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 사교육 시작시점의 결정요인과 시작시점이 이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검증: 혼합생존분석의 확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9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학 전 사교육 시작 시점에 따라 하위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의 입학 후 학업성취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집단이 분류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 초1패널의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생존혼합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결합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두 만 6세 때 사교육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각 집단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준에 따라 ‘낮은 사교육 집단’, ‘중간 사교육 집단’, ‘높은 사교육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입학 후 학업성취는 높은 사교육 집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낮은 사교육 집단, 중간 사교육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을 분류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성별, 부모의 학력, 부모의 연령, 모의 근로여부, 부모의 삶의 만족도, 가구 연간소득, 부모와 거주여부, 다문화가정 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입학 전 사교육 시기의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현실적으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정책적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학 전 사교육 시작 시점에 따라 하위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의 입학 후 학업성취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집단이 분류되는 데 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학 전 사교육 시작 시점에 따라 하위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의 입학 후 학업성취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집단이 분류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 초1패널의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생존혼합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결합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두 만 6세 때 사교육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각 집단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준에 따라 ‘낮은 사교육 집단’, ‘중간 사교육 집단’, ‘높은 사교육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입학 후 학업성취는 높은 사교육 집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낮은 사교육 집단, 중간 사교육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을 분류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성별, 부모의 학력, 부모의 연령, 모의 근로여부, 부모의 삶의 만족도, 가구 연간소득, 부모와 거주여부, 다문화가정 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입학 전 사교육 시기의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현실적으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정책적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 based on the onset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o examine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across the subgroups in the period of elementary school, and to test determinants of the subgroups. To achieve the purposes, we used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using a combined model of survival mixture model and latent growth model. As results,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the onset of private education was high at the age of 6 years in all groups but different level of each group. The subgroups were defined based on the level: the low-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the intermediate-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and the high-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was shown in the high-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followed by the low-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and the intermediate-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Gender, education level of parents, parental age, mother’s work, parent’s life satisfaction, annual household income, living with parents, and multicultural family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 and effect of the onset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t the same time in detail. Therefore, the findings from thi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 based on the onset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o examine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across the subgroups in the period of elementary school, and to test determinants 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 based on the onset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o examine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across the subgroups in the period of elementary school, and to test determinants of the subgroups. To achieve the purposes, we used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using a combined model of survival mixture model and latent growth model. As results,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the onset of private education was high at the age of 6 years in all groups but different level of each group. The subgroups were defined based on the level: the low-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the intermediate-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and the high-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was shown in the high-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followed by the low-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and the intermediate-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Gender, education level of parents, parental age, mother’s work, parent’s life satisfaction, annual household income, living with parents, and multicultural family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 and effect of the onset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t the same time in detail. Therefore, the findings from thi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