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복(宋復) 교수(1937~)는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동양 고전을 공부하였고, 부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그의 호는 심원(心遠)이다. 하와이대학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송복(宋復) 교수(1937~)는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동양 고전을 공부하였고, 부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그의 호는 심원(心遠)이다. 하와이대학교 ...
송복(宋復) 교수(1937~)는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동양 고전을 공부하였고, 부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그의 호는 심원(心遠)이다. 하와이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를 거쳐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5년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02년 정년 퇴임하였다. 11권의 단독저서와 8권의 편저, 3권의 역서, 수백 편의 논문과 칼럼을 펴내고 생산하였다. 그는 문사철(文史哲)에 기반하여 연구와 강의, 저술 활동을 하면서 부인과 함께 두 번의 서예전을 열고, 동호인들과 당시서예전을 개최하여 서예가로서 ‘즐거움과 즐김’의 지평을 열기도 했다.
한국사회 구조변동과 변혁의 와중(渦中)에서 송복 교수는 결연한 태도와 정직한 자세로 문명 비평의 선봉에 서왔다. 인문학적 고뇌와 철학 사상적 풍부성이 사라지고 있는 한국사회 공론장에서 그는 인문학적 성찰과 지평을 심화 확대시켜 왔다. 오늘날 ‘가짜 뉴스와 왜곡된 정보들이판치고 정파성이 난무(亂舞)하는 공론장’에서 그는 학자와 파수꾼의 소명을 다해 왔다. 존경받는 원로의 떳떳함과 사의재(四宜齋)와도 같은 마땅함을 지향하고 실천해 왔다. ‘인문학적 소양에 기초한 혜안과 총체적 분석력을 갖춘 인텔리겐차의 힘’을 지니고 진정한 진리 탐구와 지혜의 회복을 위해 진력해 오기도 했다.
송복 교수는 『동양적 가치란 무엇인가』를 통해 인(仁), 덕(德), 효(孝), 예(禮), 군자(선비) 등 유학의 핵심 개념을 사회(과)학적으로 설명.해석하고, 그 사회학적 함의를 새롭게 풀이하였다. 동양적 가치가 보편적 가치로서 작동할 수 있음을 확증하였고, 근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접합되고 통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탐구하였다. 그리고 『위대한 만남』 등과 같은 연구를 통해 임진왜란의 성격을 사회과학적으로 새롭게 규정했다.
국난극복의 지도자, 서애 류성룡을 정밀하게 연구하여 그 위대성을 크게 평가했다. 『징비록』 등 그 저술들의 핵심은 ‘선대의 전철을 철저히 징계하고 후대의 후환을 철저히 경계시키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 핵심 요체는 바로 ‘자강’으로서, ‘우리가 날로 강해지지 않으면 안된다’는 교훈이라고 결론짓기도 했다. 수많은 칼럼 등을 통해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특혜와 책임’을 한국사회 선진화의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한 논의의 결과물 중의 하나가 『특혜와 책임』이란 저서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는 서애학회를 창립하고 학술지 『서애연구』를 발간해 오고 있으며, 징비(懲毖) 철학과 정신에 기초한 「징비포럼」 출범에 관여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fessor Song Bok (宋復) (1937~) was born in Gimhae, Gyeongsangnam-do, studied Oriental classics from an early age, and graduated from Busan High Schoo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Literature and Political Science. His nicname(號)...
Professor Song Bok (宋復) (1937~) was born in Gimhae, Gyeongsangnam-do, studied Oriental classics from an early age, and graduated from Busan High Schoo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Literature and Political Science. His nicname(號) is Simwon(心遠). After studying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Hawaii, he earned a Ph.D. in politic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Hawaii. In 1975,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Yonsei University and retired at retirement age in 2002.
Eleven independent books, eight compilations, three translations, and hundreds of papers and columns were published and produced. Based on MoonSaCheol(文史哲), he conducted research, lectures, and writing activities, holding two calligraphy exhibitions with his wife, and holding calligraphy exhibitions at the time with his hobbyists to open the horizon of “pleasure and enjoyment” as a calligrapher.
In the midst of structural changes and transformation in Korean society (in vortex), Professor Song Bok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criticizing civilization with determined attitude and honest attitude. In the public sphere of Korean society, where humanistic anguish and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abundance are disappearing, he has deepened his humanistic reflection and horizons. In today’s “public sphere where fake news and distorted information are dominated and political factions are rampant (亂 舞), he has fulfilled the calling of scholars and watchmen. He has pursued and practiced the dignity of a respected elder, such as the dignity and private resources. He has worked hard to search for true truth and restore wisdom with “the power of intelligentsia with insight and total analysis based on humanistic literacy.” Professor Song Bok explained the core concepts of studying abroad, such as benevolence, virtue, filial piety, courtesy, and sage, in a social (scientific) manner through 『What is Oriental Value』. It was interpreted and its sociological implications were newly resolved. It confirmed that oriental values can work as universal values, and sought and explored how they can be joined and integrat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jin War(임진왜란) were newly defined in terms of social science through studies such as 『The Great Encounter』(위대한 만남). Seo Ae(西厓) Ryu Seong-ryong(柳成龍), the leader of overcoming national difficulties, was studied in detail and his greatness was greatly evaluated. The core of their writings, such as 『Jingbirok』, stipulated that it is “thoroughly disciplining the predecessors’ trains and thoroughly wary of future consequence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re element was “self-strengthening,” a lesson that “we must become stronger day by day.” Through numerous columns, Noblesse Oblige’s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advancing Korean society. One of the results of such discussions was also appeared in the book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특혜와 책임). He founded the Seoae Association, has published the academic journal 『Seoae Research』 and is involving in the launch of the 「Jingbi Forum」 based on the philosophy and spirit of Jingbi(懲毖).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복, 법문사 2019
2 정학섭, "후기 근대사회와 유가사상의 지평" 대한철학회 2018
3 성백효, "현토완역 고문진보(후집)" 전통문화연구회 1994
4 최석만, "현대사회의 위기와 동양사회사상" 다산출판사 2016
5 정학섭, "표준사회학적 연구와 동양사회사상적 공부하기의 통합"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2015
6 송복, "특혜와 책임" 가디언 2016
7 정학섭, "퇴계 경사상의 사회학적 함의"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2018
8 정학섭, "지속과 변화: 표준사회학적 인식과 동양사회사상적 상상력의 융합" 동양사회사상학회 21 (21): 1-31, 2018
9 "중용"
10 "주역"
1 송복, 법문사 2019
2 정학섭, "후기 근대사회와 유가사상의 지평" 대한철학회 2018
3 성백효, "현토완역 고문진보(후집)" 전통문화연구회 1994
4 최석만, "현대사회의 위기와 동양사회사상" 다산출판사 2016
5 정학섭, "표준사회학적 연구와 동양사회사상적 공부하기의 통합"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2015
6 송복, "특혜와 책임" 가디언 2016
7 정학섭, "퇴계 경사상의 사회학적 함의"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2018
8 정학섭, "지속과 변화: 표준사회학적 인식과 동양사회사상적 상상력의 융합" 동양사회사상학회 21 (21): 1-31, 2018
9 "중용"
10 "주역"
11 송복, "조선은 왜 망했나 : 징비록에 답이 있었다" 일곡문화재단 2011
12 신정근, "인문학명강" 21세기북스 2013
13 볼, 피터(Bol, Peter K.), "역사 속의 성리학(Neo-Confucianism In History)" 예문서원 2011
14 송복, "송복 자전적 에세이 : 중용 그리고 천명" 철학과 현실사 2023
15 이광호, "성학십도" 홍익출판사 2001
16 송복, "서애 류성룡 : 위대한 만남" 지식마당 2007
17 실링, 크리스, "사회학적 야망(The Sociological Ambition)" 한울아카데미 2001
18 정학섭, "사회학적 관심의 동양사상적 지평" 다산출판사 2014
19 정학섭, "뿌리뽑힌 한 성리학자의 문학적 저항과 지평" 한국사회학회.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20 송복, "맹자글귀전" 월간서예.미술신문 2013
21 "맹자"
22 송복, "류성룡의 중용 리더십" 서애학회 2 : 5-37, 2020
23 송복, "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 가디언 2014
24 송복, "동양적 가치란 무엇인가" 지식마당 2003
25 "대학"
26 송복, "당시서예전" 인사동문화 2006
27 송복, "논어서예전" 삼보인쇄공사 1997
28 陳舜臣, "논어교양강의(論語抄)" 돌베개 2007
29 "논어"
30 유홍준, "김정희 : 알기 쉽게 간추린 완당평전" 학고재 2006
31 송복, "‘서애정신’이란 무엇인가" 서애학회 1 : 5-41, 2020
심원(心遠) 송 복(宋 復)선생의 학문의 세계: 박문약례(博文約禮)로 이르는 길
경계에 선 학자: 용광로 지식을 구축했던 선비 사회학자 송복
디지털 사회의 심화와 ‘탈진실’ 시대의 진실 찾기: 가능성, 한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