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수진, "한국어교육에서 김소월 시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 교육 방안 - <진달래꽃>, <초혼>, <접동새>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317-339, 2013
2 김효중, "한국 현대시의 영역에 관한 고찰- 김소월 시의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비교문학회 (42) : 29-50, 2007
3 양소진,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에 인용된 한국 현대시의 번역에 대한 오류 분석-그 분포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3 (23): 373-409, 2019
4 박명, "인지시학적 시각으로 본 김소월 시세계" 2018
5 고원, "영어로 보는 한국의 명시" 우일사 1998
6 신상범, "벤야민의 번역철학이 지닌 성좌적 함의와 문학텍스트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9 (19): 185-207, 2021
7 신상범, "미학적 가치를 고려한 시 번역 연구 -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8 (18): 211-232, 2020
8 김종훈, "김소월의 「초혼(招魂)」에 나타난 감정 분출의 기제" 우리어문학회 (39) : 387-409, 2011
9 임수만, "김소월 시에 나타난 ‘슬픔’의 윤리와 미학" 한국현대문학회 (47) : 191-219, 2015
10 소필균, "김소월 「산유화」의 직시이동 인지문체 고찰-그레마스 사각기호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78) : 183-212, 2020
1 조수진, "한국어교육에서 김소월 시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 교육 방안 - <진달래꽃>, <초혼>, <접동새>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317-339, 2013
2 김효중, "한국 현대시의 영역에 관한 고찰- 김소월 시의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비교문학회 (42) : 29-50, 2007
3 양소진,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에 인용된 한국 현대시의 번역에 대한 오류 분석-그 분포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3 (23): 373-409, 2019
4 박명, "인지시학적 시각으로 본 김소월 시세계" 2018
5 고원, "영어로 보는 한국의 명시" 우일사 1998
6 신상범, "벤야민의 번역철학이 지닌 성좌적 함의와 문학텍스트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9 (19): 185-207, 2021
7 신상범, "미학적 가치를 고려한 시 번역 연구 -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8 (18): 211-232, 2020
8 김종훈, "김소월의 「초혼(招魂)」에 나타난 감정 분출의 기제" 우리어문학회 (39) : 387-409, 2011
9 임수만, "김소월 시에 나타난 ‘슬픔’의 윤리와 미학" 한국현대문학회 (47) : 191-219, 2015
10 소필균, "김소월 「산유화」의 직시이동 인지문체 고찰-그레마스 사각기호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78) : 183-212, 2020
11 이상호, "「진달래꽃」의 다중성에 관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9) : 139-163, 2009
12 Jaihiun J. K., "The Immortal Voice : An anthology of modern Korean poetry" Inmun Pub 1974
13 Peter, Lee, "Poems from Korea : From the Earliest Era to the Present" Routledge 2021
14 Peter Lee, "Modern Korean Literature: An Anthology" Hawaii UP 1990
15 Landers, E., "Literary Translation" Multilingual Matters 2001
16 김재현, "Korean poetry today : 450 poems since the 1920's" 한신 1987
17 McCann, D., "Anthology of Modern Korean Poetry" Columbia UP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