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 정보 수집 관리 도구로서의 북마크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Using Behavior Analysis and Improvement of Bookmark as Web Information Management T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61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amount of web information grows, a bookmark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to reuse web information effectively which is relevant to users’ information needs.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bookmarks are used as a management tool of web information, and what functions users require concerned with it.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from 5 responden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okmark using behaviors and requirements for function improvement. The users who use bookmark less frequently think bookmark feature essential for the purpose of reusing web information.
      번역하기

      As the amount of web information grows, a bookmark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to reuse web information effectively which is relevant to users’ information needs.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bookmarks are used as a management tool of ...

      As the amount of web information grows, a bookmark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to reuse web information effectively which is relevant to users’ information needs.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bookmarks are used as a management tool of web information, and what functions users require concerned with it.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from 5 responden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okmark using behaviors and requirements for function improvement. The users who use bookmark less frequently think bookmark feature essential for the purpose of reusing web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웹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북마크는 이용자가 정보요구에 적합한 웹 정보를 효율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는 점에서 중요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웹에서의 정보 수집 및 관리 도구로서의 북마크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북마크 기능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응답자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관찰을 실시하고, 18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북마크 이용 목적에 따라 이용 행태와 기능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웹 정보의 수집을 위해 북마크를 이용하는 경우 맥락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마크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은 웹 정보 재이용이라는 목적에 대해 북마크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웹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북마크는 이용자가 정보요구에 적합한 웹 정보를 효율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는 점에서 중요해졌다. 이 연구...

      웹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북마크는 이용자가 정보요구에 적합한 웹 정보를 효율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는 점에서 중요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웹에서의 정보 수집 및 관리 도구로서의 북마크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북마크 기능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응답자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관찰을 실시하고, 18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북마크 이용 목적에 따라 이용 행태와 기능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웹 정보의 수집을 위해 북마크를 이용하는 경우 맥락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마크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은 웹 정보 재이용이라는 목적에 대해 북마크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원,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Bookmark)기능 활용과 인터넷 이용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4

      2 Kwasnik, B. H, "The role of classification structures in reflecting and building theory" 1992

      3 Lansdale, M, "The psychology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19 (19): 55-66, 1988a

      4 Boardman, R, "Stuff goes into the computer and doesn't come out: a cross-tool study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2004

      5 Rubin, A. M, "Ritualized and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34 (34): 67-77, 1984

      6 Jones, W,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7

      7 Jones. W, "Once found, what then? A study of “keeping" behaviors in the personal use of web information" 2002

      8 Lansdale, M, "On the memorability of icons in an information retrieval task" 7 (7): 131-151, 1988b

      9 Jones. W, "Keeping found things found on the web" 119-126, 2001

      10 Jones. W, "Keeping and re-finding information on the web: What do people do and what do they need?" 129-137, 2004

      1 이지원,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Bookmark)기능 활용과 인터넷 이용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4

      2 Kwasnik, B. H, "The role of classification structures in reflecting and building theory" 1992

      3 Lansdale, M, "The psychology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19 (19): 55-66, 1988a

      4 Boardman, R, "Stuff goes into the computer and doesn't come out: a cross-tool study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2004

      5 Rubin, A. M, "Ritualized and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34 (34): 67-77, 1984

      6 Jones, W,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7

      7 Jones. W, "Once found, what then? A study of “keeping" behaviors in the personal use of web information" 2002

      8 Lansdale, M, "On the memorability of icons in an information retrieval task" 7 (7): 131-151, 1988b

      9 Jones. W, "Keeping found things found on the web" 119-126, 2001

      10 Jones. W, "Keeping and re-finding information on the web: What do people do and what do they need?" 129-137, 2004

      11 Jones, W. P, "Keeping Found Things Found: The Study And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08

      12 Abrams, D, "Information archiving with bookmarks: Personal web space construction & organization" 41-48, 1998

      13 Thakor, M. V, "Hotlists and Web browsing behavioran empirical investigation" 57 (57): 776-786, 2004

      14 Barreau, D, "Context as a Factor i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46 (46): 327-339, 1995

      15 Catledge, L. D, "Characterizing browsing strategies in the worldwide web" 27 (27): 1065-1073, 1995

      16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년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 2.02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