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위암 장지연의 『아언각비』 소개와 樹木 名稱을 둘러싼 韓·中 文化-『 황성신문』 연재내용을 중심으로 - = An introduction 『Aeongakbi』 of Wiam Jang Ji Yeon and a study on Korea- China culture surrounding tree names - Focusing on contents of series in 『Hwangseongsinm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4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아언각비의 일부 내용을 위암 장지연 선생이 황성신문에 총 9회에 걸쳐 연재한 내용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 작성한 것이다. 위암은 당시 조선사회를 계몽하고 선...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아언각비의 일부 내용을 위암 장지연 선생이 황성신문에 총 9회에 걸쳐 연재한 내용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 작성한 것이다. 위암은 당시 조선사회를 계몽하고 선도하는 막중한 위치에서 황성신문사을 이끌던 대표 언론인이었다. 총 9회의 보도 내용은 크게 네 부류로 나눌 수 있었다. 그 하나는 서문과 함께 가장 크게 문제시 되고 있던 산차 나무의 명칭 문제였다. 200여년이 지난 지금 되돌아보아도 다산이 주장했던 “산차나무”라는 말은 들리지 않는다. 그때나 지금이나 ‘동백나무’라는 말로 널리 통용되고 있다. 최초의 작명을 통한 언어의 출발이 올바르고 정당하다고 하더라도 지역 환경을 크게 벗어난다면 그들의 자연발생적인 언어사용을 강제할 수 없다는 것이 언어사용의 현실이라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소나뭇과에 속하는 언중들의 혼란스런 한자어 사용에 주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한자어에 사용되는 소나뭇과의 한자어들은 상당수에 이른다. 松, 柏, 杉, 檜, 樅, 栝, 榧 등이 소나무와 유사한 한자어들이다. 이번 탐구를 통하여 종류가 많을수록 정확한 명칭부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한자어가 생겨난 이유는 근원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소나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중국 문인들의 시와 글에서 확인되는 노송나무와 전나무, 그리고 비자나무와 삼나무는 정확히 구분하여 활용해야한다는 것이 다산의 주장이다. 특히 한자를 공유하고 있는 동아시아에서는 이러한 문제 두드러진다는 것이다.다음으로는 잎넓은 나무들 중 ‘개오동나무’라고 불리 우는 檟, 楸, 榎, 椅, 梓, 등의 한자어 사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가래나무’와 ‘개오동나무’는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며, 다만 ‘호두나무’와 ‘가래나무’는 다르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또한 ‘단풍나무’를 통하여 중국의 단풍나무와 조선의 단풍나무가 잎 모양은 같지만 나머지는 크게 다르다는 점이다. 그리고 후박나무도 중국의 후박나무와 조선의 후박나무가 유사하여 꼼꼼히 관찰하지 않으면 큰 낭패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체험 사례를 통하여 밝히고 있다. 이점은 사물의 겉모습만을 가지고 명칭을 부여하는 것과는 달리, 보다 정교한 사물 속성까지 구분하는 명칭부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끝으로 동아시아 전체로 보았을 때 나무를 통한 문물거래는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는데 나름의 밑바탕을 이루며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삼나무를 이용한 널 판재 이용은 중국, 우리나라, 일본에 이르기까지 죽음의 문화 곧 장례문화를 이루는 중요한 자원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죽음의 의식을 이행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棺을 만드는 재료를 삼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어 널리 통용하여 현대에 까지 거대한 삼나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amined the contents which Wiam Jang Ji Yeon published at Hwangseongsinmun for 9 series on part of Aeongakbi of Dasan Jeong Yak Yong. The 9th series could be divided into 4. First is the introduction and the naming problem of Sancha tree, w...

      The study examined the contents which Wiam Jang Ji Yeon published at Hwangseongsinmun for 9 series on part of Aeongakbi of Dasan Jeong Yak Yong. The 9th series could be divided into 4. First is the introduction and the naming problem of Sancha tree, which was the most problematic. Secondly, it focused on confusing use of Sino-Korean words on pine tree family. There are many Sino-Korean words on pine trees. Thirdly, it pointed out a problem of using Sino-Korean words on ‘catalpa’ a wide leave trees. Fourthly, it demonstrates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the exchange of civilization through tree is the foundation of forming various cultures having a huge contrib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아언각비』의 소인(小引)과 산차(山茶)나무 3.『 아언각비』의 소나뭇과 나무들 4.『 아언각비』의 활엽수과 나무들 5. 맺음말
      • 1. 머리말 2.『 아언각비』의 소인(小引)과 산차(山茶)나무 3.『 아언각비』의 소나뭇과 나무들 4.『 아언각비』의 활엽수과 나무들 5.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주, "한말 일제하 재조일본인의 조선고서 간행사업" 대동문화연구원 (66) : 417-448, 2009

      2 최혜주, "한국현대사연구 여름" 한울 2008

      3 윤소영, "한국현대사연구 여름" 한울 2008

      4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정약용 250 : 천명, 다산의 하늘(전시전 도록)" 비에이디자인 1912

      5 심경호,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6 정약용,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7 서신혜, "일제시대 일본인의 古書刊行과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활동 고소설 분야를 중심으로" 온지학회 (16) : 389-416, 2007

      8 정약용, "여유당집"

      9 정약용, "여유당전서보유" 경인문화사 1987

      10 정약용, "여유당전서" 신조선사 1938

      1 최혜주, "한말 일제하 재조일본인의 조선고서 간행사업" 대동문화연구원 (66) : 417-448, 2009

      2 최혜주, "한국현대사연구 여름" 한울 2008

      3 윤소영, "한국현대사연구 여름" 한울 2008

      4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정약용 250 : 천명, 다산의 하늘(전시전 도록)" 비에이디자인 1912

      5 심경호,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6 정약용,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7 서신혜, "일제시대 일본인의 古書刊行과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활동 고소설 분야를 중심으로" 온지학회 (16) : 389-416, 2007

      8 정약용, "여유당집"

      9 정약용, "여유당전서보유" 경인문화사 1987

      10 정약용, "여유당전서" 신조선사 1938

      11 정약용, "아언각비·이담속찬" 현대미학사 2005

      12 정약용, "아언각비(필사본 25종)"

      13 정약용, "아언각비(朝鮮群書大系 正集 제19집)" 朝鮮古書刊行會 1911

      14 정약용, "아언각비" 일지사 1976

      15 정약용, "아언각비" 自由討究社 1922

      16 정약용, "아언각비" 조선광문회 1912

      17 정약용, "아언각비" 황성신문 1903

      18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국립출판사 1955

      19 박상현, "번역으로 발견된‘조선(인)’-자유토구사의 조선 고서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46) : 391-412, 2010

      20 정약용, "목민심서" 廣文社 1902

      21 실학박물관, "다산과 가장본 여유당집" 그라픽네트 2010

      22 안병직, "다산과 가장본 여유당집" 다산과 가장본 여유당집 2013

      23 박철상, "다산茶山 저작 고본稿本의 제문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3) : 7-40, 2013

      24 정약용, "경세유표" 조선광문회 1914

      25 정약용, "與猶堂全書" 新朝鮮社 1938

      26 오영섭, "朝鮮光文會 硏究" 한국사학사학회 (3) : 79-140, 2001

      27 丁奎英, "俟菴先生年譜" 정문사 1984

      28 김언종, "『여유당전서보유』의 저작별 진위문제에 대하여(上)"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123-175, 2006

      29 노경희, "『아언각비雅言覺非』 의 이본과 유전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3) : 175-210, 2013

      30 신용하, "19세기말 장지연의 다산 정약용의 발굴" 일지사 110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