`s research questions concerning suicide recognition to police officers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ordinary citizens`. Police respondents are working for violence, detective division and Han-river patrol unit of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e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value of -.526 in 95% confidence interval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ss .611.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like ``You shouldn`t talk about suicide``, ``I will be socially isolated if one of my family member commits a suicide``, ``Those who survived an suicide attempt are likely to try it again.``, and ``Society rather than an individual is more responsible for the suicide`` were more than 50%, which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pollice officers` and ordinary citizens`
폭력의 원인과 위험성 -사회구조적 원인진단과 미래의 위험성 검토-
빈곤한 주거환경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메커니즘 -부부 및 가족갈등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매개적 작용을 중심으로-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동북아 국가 간 경찰활동 협력체계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