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壬辰倭亂 직전의 국내정세와 韓日關係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4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6세기는 士林들이 중앙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東西分黨이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地方場市가 발달하고 대외무역도 활발하게 행하여졌다. 그러나 농장의 확대로 농민층이 몰락하고 貢納ㆍ軍役制의 폐단으로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졌다. 게다가 삼포왜란 이후 왜구의 침입이 급증하면서 조선의 사회는 인심이 흉흉하고 나라의 기강이 해이해졌다. 또한 군역제의 동요가 나타나면서 국방체제의 근간인 鎭管體制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국왕사를 사칭한 위사는 일본의 혼란한 국내사정과 조선정부의 일본에 대한 정보부족 그리고 일본국왕사에 대한 우대 등을 배경으로 1470년부터 나타났으며, 삼포왜란을 전후하여 변질되었다. 삼포왜란 이전의 위사는 막부장군의 측근이나 일본본토의 호족들이 주로 파견하였다. 그러나 삼포왜란 이후에는 대마도주가 조선과의 통교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사를 파견하였다. 그 결과 국왕사를 사칭한 僞使가 급증하였다.
      三浦倭亂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여 備邊司를 설치하고 군사제도를 制勝方略 體制로 개편하는 한편 板屋船을 건조하는 등의 노력을 강구하였다. 또한 임진왜란 직전에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무능한 守令을 교체하고 경상ㆍ전라도의 성곽을 수축하기도 하였으나 형식적인 면에 그쳤고, 이는 오히려 백성들의 원망만 샀다.
      임진왜란 초기 일본의 침입에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하고 官軍이 일본군에게 패배한 요인은, 정치ㆍ사회ㆍ경제적인 변화로 인한 민심의 이반과 국가기강의 해이, 일본의 국내정세에 대한 정보의 부족, 조선군의 전술과 무기가 일본군에 비해 부족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의병의 활동과 이순신을 중심으로 한수군의 승리 그리고 새로운 무기와 전술의 개발 등을 통해서 초전의 패배를 극복하고 일본군을 물리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6세기는 士林들이 중앙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東西分黨이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地方場市가 발달하고 대외...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6세기는 士林들이 중앙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東西分黨이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地方場市가 발달하고 대외무역도 활발하게 행하여졌다. 그러나 농장의 확대로 농민층이 몰락하고 貢納ㆍ軍役制의 폐단으로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졌다. 게다가 삼포왜란 이후 왜구의 침입이 급증하면서 조선의 사회는 인심이 흉흉하고 나라의 기강이 해이해졌다. 또한 군역제의 동요가 나타나면서 국방체제의 근간인 鎭管體制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국왕사를 사칭한 위사는 일본의 혼란한 국내사정과 조선정부의 일본에 대한 정보부족 그리고 일본국왕사에 대한 우대 등을 배경으로 1470년부터 나타났으며, 삼포왜란을 전후하여 변질되었다. 삼포왜란 이전의 위사는 막부장군의 측근이나 일본본토의 호족들이 주로 파견하였다. 그러나 삼포왜란 이후에는 대마도주가 조선과의 통교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사를 파견하였다. 그 결과 국왕사를 사칭한 僞使가 급증하였다.
      三浦倭亂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여 備邊司를 설치하고 군사제도를 制勝方略 體制로 개편하는 한편 板屋船을 건조하는 등의 노력을 강구하였다. 또한 임진왜란 직전에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무능한 守令을 교체하고 경상ㆍ전라도의 성곽을 수축하기도 하였으나 형식적인 면에 그쳤고, 이는 오히려 백성들의 원망만 샀다.
      임진왜란 초기 일본의 침입에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하고 官軍이 일본군에게 패배한 요인은, 정치ㆍ사회ㆍ경제적인 변화로 인한 민심의 이반과 국가기강의 해이, 일본의 국내정세에 대한 정보의 부족, 조선군의 전술과 무기가 일본군에 비해 부족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의병의 활동과 이순신을 중심으로 한수군의 승리 그리고 새로운 무기와 전술의 개발 등을 통해서 초전의 패배를 극복하고 일본군을 물리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Choson's domestic situa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Wae-Ran. It closely examines the causes of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impostor envoys who falsely presented themselves as those of Japanese “King”, the true identities of these fraudulent ambassadors, and the defensive system of Choson government against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reason why the government army of Choson was fatally defeated by Japanese army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Wae-Ran.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 Waeran, the livelihood of the peasantry in Choson was getting worse, owing to the expansion of large estates. And they were getting poor, owing to the inefficient systems of the tribute tax and the military service.
      Moreover, because the raids of Japanese pirate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Sam-Po-Wae-Ran, Choson's people felt fear of them and Chonson's society became more and more unstable. The garrison command system, which was the basis of the national defence, was also shaken because the military service system of Choson did not work efficiently. In this kind of situation, Choson government couldn't be ready to keep off any attack of Japan in spite of predicting Japanese invasion. To sum up, the social unstability of Chonso was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the regular troops of Choson suffered a severe defe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e-Ran.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Choson's domestic situa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Wae-Ran. It closely examines the causes of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impostor envoys who falsely presented themselve...

      This study explores Choson's domestic situa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Wae-Ran. It closely examines the causes of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impostor envoys who falsely presented themselves as those of Japanese “King”, the true identities of these fraudulent ambassadors, and the defensive system of Choson government against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reason why the government army of Choson was fatally defeated by Japanese army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Wae-Ran.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 Waeran, the livelihood of the peasantry in Choson was getting worse, owing to the expansion of large estates. And they were getting poor, owing to the inefficient systems of the tribute tax and the military service.
      Moreover, because the raids of Japanese pirate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Sam-Po-Wae-Ran, Choson's people felt fear of them and Chonson's society became more and more unstable. The garrison command system, which was the basis of the national defence, was also shaken because the military service system of Choson did not work efficiently. In this kind of situation, Choson government couldn't be ready to keep off any attack of Japan in spite of predicting Japanese invasion. To sum up, the social unstability of Chonso was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the regular troops of Choson suffered a severe defe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e-R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임진왜란 직전의 국내정세
      • 3. 日本國王使의 변질과 僞使
      • 4. 일본의 침략에 대한 대비책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임진왜란 직전의 국내정세
      • 3. 日本國王使의 변질과 僞使
      • 4. 일본의 침략에 대한 대비책
      • 5. 임진왜란 초기의 패배원인 - 맺음말을 대신하여 -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2

      2 한문종, "조선전기 日本國王使의 朝鮮通交" 한일관계사학회 (21) : 5-36, 2004

      3 최영희, "임진왜란에 대한 이해의 문제점" 국사편위원회 (22) : 1992

      4 이장희,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1999

      5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6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7 오종록, "임진왜란〜병자호란기 군사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방군사연구소 (38) : 1999

      8 이장희, "임진왜란" 국사편찬위원회 (4) : 1976

      9 최영희, "왜란전의 정세" 국사편찬위원회 (29) : 1995

      10 송정현, "왜란의 발발" 국사편찬위원회 (29) : 1995

      1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2

      2 한문종, "조선전기 日本國王使의 朝鮮通交" 한일관계사학회 (21) : 5-36, 2004

      3 최영희, "임진왜란에 대한 이해의 문제점" 국사편위원회 (22) : 1992

      4 이장희,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1999

      5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6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7 오종록, "임진왜란〜병자호란기 군사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방군사연구소 (38) : 1999

      8 이장희, "임진왜란" 국사편찬위원회 (4) : 1976

      9 최영희, "왜란전의 정세" 국사편찬위원회 (29) : 1995

      10 송정현, "왜란의 발발" 국사편찬위원회 (29) : 1995

      11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왜구ㆍ위사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12 高錫珪, "상품의 유통과 貢納制의 모순" 국사편찬위원회 (28) : 1996

      13 北島萬次, "豊臣秀吉の朝鮮侵略" 吉川弘文館 1995

      14 金泰永, "科田法의 붕괴와 地主制의 발달" 국사편찬위원회 (28) : 1996

      15 한문종, "朝鮮前期 對日 外交政策 硏究-對馬島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1996

      16 李謙周, "壬辰倭亂前 朝鮮의 國防實態" 국사편찬위원회 (22) :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