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교원을 위한 번역 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7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curriculum whose aim is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It also sought the optimal way to conduct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in two aspects: teaching professional translation to improve translation skills and teaching pedagogic translation to improv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programs do not provide any training for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develop their translation teaching skills. Thus, this study proposed five directions to lay the foundation for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1) balance between translation theory and translation education theory, (2) compatibility of teaching pedagogic translation and teaching professional translation, (3)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areas to which translation education is applied, (4) balance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5)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inter-subject integr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curriculum whose aim is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It also sought the optimal way to conduct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curriculum whose aim is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It also sought the optimal way to conduct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in two aspects: teaching professional translation to improve translation skills and teaching pedagogic translation to improv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programs do not provide any training for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develop their translation teaching skills. Thus, this study proposed five directions to lay the foundation for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1) balance between translation theory and translation education theory, (2) compatibility of teaching pedagogic translation and teaching professional translation, (3)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areas to which translation education is applied, (4) balance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5)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inter-subject integ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KFL) 교육과 번역 교육 Ⅲ. 한국어교원을 위한 번역 교육의 현황 Ⅳ. 한국어교원을 위한 번역 교육의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KFL) 교육과 번역 교육 Ⅲ. 한국어교원을 위한 번역 교육의 현황 Ⅳ. 한국어교원을 위한 번역 교육의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승혜, "한영 기계번역 포스트 에디팅에 대한 경험적 고찰: 학부 교육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2 (22): 53-88, 2018

      2 "한국외국어대학교 누리집"

      3 장전위, "한국어와 중국어의 통번역을 통한 한국어 표현이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2018

      4 박서영, "한국어문학 교육을 위한 김소월 시 중국어 번역 연구" 전남대학교 2019

      5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길잡이"

      6 남신혜, "한국어 학습자의 온라인 기계번역 도구 사용 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초급 및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55-81, 2019

      7 신은경, "한국어 작문 '쓰기 전 단계'에서의 역번역 활동에 대한 교육적 탐색"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4 : 189-218, 2019

      8 김소영, "한국어 번역 교육의 실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 번역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805-824, 2020

      9 조태린,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개선 - 일반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275-293, 2012

      10 홍영매, "한국어 교육에서의 중한 번역 교육 내용 구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 마승혜, "한영 기계번역 포스트 에디팅에 대한 경험적 고찰: 학부 교육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2 (22): 53-88, 2018

      2 "한국외국어대학교 누리집"

      3 장전위, "한국어와 중국어의 통번역을 통한 한국어 표현이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2018

      4 박서영, "한국어문학 교육을 위한 김소월 시 중국어 번역 연구" 전남대학교 2019

      5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길잡이"

      6 남신혜, "한국어 학습자의 온라인 기계번역 도구 사용 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초급 및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55-81, 2019

      7 신은경, "한국어 작문 '쓰기 전 단계'에서의 역번역 활동에 대한 교육적 탐색"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4 : 189-218, 2019

      8 김소영, "한국어 번역 교육의 실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 번역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805-824, 2020

      9 조태린,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개선 - 일반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275-293, 2012

      10 홍영매, "한국어 교육에서의 중한 번역 교육 내용 구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1 장민, "한국어 교육에서의 번역 교육" (창간) : 137-146, 2005

      12 심선향, "한국어 교육에서 역번역(Back Translation)의 교육적 활용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4 (14): 173-196, 2018

      13 이상빈, "학부번역전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한국통역번역학회 19 (19): 37-64, 2017

      14 한정은, "학부 중한번역수업에서의 번역이론 적용가능성 - 해석이론 중심의 고찰" 한국통역번역학회 16 (16): 225-252, 2014

      15 김민영, "학부 유학생을 위한 번역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7 (57): 365-389, 2018

      16 이상빈, "학부 번역전공자의 구글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에 관한 현상학 연구" 통번역연구소 22 (22): 117-143, 2018

      17 이계연, "포스트에디팅 기법을 도입한 아랍어 번역교육"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9 (19): 81-106, 2021

      18 고암, "통역번역대학원의 한국어 교육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19 남성우, "통번역의 이해와 수행" 한국문화사 2006

      20 유정숙, "터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번역 수업 개발 연구 - 에르지예스 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터키어 - 한국어 번역 연습”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8 (18): 73-97, 2016

      21 하안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번역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2 고효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과정 연구" 고려대학교 2016

      23 오춘화,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 번역교수의 효율화방안 연구" 한국중국문화학회 (11) : 443-461, 2001

      24 김기석, "중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번역 교육 방법론" 국어교육연구소 (18) : 245-266, 2006

      25 Quan Honghua,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번역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2021

      26 정이붕, "중국 대학 학부생을 위한 한중·중한 번역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18

      27 Siti Zubaidah, "인도네시아 대학에서의 한국어 번역 교과목 개선 방안연구" 고려대학교 2018

      28 한설옥, "인공지능 시대의 한국어 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 가능성-중한 번역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69) : 111-132, 2020

      29 김민영, "역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교육-번역 전공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7 (27): 191-209, 2020

      30 김영, "역번역을 활용한 한국 시조 이해 교육 연구 -영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9 : 85-109, 2020

      31 사이짓보리숫 타넷, "역번역(Back Translation)이 한국어쓰기의 언어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태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2 김순미, "신경망번역기(NMT) 활용 학부 번역교육의 가능성 연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5 (15): 5-37, 2017

      33 박혜경, "석사 과정의 기계번역 수업에 대한 소고: 한일번역 전공생의 포스트에디팅 사례를 통하여" 한국번역학회 19 (19): 163-193, 2018

      34 김정우,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문화교육의 방향-문학작품 번역과 해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68) : 165-189, 2020

      35 한설옥,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65) : 249-272, 2019

      36 Viktor Nam, "번역을 통한 한국어 교육" 356-364, 2013

      37 최권진, "번역을 위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 (18): 243-269, 2021

      38 장정윤, "번역 교육 모형설계를 위한 고찰 : 고급수준이상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9 김민영, "문화소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번역 연구 - 과업중심 번역 교수법을 기반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89-110, 2021

      40 한옥순, "문학 작품의 재귀 번역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 교육 연구: 중국어모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135-149, 2012

      41 이정,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한국어 번역 교육 연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2019

      42 서진석, "맥락 파악 강화를 활용한 대학원 통번역 연계 수업 연구 :라트비아대학교 대학원 동양학과정 한국학 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1, 2019

      43 공태수, "기계번역 활용 한국어 작문 교육의 효과 -MTPE 작문 교수법 개발과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2 (32): 1-30, 2021

      44 김혜영, "국어 번역 글쓰기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45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누리집"

      46 우형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3 0.34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