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대생의 이상식사행동 수준에 따른 심리적, 정서적 특성 =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vel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College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0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validity of the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o explain abnormal eating. 895 cases of 924 college women are included and three groups(normal eaters, restrained eaters, bulimic eaters, each groups n=46) were selected to test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Scores on Anxiety, Anger, Drive for Thinness, and Bulimia increased in a linear fashion, supporting the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 In contrast, scores on Depression, Body Dissatisfaction, and Interoceptive Awareness did not. The results support a 2-component model of the psychopathology of bulimia nervosa.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bnormal eating was influenced by Depression, Self-Esteem, Drive for Thinness, Bulimia, Body Dissatisfaction, and Perfectionism.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validity of the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o explain abnormal eating. 895 cases of 924 college women are included and three groups(normal ea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validity of the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o explain abnormal eating. 895 cases of 924 college women are included and three groups(normal eaters, restrained eaters, bulimic eaters, each groups n=46) were selected to test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Scores on Anxiety, Anger, Drive for Thinness, and Bulimia increased in a linear fashion, supporting the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 In contrast, scores on Depression, Body Dissatisfaction, and Interoceptive Awareness did not. The results support a 2-component model of the psychopathology of bulimia nervosa.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bnormal eating was influenced by Depression, Self-Esteem, Drive for Thinness, Bulimia, Body Dissatisfaction, and Perfectionism.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식사장애의 연속선 가설을 검증해 보고, 이상식사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심리적, 정서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대생 피험자 9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895명의 자료가 상관과 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상식사행동 유형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폭식경향집단으로 선발된 46명에 맞춰 정상식사 및 절식행동집단을 각각 선발하였다. 집단간 차이검증 결과, 불안과 분노, 마르고 싶은 욕구와 폭식경험에서는 정상집단, 절식집단, 폭식집단의 순으로 점수가 높아져 연속선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우울과 신체불만족, 내면자각에서는 폭식집단의 점수가 정상 및 절식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비연속선 가설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신경성 폭식증의 정신병리의 이요인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회귀분석결과, 이상식사행동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정서적 변인은 우울과 자존감이었고, 심리적 변인은 마르고 싶은 욕구, 폭식경험, 신체불만족과 완벽성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식사장애의 연속선 가설을 검증해 보고, 이상식사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심리적, 정서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대생 피험자 9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

      본 연구에서는 식사장애의 연속선 가설을 검증해 보고, 이상식사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심리적, 정서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대생 피험자 9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895명의 자료가 상관과 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상식사행동 유형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폭식경향집단으로 선발된 46명에 맞춰 정상식사 및 절식행동집단을 각각 선발하였다. 집단간 차이검증 결과, 불안과 분노, 마르고 싶은 욕구와 폭식경험에서는 정상집단, 절식집단, 폭식집단의 순으로 점수가 높아져 연속선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우울과 신체불만족, 내면자각에서는 폭식집단의 점수가 정상 및 절식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비연속선 가설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신경성 폭식증의 정신병리의 이요인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회귀분석결과, 이상식사행동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정서적 변인은 우울과 자존감이었고, 심리적 변인은 마르고 싶은 욕구, 폭식경험, 신체불만족과 완벽성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