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의 빈곤, 질병, 무위, 고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10월 17일부터 11월 24일까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40455
2015
Korean
4고(苦) ; 고독 ; 노인 ; 무위 ; 빈곤 ; 우울 ; 자살생각 ; 질병 ; Depression ; Disease ; Elderly ; Elderly`s Major Four Problems: Poverty ; Inactivity ; Loneliness ; Suicide Ideation
KCI등재
학술저널
123-151(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의 빈곤, 질병, 무위, 고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10월 17일부터 11월 24일까지...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의 빈곤, 질병, 무위, 고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10월 17일부터 11월 24일까지 서울시내 8개의 노인종합복지관에서 317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303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약 44%가 자살생각을 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빈곤, 질병, 무위, 고독은 우울을 매개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었으며, 무위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살예방 및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실천 및 정책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major difficulties(i.e., poverty, illness, inactivity, and lonelin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ver. The data used in this ...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major difficulties(i.e., poverty, illness, inactivity, and lonelin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ve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as part of the“Aging Anxiety and Psychosocial Adaptation of Elderly Population” project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School of Social Welfare in Yonsei University along with the‘Vibrant future research center’ in the Seoul Elder Welfare Center. Totally 317 cases were collected, and 303 respon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procedur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44%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had thought about committing suicide. And among the four major difficulties, inactivity had the stronges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Moreover, poverty, disease, inactivity, and loneliness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mediation of depression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arly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with major four problems and depression.
공적연금관대성이 실질은퇴연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서비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여성노인의 긍정적 사회관계망 기능이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