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상담에서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자기대화 및 가설형성 차이 분석 =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lf-talk and Hypothesis Formulation in Cyber Counseling According to Counselor's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0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elf-talk’ and hypothesis formulation by counselors using experienced and novice cyber counselors. To perform this study, ten (10) experienced and ten (10) novice counselors interviewed three (3) counselees by way of the ‘chatting’ medium. After the interviews the counselors described the ‘self-talk’ and formed their hypotheses and were, in turn, rated.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talk’ among the counselors according to experience,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and mean score of the ‘self-talk’) but the experienced cyber counselors used qualitatively superior ‘self-talk’ compared to the novices.
      Second: the experienced cyber counselors made qualitatively superior hypothese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low realms of hypothesis formulation.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elf-talk’ and hypothesis formulation by counselors using experienced and novice cyber counselors. To perform this study, ten (10) experienced and ten (10) novice counselors interviewed three (3) counselees b...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elf-talk’ and hypothesis formulation by counselors using experienced and novice cyber counselors. To perform this study, ten (10) experienced and ten (10) novice counselors interviewed three (3) counselees by way of the ‘chatting’ medium. After the interviews the counselors described the ‘self-talk’ and formed their hypotheses and were, in turn, rated.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talk’ among the counselors according to experience,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and mean score of the ‘self-talk’) but the experienced cyber counselors used qualitatively superior ‘self-talk’ compared to the novices.
      Second: the experienced cyber counselors made qualitatively superior hypothese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low realms of hypothesis formu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상담에서 상담자의 경력에 따라 상담자 인지가 어떻게 달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사이버상담자 10명, 초심사이버상담자 10명이 3명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채팅상담을 실시하였고 상담 후 자기대화와 가설형성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사이버상담자의 자기대화는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대화 전체 개수와 자기대화 평균점수를 고려할 때 전문사이버상담자가 우수한 자기대화를 더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내담자에 대한 가설형성은 전문사이버상담자일수록 질적으로 우수한 가설을 형성하였으며 가설형성의 하위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상담에서 상담자의 경력에 따라 상담자 인지가 어떻게 달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사이버상담자 10명, 초심사이버상담자 10명이 3명의 내담자를 대...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상담에서 상담자의 경력에 따라 상담자 인지가 어떻게 달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사이버상담자 10명, 초심사이버상담자 10명이 3명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채팅상담을 실시하였고 상담 후 자기대화와 가설형성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사이버상담자의 자기대화는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대화 전체 개수와 자기대화 평균점수를 고려할 때 전문사이버상담자가 우수한 자기대화를 더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내담자에 대한 가설형성은 전문사이버상담자일수록 질적으로 우수한 가설을 형성하였으며 가설형성의 하위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