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Need and Demands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Service of People with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7690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 이용 장애인 및 재활 전문가의 욕구를 파악하고 보조공학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충남소재 장애인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재활전문가 69명과 기관 서비스 이용 장애인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보조공학서비스 제공시 필요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와 서비스이용자를 구분하여 조사함으로써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 활성화 및 지원 정책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장애인 및 전문가 그룹의 보조공학기구 선정기준, 신청과정, 사후관리, 지원금액, 지원품목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담당자들은 대부분 보조공학 전문가가 아닌 일반 재활전문가에 의해 이뤄지고 있었으며, 장애인 개개인에게 보다 적합한 보조공학서비스가 시행되고 이와 같은 전문 서비스를 수행할 전문가 및 전문보조공학센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 이용 장애인 및 재활 전문가의 욕구를 파악하고 보조공학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충남소재 장애인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구 및 서비스 이용 장애인 및 재활 전문가의 욕구를 파악하고 보조공학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충남소재 장애인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재활전문가 69명과 기관 서비스 이용 장애인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보조공학서비스 제공시 필요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와 서비스이용자를 구분하여 조사함으로써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 활성화 및 지원 정책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장애인 및 전문가 그룹의 보조공학기구 선정기준, 신청과정, 사후관리, 지원금액, 지원품목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담당자들은 대부분 보조공학 전문가가 아닌 일반 재활전문가에 의해 이뤄지고 있었으며, 장애인 개개인에게 보다 적합한 보조공학서비스가 시행되고 이와 같은 전문 서비스를 수행할 전문가 및 전문보조공학센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d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delivery system to enable and support policies to provide basic data in chungnam and disability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agency and use the services of 69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108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services, and surveys were required. Unlike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more substantial challeng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ctually provided, and improvements necessar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and separated by a group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hat conducted the survey with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are highly differentiate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based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orted standards and application process, follow-up service, price level, support items, showed a lower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 the
      actual enforcement officers are not experts, mos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by rehabilitation specialists were being conducted. a more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performed, to perform professional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번역하기

      This study aid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delivery system to enable and support policies to provide basic data in chungnam and disability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agency and use the services of 69 rehabilitation p...

      This study aid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delivery system to enable and support policies to provide basic data in chungnam and disability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agency and use the services of 69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108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services, and surveys were required. Unlike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more substantial challeng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ctually provided, and improvements necessar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and separated by a group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hat conducted the survey with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are highly differentiate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based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orted standards and application process, follow-up service, price level, support items, showed a lower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 the
      actual enforcement officers are not experts, mos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by rehabilitation specialists were being conducted. a more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performed, to perform professional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22
      • 1. 연구의 필요성 122
      • 2. 연구의 목적 124
      • 3. 용어의 정의 124
      • Ⅱ. 연구 방법 125
      • Ⅰ. 서론 122
      • 1. 연구의 필요성 122
      • 2. 연구의 목적 124
      • 3. 용어의 정의 124
      • Ⅱ. 연구 방법 125
      • 1. 연구 대상 125
      • 2. 연구 도구 125
      • 3. 연구 절차 126
      • 4. 분석 방법 126
      • Ⅲ. 연구 결과 127
      • 1. 장애인용 설문지 127
      • 2. 전문가용 설문지 130
      • Ⅳ. 논 의 135
      • Ⅴ. 결 론 14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