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잔디, "효과적인 미술감상교육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미술사 수업에 대하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이 일,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이일 미술평론집)" 열화당 1991
3 고은실, "현대 한국 미술비평교육의 내용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83-104, 2008
4 Stankiewicz, M. A., "현대 미술교육의 뿌리" 미진사 2001
5 류지영, "현대 미술 감상교육의 지도방법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1 : 83-110, 2007
6 김영나, "해방이후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전통과 서구미술의 수용의 갈등 및 방향모색" 9 : 291-313, 1995
7 김미경, "한국현대미술사와 한국의 미술사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 : 391-412, 2005
8 정광호, "한국미술사교육에 관한 연구: 중등미술교과서의 예시작품 분석" 6 : 1985
9 문태홍, "한국미술사 감상 지도의 실제" 37 : 247-265, 2008
10 김환기, "표준 중등미술 2" 어문각 1966
11 홍원기, "초등학교 미술사 교육 연구" 37 : 101-125, 2002
12 송은주, "초등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서 미술사 학습: DBAE의 ‘Art History’와 관련하여" 8 : 65-76, 1997
13 이은적, "초, 중, 고 미술과 교과서를 위한현대미술 교육내용 개발과 체계화 연구(1) - 인상주의 이후 20세기 전반기 미술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29) : 403-430, 2007
14 이주은,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구성을 통해 본 미술사 교육의 현황 및 방향" 교육문제연구소 50 : 287-305, 2011
15 유부미,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교학연구사 2010
16 유부미,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 교학연구사 2010
17 김정희, "중학교 미술 3" 교학연구사 2003
18 김병종, "중학교 미술 3" 삼화출판사 1997
19 노영자, "중학교 미술 3" 교학사 2003
20 윤재우, "중학교 미술 3" 동아출판사 1984
21 윤명로, "중학교 미술 3" 삼화서적 주식회사 1990
22 윤명로, "중학교 미술 3" 삼화서적 주식회사 1984
23 임현진, "중학교 미술 3" ㈜교학사 1997
24 노부자, "중학교 미술 3" 지학사 2003
25 김기태, "중학교 미술 3" 금성출판사 1984
26 노부자, "중학교 미술 2" 지학사 2001
27 임현진, "중학교 미술 2" ㈜교학사 1995
28 김정희, "중학교 미술 2" 교학연구사 2003
29 김병종, "중학교 미술 2" 삼화출판사 1996
30 노영자, "중학교 미술 2" 교학사 2002
31 김기태, "중학교 미술 2" 금성출판사 1984
32 임현진, "중학교 미술 1" ㈜교학사 1995
33 문교부, "중학교 미술 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79
34 노영자, "중학교 미술 1" 교학사 2001
35 김병종, "중학교 미술 1" 삼화출판사 1995
36 김정희, "중학교 미술 1" 교학연구사 2001
37 양윤정, "중국과 프랑스의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 특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38 박정애, "재창조를 위한 예술교육: 의미 만들기를 위한 차용과 해석"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151-166, 2011
39 대양출판사, "새로운 조형미술 중학교용 Ⅲ" 대양출판사 1960
40 유경채, "새로운 조형-중학교 3" 교학사 1966
41 Eisner, E, W.,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예경 1972
42 Anderson, T., "삶을 위한 미술교육: 미술의 실제적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예경 2004
43 홍기태, "미술사 비교분석을 통한 감상" 5 : 181-214, 1996
44 김형숙, "미술사 교육의 전통과 담론들 - 미술관, 미술사, 그리고 교육"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8 : 305-344, 2004
45 홍원기, "미술사 교육의 방법론 연구" 34 : 245-269, 1999
46 Efland, A., "미술교육의 역사" 예경 1990
47 김영길,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현대미술 도판 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역량강화 방안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37) : 77-102, 2010
48 안혜리, "미술교과서, 무엇을 배울" ㈜미술사랑 12 : 138-141, 2004
49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교육부고시 제1997-15호)-미술"
50 양윤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In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51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52 조은정, "미술가와 역사-미술사교육의 한계와 전망" 한국미술이론학회 0 (0): 49-74, 2004
53 문교부, "미술 6" 문교부 1965
54 교육부, "미술 6"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55 교육인적자원부, "미술 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56 문교부, "미술 6"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9
57 교육부, "미술 5"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58 교육인적자원부, "미술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59 문교부, "미술 5" 문교부 1965
60 문교부, "미술 5" 문교부 1973
61 문교부, "미술 5"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9
62 문교부, "미술 5" 문교부 1962
63 문교부, "미술 4" 문교부 1962
64 문교부, "미술 4" 문교부 1964
65 문교부, "미술 4"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7
66 문교부, "미술 4"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9
67 교육과학기술부, "미술 3~4" 교학사 2010
68 문교부, "미술 3"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4
69 윤난지, "김환기의 1950년대 그림: 한국 초기 추상미술에 대한 하나의 접근" 5 : 9-118, 1995
70 이구열,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미진신서 1992
71 Sandell, R., "Using form+theme+context (FTC) for rebalancing 21st century art education" 50 (50): 287-299, 2009
72 Progressive Education Association, "The visual arts in general education" Appleton-Century-Crofts 1940
73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The National Visual Arts Standards"
74 전종탁, "DBAE에서 비평적 ‘판단’을 통한 초등학교의 미술사 지도 방안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1 : 229-252, 2007
75 Barkan, M., "Curriculum problem in art education, In Aseminar in art education for research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40-258, 1966
76 Duncum, P., "Clarify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55 (55): 6-11, 2002
77 Winsand, O. M., "Art appreciation in the public schools from 1930 to1960" 22 (22): 1930
78 김영나, "20세기의 한국미술 2" 예경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