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즈 야스지로(⼩津安⼆郎) 담론에서 종종 환기되는 문제는 주지하다시피 그의 일관된 영화 양식을 두고 ‘오즈적’이라고 호명하는 일일 것이다. 영화만 봐도 누구의 작품인지 알 수 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15470
임철희 (연세대학교)
2024
Korean
오즈 야스지로 ; 부초 이야기 ; 부초 ; 리메이크 ; 각색 ; 서사 ; 플롯 ; 음영 ; 영화 공간 ; 일본 영화 ; Yasujiro Ozu ; A Story of Floating Weeds ; Floating Weeds ; Remake ; Adaptation ; Narrative ; Plot ; Shadow ; Cinematic Space ; Japanese Cinema
KCI등재
학술저널
45-82(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즈 야스지로(⼩津安⼆郎) 담론에서 종종 환기되는 문제는 주지하다시피 그의 일관된 영화 양식을 두고 ‘오즈적’이라고 호명하는 일일 것이다. 영화만 봐도 누구의 작품인지 알 수 있다...
오즈 야스지로(⼩津安⼆郎) 담론에서 종종 환기되는 문제는 주지하다시피 그의 일관된 영화 양식을 두고 ‘오즈적’이라고 호명하는 일일 것이다. 영화만 봐도 누구의 작품인지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오즈적’이라는 말은 작가의 개성과 독창성을 함의하는 달콤한 수사임에는 틀림없다. 다른한편, 이는 부담스러운 말이기도 하다. 그러나 감독의 작품들에 빈번하게 또는 지속적으로 사용되지 않더라도 개별 작품의 미적 고유성을 드러내는 흔치 않은 세부가 있다면 이 역시도 오즈적이다. ‘오즈적’이라는 수사와 굳이 거리를 두기보다, 이것의 경계를 확장하는 작업의 필요성이여기에 있다.
오즈적 일관성의 환기는 달리 보면 반복의 문제를 건드리는 것이다. 단순한 서사의 가족 이야기는 엄격한 촬영과 편집 양식을 통해 비슷한방식으로 시청각화된다. 또 다른 반복으로 오즈는 몇 편의 리메이크 작품들을 연출했다. 오즈가 일관된 영화 양식을 고집하는 가운데 리메이크라는 매체적 반복까지 이루어졌다면 원작과 개작의 관계에 대해 질문을던질 수 있다. 이러한 반복과 변주의 문제에서 본고는 <부초 이야기 浮草 物語>(1934)와 <부초 浮草>(1959)의 영화적 관계성을 고찰한다. 이에 따라 원작 영화와 개작 영화 사이에서 문자 텍스트로서의 시나리오뿐만 아니라 영상 텍스트로서의 영화 공간 구성에 대한 변화를 논의한다. 원작캐릭터와 내용을 수정하는 일은 시나리오 각색 차원이고, 시청각 텍스트로서 원작을 재해석하는 일은 영화 매체적 각색 차원이다.
논의 과정에서 본고는 인물들의 서사가 길에서 시작되고 길에서 끝나는 점에 주목한다. 연구대상 작품에서는 인물들이 오가는 길에 이야기가있고 감정이 있으며 이것이 플롯이 되어 서로 엮여서 전체로서의 영화서사를 구성하는 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사가 구체적으로 시청각화되는 과정에서 본고는 감독이 두 작품에서 음영을 사용하는 방식을 고찰한다. 음영은 단순히 빛과 그림자 표현의 문제에 환원되지 않고 이미지의 정서를 구축하며 작품 전체의 분위기 형성에 일조하는 영화언어를 의미한다. 여기서 오즈 영화의 시학은 보이는 것 너머 보이지 않는 것, 그 이면을 읽는 것에서 비롯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고는 영화의 주제와 형식을 함께 아우르며 세부와 전체로서의 영화를 살펴보면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수 있는) ‘오즈적’인 것과 거리를 두고 (작가적 담론의 층위를 두텁게 하는 또 하나의) ‘오즈적’인 세부를 확인하는 것에 논의의 초점을 둔다.
그리고 개작 중심의 리메이크나 각색보다는 원작과 개작 사이의 관계성을 동등한 영화적 위치에서 고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s well known, an issue that is often evoked in the discourse on Yasujiro Ozu is the labeling of his consistent film style as ‘Ozu-like’. In the sense that you can tell whose work it is just by looking at the film, the term ‘Ozu-like’ is un...
As is well known, an issue that is often evoked in the discourse on Yasujiro Ozu is the labeling of his consistent film style as ‘Ozu-like’. In the sense that you can tell whose work it is just by looking at the film, the term ‘Ozu-like’ is undoubtedly a sweet metaphor that implies the artist's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On the other hand, this is also a burdensome statement. However, if there is an uncommon detail in the director's works that reveals the aesthetic uniqueness of individual works even if they are not used frequently or continuously, this is also Ozu-like. Rather than distancing ourselves from the rhetoric of “Ozu-like,” there is a need for work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is.
The discussion of consistency, in other words, touches on the question of Ozu's repetition. Simple narrative family stories are made audiovisual in a similar way through rigorous filming and editing styles. In another iteration, Ozu has directed several remakes. If Ozu insists on a consistent film style and even repeats the media called a remake, one can ask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daptation.
In this question of repetition and vari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inematic relationship between A Story of Floating Weeds (1934) and Floating Weeds (1959). Accordingly, it discusses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cinematic space as a visual text as well as the screenplay as a text between the original film and the adapted film. In the discuss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s' narratives begin and end on the street. In the works under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s' stories and emotions are intertwined as plots that form the film narrative as a whol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pecifically audio-visualizing these narratives, this paper examines the way the director uses shadows in the two films. The shadow is a cinematic language that is not simply reducible to the representation of light and shadow, but builds the emotion of the image a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work. From this, the poetics of Ozu’s cinema comes from reading the invisible beyond what is visible.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film in detail and as a whole, encompassing both the theme and form of the film, distancing itself from the ‘Ozu-like’ things (which may fall into the error of generalization) and creating another layer of authorial discourse (to thicken the layer of authorial discours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daptation from an equal cinematic position rather than a remake or adaptation centered on the adaptation.
SF 영화 속 생명정치와 안드로이드의 문제설정 : 리들리 스콧 영화를 중심으로
21세기 한국 현대사 영화의 흥행성과 대중 감성 코드 연구
식민지 조선의 SF적 재현 양상 연구 : ‘경성학교’와 ‘경성 크리처’의 포스트휴먼 캐릭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