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독립선언서는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 독립국과 자주민임을 선포하고, 동양의 평화와 인류의 공영을 위해 반드시 독립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73802
2019
Korean
3·1운동 ; 3·1독립선언서 ; 재한선교사 ; 현순 ; 이광수 ; 변영로 ; March First Movement ;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Missionary in Korea ; Hyun soon ; Lee Kang-su ; Byun Yong-ro
KCI등재
학술저널
349-385(37쪽)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3·1독립선언서는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 독립국과 자주민임을 선포하고, 동양의 평화와 인류의 공영을 위해 반드시 독립이 ...
3·1독립선언서는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 독립국과 자주민임을 선포하고, 동양의 평화와 인류의 공영을 위해 반드시 독립이 되어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밝힌 문서이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면서 역사적인 3·1운동의 막이 열렸고, 전국적으로 만세시위에 돌입하게 되었다. 독립선언서는 3·1운동의 시발점이 되어 세 달 동안 전국적으로 만세시위가 일어나게 하였고, 중국·러시아·미주 등 국외 한인사회에도 전달되어 그곳에서도 민족 독립을 외쳤다. 그렇기 때문에 독립선언서는 3‧1운동을 알리는 신호탄이며, 3·1운동의 사상과 정신이 오롯이 담겨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립선언서는 한국 민족이 일제의 식민지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는 것을 증명하는 유일한 문서이기 때문에 이 선언서는 한국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독립을 증명하는 유일한 문서인 독립선언서가 국외로 전달되어, 중국어‧영어‧프랑스‧스페인어 등 각국어로 번역되어 언론에 게재되었다. 외국어로 번역된 독립선언서를 통해 국제사회에서는 일제의 부당한 식민지배로부터 한국민이 독립을 선언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한국민의 독립의지와 정신이 담겨있는 독립선언서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국외에 반출되어 국제사회에 전달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었다. 국외로 반출된 필사본 독립선언서가 중국 상하이에서 중국어와 영어로 번역되어 중국신문에 알려지게 되었고, 그후 중국어 번역본이 여러 신문에 게재되었다. 국내에서 인쇄된 독립선언서는 한국내의 각국 외교기관과 외국인 선교사 등이 영어로 번역하여 국외로 전달하였다. 특히, 영어로 번역된 독립선언서는 AP통신을 통해 미주의 각 신문에 실리게 되었고, 팸플릿 등으로 인쇄되어 보급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한국 독립운동을 선전하는 책자에는 반드시 영문 독립선언서 전문이 그대로 실려, 국제사회에 한국민의 독립의지를 표방하고 확산시키는데 크게 일조를 하였던 것이다.
독립선언서는 정의와 인도라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독립 선언의 당위성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어로 번역된 선언서를 읽는 세계인들이 한국민족이 반드시 독립이 되어야만 한다는 데에 공감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독립선언서가 대내적으로 3·1운동의 대의를 표방하고 대중화에 기여하였다고 한다면, 영역된 독립선언서는 대외적으로 한국민의 독립 의지를 세계 만방에 알리는 데에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觀音地藏竝立圖>의 기원과 내포 의미 검토
인동장씨 남산파의 가학 전통과 그 계승— 여헌학旅軒學의 형성과 계승에 유의하여
안동 권굉權(1494~1565) 묘 출토 만장의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