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다양한 물명 관련 자료가 간행되었다. 이들 자료에 수록된 의약 관련 어휘는 당시 의학의 실제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재물보는 이만영이 1798년에 편찬한 물명류 저작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65043
2020
-
한국의학사 ; 이만영 ; 재물보 ; 경악전서 ; 동의보감 ; Korean medical history ; Lee Man-young ; Jaemulbo ; Jingyuequanshu ; Donguibogam
519
KCI등재
학술저널
37-43(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 다양한 물명 관련 자료가 간행되었다. 이들 자료에 수록된 의약 관련 어휘는 당시 의학의 실제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재물보는 이만영이 1798년에 편찬한 물명류 저작이다. ...
조선 후기 다양한 물명 관련 자료가 간행되었다. 이들 자료에 수록된 의약 관련 어휘는 당시 의학의 실제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재물보는 이만영이 1798년에 편찬한 물명류 저작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물보에 나오는 의약 어휘를 개략적으로 조사 분석을 하였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새롭게 알았다. 1) 재물보는 19세기에 사용된 의학 용어에 대하여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다른 조선 후기 물명류 자료에 비교하여 독특한 면이다. 2) 수록된 의약 어휘 선택은 교양서나 어휘사전 같은 공구서의 목적에 부합하여 이루어졌다. 3) 재물보는 1790년 이전에 경악전서를 활용한 사례이다. 재물보 편찬 당시인 1789년에 편자가 경악전서 활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4) 재물보에는 동의보감 이후의 약물학 경험과 지식이 반영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materials related the names of objects were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edicine-related vocabulary contained in these data is important data for examining the practice of medicine at the time. Jaemulbo (Genealogy of talent and t...
Various materials related the names of objects were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edicine-related vocabulary contained in these data is important data for examining the practice of medicine at the time. Jaemulbo (Genealogy of talent and things) is a document on the names of things written by Lee Man-young in 1798. Through this study, the medical vocabulary in Jaemulbo was broadly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following claims are made: 1. Jaemulbo provides a wealth of information on the medical terminology used in the 19th century. 2. The selection of medical vocabulary included was mad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ools such as cultured books and dictionaries. 3. Jaemulbo is an example of using Jingyuequanshu (Whole book of Jingyue) before 1790. 4. Jaemulbo reflects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pharmacology after Donguibogam.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한국학자료종합안내서비스 인문관계정보 만가보 가계도"
3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4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원 (47) : 85-136, 2007
5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조선후기 유서와 지식의계보학" 경인문화사 6-20, 2019
6 장유승, "조선후기 물명서의 편찬동기와 분류체계" 한국고전연구학회 (30) : 171-206, 2014
7 한동수, "조선시대 유서 재물보에 수록된 궁실 부분 어휘에 대한 고찰" 138-141, 2015
8 김일권, "전통시대 생물분류체계와 관련 문헌자료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8 (38): 118-159, 2015
9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 DB"
10 심경호, "연세대 소장 유서 및 한자어휘집의 가치" 국학연구원 (146) : 1-88, 2009
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한국학자료종합안내서비스 인문관계정보 만가보 가계도"
3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4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원 (47) : 85-136, 2007
5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조선후기 유서와 지식의계보학" 경인문화사 6-20, 2019
6 장유승, "조선후기 물명서의 편찬동기와 분류체계" 한국고전연구학회 (30) : 171-206, 2014
7 한동수, "조선시대 유서 재물보에 수록된 궁실 부분 어휘에 대한 고찰" 138-141, 2015
8 김일권, "전통시대 생물분류체계와 관련 문헌자료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8 (38): 118-159, 2015
9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 DB"
10 심경호, "연세대 소장 유서 및 한자어휘집의 가치" 국학연구원 (146) : 1-88, 2009
11 홍석주, "역주 홍씨독서록" 아세아문화사 229-230, 2006
12 박훈평, "역주 내의원식례" 퍼플 2015
13 신중진, "사전학적 관점에서 본 『物名攷』와 『才物譜』의 영향 관계" 진단학회 (120) : 105-127, 2014
14 정승혜, "물명(物名)류 자료의 종합적 고찰" 국어사학회 (18) : 79-116, 2014
15 한국한의학연구원, "내 손안에 동의보감 원문강독편" 수퍼노바 2017
16 남종진, "국역 재물보 1,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9
17 유희, "국역 물명고 상하" 소명출판 2019
18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DB"
19 李凡, "論朝鮮時代《才物譜》的名物學價值" 한국한자연구소 (20) : 117-137, 2018
20 "維基文庫"
21 "百度百科"
22 양영준, "朝鮮醫書『增補萬病回春』에 대한 硏究" 한국의사학회 19 (19): 119-143, 2006
23 실록청,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24 박훈평, "朝本 『黃帝內徑素問』 판본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27 (27): 75-83, 2014
25 方學洙, "才物譜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26 肖瀟, "才物譜研究—以詞彙與文字爲中心"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7 신희범, "『재물보』와 『광재물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8 전종욱, "『임원경제지』·「인제지」의 편집 체재와 조선후기 의학 지식의 수용 양상 - 『동의보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의사학회 21 (21): 403-448, 2012
29 오재근, "『본초강목』이 조선 후기 본초학 발전에 미친 영향 : 미키 사카에의 『임원경제지』 본초학 성과 서술 비판" 대한의사학회 21 (21): 193-226, 2012
30 유준상, "『醫門寶鑑』을 통해 살펴본 周命新의 의학사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31 김성수, "18세기 후반 의학계의 변화상 -『欽英』으로 본 조선후기 의학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5) : 99-134, 2014
32 박훈평, "17-18세기 조선 간행 『동의보감』 목판본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한국의사학회 28 (28): 25-37, 2015
조선 왕실에서의 우황고 활용 양상 연구 :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20세기 조선 왕실 처방집 『어용탕제책(御用湯劑冊)』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737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