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사교육의 관점으로 본 초·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한국현대미술 도판 분석 = An Analysis of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Histor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5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1st National Art Curriculum to 2007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he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rt textbooks had been poor, while those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had been presented by chron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changes in art styles and movements. Althoug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began to actively include more Korean modern artworks from the 7th national art curriculum period. Nevertheless, several problems still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more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Second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focus on i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being integrated into other content areas. Thirdly,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expanded through connecting students’everyday cultural experiences. Fourth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presented with diverse methods of art history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1st National Art Curriculum to 2007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he Korean mod...

      This study examines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1st National Art Curriculum to 2007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he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rt textbooks had been poor, while those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had been presented by chron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changes in art styles and movements. Althoug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began to actively include more Korean modern artworks from the 7th national art curriculum period. Nevertheless, several problems still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more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Second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focus on i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being integrated into other content areas. Thirdly,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expanded through connecting students’everyday cultural experiences. Fourth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presented with diverse methods of art histo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중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속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현대미술사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층위 안에서 형성되는 현대미술의 의미를 읽어내는 시각적 문해력이 미술교육의 주요 목표가됨에 따라 미술교육 안에서 미술사교육은 문화소양교육으로 간주되며 그 비중이 점차커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미술사교육은 시대의 변천에 따른 작품의 양식적 변화를추적하는 연대기적인 접근보다는, 미술작품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사회적 의미를 구성해가는 다양한 방식들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미술교과서 안에 현대미술을 제시할때 맥락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경우,전통미술을 강조하는 흐름에 밀려 오랫동안 현대미술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다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중학교 미술교과서는 주로 해방 이전 세대의 미술작품을 제시하는데 머물러 있다가 제7차 교육과정부터 해방 이후의 한국현대미술을포함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제시 방법은 주로 연대기적인 접근을 벗어나지 못한채, 맥락주의적인 접근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제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한국현대미술 도판의 비중을 더 늘려야 한다. 둘째, 최근 미술계의 동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현대미술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 안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일상적인 문화적 경험과 연결하여 한국현대미술의 내용을 확장해야 한다. 넷째, 한국현대미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탐구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중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속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현대미술사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중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속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현대미술사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층위 안에서 형성되는 현대미술의 의미를 읽어내는 시각적 문해력이 미술교육의 주요 목표가됨에 따라 미술교육 안에서 미술사교육은 문화소양교육으로 간주되며 그 비중이 점차커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미술사교육은 시대의 변천에 따른 작품의 양식적 변화를추적하는 연대기적인 접근보다는, 미술작품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사회적 의미를 구성해가는 다양한 방식들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미술교과서 안에 현대미술을 제시할때 맥락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경우,전통미술을 강조하는 흐름에 밀려 오랫동안 현대미술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다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중학교 미술교과서는 주로 해방 이전 세대의 미술작품을 제시하는데 머물러 있다가 제7차 교육과정부터 해방 이후의 한국현대미술을포함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제시 방법은 주로 연대기적인 접근을 벗어나지 못한채, 맥락주의적인 접근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제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한국현대미술 도판의 비중을 더 늘려야 한다. 둘째, 최근 미술계의 동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현대미술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 안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일상적인 문화적 경험과 연결하여 한국현대미술의 내용을 확장해야 한다. 넷째, 한국현대미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탐구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잔디, "효과적인 미술감상교육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미술사 수업에 대하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이 일,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이일 미술평론집)" 열화당 1991

      3 고은실, "현대 한국 미술비평교육의 내용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83-104, 2008

      4 Stankiewicz, M. A., "현대 미술교육의 뿌리" 미진사 2001

      5 류지영, "현대 미술 감상교육의 지도방법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1 : 83-110, 2007

      6 김영나, "해방이후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전통과 서구미술의 수용의 갈등 및 방향모색" 9 : 291-313, 1995

      7 김미경, "한국현대미술사와 한국의 미술사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 : 391-412, 2005

      8 정광호, "한국미술사교육에 관한 연구: 중등미술교과서의 예시작품 분석" 6 : 1985

      9 문태홍, "한국미술사 감상 지도의 실제" 37 : 247-265, 2008

      10 김환기, "표준 중등미술 2" 어문각 1966

      1 김잔디, "효과적인 미술감상교육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미술사 수업에 대하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이 일,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이일 미술평론집)" 열화당 1991

      3 고은실, "현대 한국 미술비평교육의 내용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83-104, 2008

      4 Stankiewicz, M. A., "현대 미술교육의 뿌리" 미진사 2001

      5 류지영, "현대 미술 감상교육의 지도방법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1 : 83-110, 2007

      6 김영나, "해방이후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전통과 서구미술의 수용의 갈등 및 방향모색" 9 : 291-313, 1995

      7 김미경, "한국현대미술사와 한국의 미술사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 : 391-412, 2005

      8 정광호, "한국미술사교육에 관한 연구: 중등미술교과서의 예시작품 분석" 6 : 1985

      9 문태홍, "한국미술사 감상 지도의 실제" 37 : 247-265, 2008

      10 김환기, "표준 중등미술 2" 어문각 1966

      11 홍원기, "초등학교 미술사 교육 연구" 37 : 101-125, 2002

      12 송은주, "초등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서 미술사 학습: DBAE의 ‘Art History’와 관련하여" 8 : 65-76, 1997

      13 이은적, "초, 중, 고 미술과 교과서를 위한현대미술 교육내용 개발과 체계화 연구(1) - 인상주의 이후 20세기 전반기 미술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29) : 403-430, 2007

      14 이주은,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구성을 통해 본 미술사 교육의 현황 및 방향" 교육문제연구소 50 : 287-305, 2011

      15 유부미,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교학연구사 2010

      16 유부미,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교학연구사 2010

      17 김정희, "중학교 미술 3" 교학연구사 2003

      18 김병종, "중학교 미술 3" 삼화출판사 1997

      19 노영자, "중학교 미술 3" 교학사 2003

      20 윤재우, "중학교 미술 3" 동아출판사 1984

      21 윤명로, "중학교 미술 3" 삼화서적 주식회사 1990

      22 윤명로, "중학교 미술 3" 삼화서적 주식회사 1984

      23 임현진, "중학교 미술 3" ㈜교학사 1997

      24 노부자, "중학교 미술 3" 지학사 2003

      25 김기태, "중학교 미술 3" 금성출판사 1984

      26 노부자, "중학교 미술 2" 지학사 2001

      27 임현진, "중학교 미술 2" ㈜교학사 1995

      28 김정희, "중학교 미술 2" 교학연구사 2003

      29 김병종, "중학교 미술 2" 삼화출판사 1996

      30 노영자, "중학교 미술 2" 교학사 2002

      31 김기태, "중학교 미술 2" 금성출판사 1984

      32 임현진, "중학교 미술 1" ㈜교학사 1995

      33 문교부, "중학교 미술 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79

      34 노영자, "중학교 미술 1" 교학사 2001

      35 김병종, "중학교 미술 1" 삼화출판사 1995

      36 김정희, "중학교 미술 1" 교학연구사 2001

      37 양윤정, "중국과 프랑스의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 특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38 박정애, "재창조를 위한 예술교육: 의미 만들기를 위한 차용과 해석"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151-166, 2011

      39 대양출판사, "새로운 조형미술 중학교용 Ⅲ" 대양출판사 1960

      40 유경채, "새로운 조형-중학교 3" 교학사 1966

      41 Eisner, E, W.,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예경 1972

      42 Anderson, T., "삶을 위한 미술교육: 미술의 실제적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예경 2004

      43 홍기태, "미술사 비교분석을 통한 감상" 5 : 181-214, 1996

      44 김형숙, "미술사 교육의 전통과 담론들 - 미술관, 미술사, 그리고 교육"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8 : 305-344, 2004

      45 홍원기, "미술사 교육의 방법론 연구" 34 : 245-269, 1999

      46 Efland, A., "미술교육의 역사" 예경 1990

      47 김영길,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현대미술 도판 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역량강화 방안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37) : 77-102, 2010

      48 안혜리, "미술교과서, 무엇을 배울" ㈜미술사랑 12 : 138-141, 2004

      49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교육부고시 제1997-15호)-미술"

      50 양윤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In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51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52 조은정, "미술가와 역사-미술사교육의 한계와 전망" 한국미술이론학회 0 (0): 49-74, 2004

      53 문교부, "미술 6" 문교부 1965

      54 교육부, "미술 6"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55 교육인적자원부, "미술 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56 문교부, "미술 6"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9

      57 교육부, "미술 5"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58 교육인적자원부, "미술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59 문교부, "미술 5" 문교부 1965

      60 문교부, "미술 5" 문교부 1973

      61 문교부, "미술 5"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9

      62 문교부, "미술 5" 문교부 1962

      63 문교부, "미술 4" 문교부 1962

      64 문교부, "미술 4" 문교부 1964

      65 문교부, "미술 4"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7

      66 문교부, "미술 4"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9

      67 교육과학기술부, "미술 3~4" 교학사 2010

      68 문교부, "미술 3"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4

      69 윤난지, "김환기의 1950년대 그림: 한국 초기 추상미술에 대한 하나의 접근" 5 : 9-118, 1995

      70 이구열,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미진신서 1992

      71 Sandell, R., "Using form+theme+context (FTC) for rebalancing 21st century art education" 50 (50): 287-299, 2009

      72 Progressive Education Association, "The visual arts in general education" Appleton-Century-Crofts 1940

      73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The National Visual Arts Standards"

      74 전종탁, "DBAE에서 비평적 ‘판단’을 통한 초등학교의 미술사 지도 방안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1 : 229-252, 2007

      75 Barkan, M., "Curriculum problem in art education, In Aseminar in art education for research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40-258, 1966

      76 Duncum, P., "Clarify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55 (55): 6-11, 2002

      77 Winsand, O. M., "Art appreciation in the public schools from 1930 to1960" 22 (22): 1930

      78 김영나, "20세기의 한국미술 2" 예경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