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중·후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군사복식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52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which was the center of Five Military Camp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I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by document research and positive research. The military organization of Hunryeondogam was comprised of the high-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Hunryeondaejang, Junggun, Cheonchong, Byeoljang and Gukbyeoljang, the mid and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Pachong, Chogwa and soldiers. And the military costume of Hunryeondogam included Gapju, Yoongbok and Goonbok for military officers and all kinds of military uniforms for soldiers. Imjin war and ritualized military ceremonies in the era of peace had influence on the military costume. Officers, for example, were wearing Dangap and soldiers were wearing Cheolgap or Pigap that depended on the branch of the army. Politically, king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had organized military organizations to strengthen their royal authority. I think that the policy can be effectively seen by observing the military costume system.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cloth material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terns of Goonbok,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decoration of Jeonrip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Yodae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identity and the rank.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these things could have been affected by social causes, such as frequent trips of the King and stable society. This cause could be influence on substitute Yoongbok with Goonbok that from the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to the high ranking military officers of Hunryeondogam. The societal change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are reflected on the military costumes system of Hunryeondogam.
      번역하기

      This is a study on the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which was the center of Five Military Camp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I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by document research and po...

      This is a study on the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which was the center of Five Military Camp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I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by document research and positive research. The military organization of Hunryeondogam was comprised of the high-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Hunryeondaejang, Junggun, Cheonchong, Byeoljang and Gukbyeoljang, the mid and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Pachong, Chogwa and soldiers. And the military costume of Hunryeondogam included Gapju, Yoongbok and Goonbok for military officers and all kinds of military uniforms for soldiers. Imjin war and ritualized military ceremonies in the era of peace had influence on the military costume. Officers, for example, were wearing Dangap and soldiers were wearing Cheolgap or Pigap that depended on the branch of the army. Politically, king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had organized military organizations to strengthen their royal authority. I think that the policy can be effectively seen by observing the military costume system.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cloth material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terns of Goonbok,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decoration of Jeonrip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Yodae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identity and the rank.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these things could have been affected by social causes, such as frequent trips of the King and stable society. This cause could be influence on substitute Yoongbok with Goonbok that from the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to the high ranking military officers of Hunryeondogam. The societal change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are reflected on the military costumes system of Hunryeondoga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裕元, "林下筆記" 卷二十八春明逸史 1871

      2 정혜경, "李朝時代의 軍服에 관하여: 具軍服을 中 心으로" 8 : 347-359, 1978

      3 한국고전용어사전, "회자수"

      4 김정자,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민속원 307-312, 1998

      5 양승옥, "패션 한복의 디자인을 위한 철릭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1

      6 徐希媛, "철릭의 조형성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5

      7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8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9 최영로, "조선시대의 軍服에 관한 연구 : 具軍服을 중심으로" 16 : 35-49, 2009

      10 금종숙, "조선시대 철릭[帖裏]"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1 李裕元, "林下筆記" 卷二十八春明逸史 1871

      2 정혜경, "李朝時代의 軍服에 관하여: 具軍服을 中 心으로" 8 : 347-359, 1978

      3 한국고전용어사전, "회자수"

      4 김정자,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민속원 307-312, 1998

      5 양승옥, "패션 한복의 디자인을 위한 철릭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1

      6 徐希媛, "철릭의 조형성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5

      7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8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9 최영로, "조선시대의 軍服에 관한 연구 : 具軍服을 중심으로" 16 : 35-49, 2009

      10 금종숙, "조선시대 철릭[帖裏]"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경미, "조선시대 군례 의식의 복식 분석과 장면의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2 박가영, "조선시대 갑주 유물의 감정을 위한 현황파악과 시대구분" 한국복식학회 58 (58): 166-177, 2008

      13 고려대학교 박물관, "조·의·사·속: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고려대학교 박물관 44-, 2001

      14 박가영, "정조시대의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학회 7 (7): 129-143, 2004

      15 부산박물관, "임진왜란" 부산박물관 26-, 2012

      16 白英子, "우리나라 鹵簿儀衛에 관한 硏究 : 儀仗, 儀禮服의 制度 및 그 象徵性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17 金華善, "우리나라 軍服史의 考察"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85

      18 이혜영, "어가행렬에 나타난 의장병의 복식에 관한 연구 : 정조의 화성행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9 김현정, "심의와 철릭을 활용한 나이트가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16, 2007

      20 한국고전용어사전, "서자지"

      2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별무사"

      22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문화재청 157-, 2006

      23 이용현, "문자, 그 이후" 국립중앙박물관 192-, 2011

      24 변지연,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5 李鳳淑, "답호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4

      26 김월계, "답호를 응용한 여성용 코트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9 (9): 19-30, 2009

      27 두산백과사전, "뇌자"

      28 李德懋, "국역 무예도보통지" 민족문화사 517-, 1790

      29 박가영, "관왕묘 의례 복식의 변천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한국복식학회 62 (62): 32-45, 2012

      30 정미숙, "경기도박물관 소장 憲宗嘉禮陳賀 契屛의 군복류에 관한 연구" 16 : 104-142, 2009

      31 국방군사연구소, "韓國의 軍服飾發達史 1 古代-獨立運動期" 國防軍史硏究所 1997

      32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24 (24): 27-50, 1986

      33 金正子, "韓國 軍服의 變遷史 연구 : 전투복을 중심으로" 世宗大學校 大學院 1996

      34 姜淳弟, "軍服冠帽에 관한 硏究 : 戰笠(氈 笠)의 수용·발전·쇠퇴의 과정을 중심으로" 4 : 129-148, 1995

      35 "訓鍊都監"

      36 "茶山詩文集"

      37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班次圖"

      38 "肅宗實錄"

      39 "續大典"

      40 "經國大典"

      41 "純祖進饌儀軌"

      42 "純祖實錄"

      43 茶山詩文集, "第九卷文集議公服議" 1936

      44 茶山詩文集, "第九卷文集議公服議"

      45 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班次圖" 1681

      46 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班次圖" 1638

      47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班次圖" 1759

      48 "正祖實錄"

      49 한영우, "正祖大王華城幸行班次圖" 효형출판 2001

      50 "樂學軌範"

      51 車文燮, "朝鮮時代軍事 關係硏究" 檀國大學校出版部 38-84, 1996

      52 김종수, "朝鮮後期中央軍制硏究: 訓鍊都監의 設立과 社會變動" 혜안 13-, 2003

      53 "日省錄"

      54 承政院, "承政院日記, 二月二十九日"

      55 承政院, "承政院日記" 四月三十日庚辰 1666

      56 朴宗慶, "戎垣必備" 圖說 1813

      57 "憲宗進饌儀軌"

      58 "憲宗孝定王后嘉禮都監儀軌班次圖"

      59 "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班次圖"

      60 "御營廳"

      61 "宣祖實錄"

      62 "大典通編"

      63 "大典會通"

      64 金東旭, "增補韓國服飾史硏究" 亞細亞文 化社 316-, 1973

      65 紀效新書, "國防部軍史編纂硏究所" 國防部軍史編纂硏究所 48-, 2011

      66 趙又玄, "國賓訪韓환영식의 傳統儀仗隊服飾" 11 : 93-119, 2012

      6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97-, 2004

      68 續大典, "卷之三" 禮典儀章 1746

      69 崔錫鼎, "典錄通考禮典·兵典" 法制處 268-269, 1974

      70 備邊司, "備邊司謄錄"

      71 "備邊司謄錄"

      72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3 (3): 31-47, 1979

      73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卷四十五笠制辨 證說"

      74 "中宗實錄"

      75 "世宗實錄"

      76 박선영, "16세기 갑옷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6) : 57-66, 2010

      77 徐榮輔,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민족문화추진회 221-232, 18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5 0.79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