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남(韶南) 이주환(李珠煥)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과 제41호 가사의 예능보유자였으며, 국립국악원장 그리고 국악사양성소장을 역임하였다. 즉 그의 삶은 예술가․행정가․교육자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36514
김우진 (서울대학교)
2013
Korean
가곡 ; 이주환 ; 가곡보 ; 학습순서 ; 시조시 ; 가곡 교육 ; gagok ; Lee Ju-Hwan ; gagok score ; level of difficulty of songs ; didactic poetries ; gagok edu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31-49(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남(韶南) 이주환(李珠煥)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과 제41호 가사의 예능보유자였으며, 국립국악원장 그리고 국악사양성소장을 역임하였다. 즉 그의 삶은 예술가․행정가․교육자로 ...
소남(韶南) 이주환(李珠煥)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과 제41호 가사의 예능보유자였으며, 국립국악원장 그리고 국악사양성소장을 역임하였다. 즉 그의 삶은 예술가․행정가․교육자로 요약될 수 있다. 본래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에서 전공은 피리였으나 후에 가곡으로 전공을 바꾸었고, 종신토록 가곡을 전공으로 삼았다. 그는 하규일에게 가곡을 학습하여 후진을 양성한 유일한 선가(善歌)였다. 이 글은 가곡 전승을 위해 노력한 이주환의 업적을 조명한 글이다. 내용은 이주환이 가곡을 전승한 경로와 가곡을 가르친 순서, 가곡을 가르치기 위해 만든 가곡보의 파급 효과, 가곡의 노랫말을 바꾸게 된 배경, 가곡보의 특징 등에 대하여 논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Ju-Hwan(李珠煥), Sonam(韶南), was born on May 24 1909 in Gwansudong Jongno Seoul and passed away on November 30, 1972 in Donggyodong (now Changcheondong). Lee was a performance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0 Gagok (Unesco Intan...
Lee Ju-Hwan(李珠煥), Sonam(韶南), was born on May 24 1909 in Gwansudong Jongno Seoul and passed away on November 30, 1972 in Donggyodong (now Changcheondong). Lee was a performance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0 Gagok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o. 41 Gasa, and served as the first director general of National Gugak Center (formerly,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well as the first principal of Gugaksa yanseongso, the training center for gugak musician (now Gugak National High School). In other words, Lee was an artist, music administrator, and educator at the same time. Lee actually was trained as a piri performer but later he dedicated his whole life for gagok singing. Moreover, he was the only singer who raised next generation musicians succeeding his mentor Ha Gyu-il. This paper highlighted works done by Lee Ju-Hwan by exploring Lee’s teaching methodology and system, including his own notation, scores, and rewritten verses. Firs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Lee had transmitted gagok in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Yiwangjik aakbuwon yangseongso, Gwonbeon, Gugaksa yangseongso and more. Among the institutions above, Gugaksa yangseongso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ransmitting gagok singing. Bearing the level of difficulty of songs in his mind, Lee began with <Chosudaeyeop> when teaching students in order to train breathing, ornamentation, and rhythmic patterns. Secondly, Lee’s gagok score not only was used to pass down the music, but also enabled him to teach many people at one time. Also, publishing gagok score provided the basis of studying the music. Thirdly, Lee often sung poetries written by famous literati for his beginning repertoire, and chose didactic poetries to teach ideas of devotement, belief, and service to his students. These three words were the lesson of Gugaksa yangseongso, and now are set for the school motto of Gukak National High School. Finally, Lee emphasized the basic line of the music with limited ornament in melodies because he considered the basic learning importa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7
2 조순자, "한국근현대사의 음악가 열전(3)-나의 스승 소남 이주환님" 한국음악사학회 6 : 1991
3 성경린, "제1대 이주환 소장의 교육지침, In 국악교육 50년" 국립국악중고등학교 2007
4 이주환, "아악부회고" 대한민국예술원 (10) : 1966
5 이주환, "선가하규일선생, In 선가하규일선생약전" 민속원 1993
6 성경린, "선가 하규일 선생 약전, In 선가 하규일 선생 약전" 민속원 1993
7 한국언론연구원, "매스컴대사전" 1993
8 홍원기, "남녀창 가곡보" 홍인문화사 1981
9 김천흥, "금하 하규일 선생의 가곡보, In 선가 하규일선생 약전" 민속원 1993
10 김기수, "국악입문" 한국고전음악출판사 1972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7
2 조순자, "한국근현대사의 음악가 열전(3)-나의 스승 소남 이주환님" 한국음악사학회 6 : 1991
3 성경린, "제1대 이주환 소장의 교육지침, In 국악교육 50년" 국립국악중고등학교 2007
4 이주환, "아악부회고" 대한민국예술원 (10) : 1966
5 이주환, "선가하규일선생, In 선가하규일선생약전" 민속원 1993
6 성경린, "선가 하규일 선생 약전, In 선가 하규일 선생 약전" 민속원 1993
7 한국언론연구원, "매스컴대사전" 1993
8 홍원기, "남녀창 가곡보" 홍인문화사 1981
9 김천흥, "금하 하규일 선생의 가곡보, In 선가 하규일선생 약전" 민속원 1993
10 김기수, "국악입문" 한국고전음악출판사 1972
11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1
12 이주환, "가곡보 속" 가곡회 1962
13 이주환, "가곡보" 가곡회 1970
14 김영운, "가곡"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가곡 작창 원리에 대한 소고-노랫말의 음보, 배자, 장단 점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가>에 삽입된 가사(歌詞) 계열 노래 연구
京制 불교음악의 태평소 가락 연구-벽응스님의 가락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8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