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마을의 돌문화 요소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1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astal village and Inland village was village in jeju. This study was cultural elements of stone to village in jeju. Memorial Stone and Stone Monument Street, Shrine, An altar of sarificial s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Bangsatap(pagoda), 25 Bongsu(25 beacon fire stations) and 38 Yeondae 38 signaling sites), Hwanhaejangseong Fortress, Grave wall and Horse pasture walls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An altar of sarificial r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was generally on the a hill near a village, built of Stone wall. Bangsatap(pagoda) was the kind and the size of stone to a location, that expresses the form and the scale. the form of grave wall was the oval or the rectangle, the latter was frequent. Thatched houses in jeju and facilities in a house, Stone wall, Tongsi(pigsty), Paeng namu and A heights of stone, Spring water and Water collected in a depression, Stone Weir, Horse mill and Dodaebul(Old Lighthouse)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life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Stone wall has the multiplicity of the size and the building method in the use, the function and the region. The form of Stone weir was the rectangular figure or the curvilinear figure, the section of that was the right triangle or the rectangular form.
      번역하기

      Coastal village and Inland village was village in jeju. This study was cultural elements of stone to village in jeju. Memorial Stone and Stone Monument Street, Shrine, An altar of sarificial s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Bangsatap(pagoda), 25 Bon...

      Coastal village and Inland village was village in jeju. This study was cultural elements of stone to village in jeju. Memorial Stone and Stone Monument Street, Shrine, An altar of sarificial s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Bangsatap(pagoda), 25 Bongsu(25 beacon fire stations) and 38 Yeondae 38 signaling sites), Hwanhaejangseong Fortress, Grave wall and Horse pasture walls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An altar of sarificial r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was generally on the a hill near a village, built of Stone wall. Bangsatap(pagoda) was the kind and the size of stone to a location, that expresses the form and the scale. the form of grave wall was the oval or the rectangle, the latter was frequent. Thatched houses in jeju and facilities in a house, Stone wall, Tongsi(pigsty), Paeng namu and A heights of stone, Spring water and Water collected in a depression, Stone Weir, Horse mill and Dodaebul(Old Lighthouse)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life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Stone wall has the multiplicity of the size and the building method in the use, the function and the region. The form of Stone weir was the rectangular figure or the curvilinear figure, the section of that was the right triangle or the rectangular for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목적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제주도 마을의 입지별 분류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목적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제주도 마을의 입지별 분류
      • 2.1. 해발고도에 따른 분류
      • 2.2. 해안선에 따른 분류
      • 3. 제주도 마을의 돌문화 요소
      • 3.1. 역사문화요소
      • 3.2. 생활문화요소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편)" 1980

      2 강만익, "조선시대 제주도 관설목장의 경관 연구" 제주대 2001

      3 조성윤,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백산서당 2003

      4 제주도, "제주의 민속Ⅴ" 1998

      5 김홍식, "제주의 민속Ⅳ-주생활, 제주도"

      6 김봉옥, "제주의 돌문화" 제주문화원 (5) : 1999

      7 이윤형, "제주의 돌문화" 제주돌문화공원 2006

      8 고성보, "제주밭담의 경관보전직불제 도입을 위한 경관자원(제주밭담)평가시스템 구축과 적용"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123-133, 2007

      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문화상징"

      10 제주도, "제주도지-제1권" 2006

      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편)" 1980

      2 강만익, "조선시대 제주도 관설목장의 경관 연구" 제주대 2001

      3 조성윤,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백산서당 2003

      4 제주도, "제주의 민속Ⅴ" 1998

      5 김홍식, "제주의 민속Ⅳ-주생활, 제주도"

      6 김봉옥, "제주의 돌문화" 제주문화원 (5) : 1999

      7 이윤형, "제주의 돌문화" 제주돌문화공원 2006

      8 고성보, "제주밭담의 경관보전직불제 도입을 위한 경관자원(제주밭담)평가시스템 구축과 적용"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123-133, 2007

      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문화상징"

      10 제주도, "제주도지-제1권" 2006

      11 제주도, "제주도지(제1권)" 1993

      12 제주도, "제주도지(상권)" 1982

      13 정은선, "제주도의 답과 거욱대에 관한 연구" 제주대 1999

      14 고광민, "제주도 포구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3

      15 김종석,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제주대 1998

      16 최용복, "제주도 농촌지역내 돌담 문화자원의 활용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57-65, 2006

      17 이상영, "제주 전통 돌담의 유지보전에 관한 의식조사"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33-40, 2007

      18 전해식, "우리나라 근대기 등대건축에 관한 연구" 배제대 2005

      19 북제주군, "북제주군의 문화유적(Ⅱ)" 1998

      20 강창언, "방사용 탑" 제주도사연구회 1995

      21 이왕기, "문화유산을 활용한 외암마을 만들기" 서귀포문화원 (8) : 2004

      22 고광민, "돌의 민속지" 도서출판 각 2006

      23 김정호, "대동여지도"

      24 김영돈, "“연자매”, 제주도민속자료, 제주도"

      25 "http://culture.jeju.go.kr/cont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8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