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강행실도』 언해본의 부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5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삼강행실도』 언해본(1490)의 부사들 가운데 이 책에서만 보이거나 중세국어 시기의 다른 문헌에도 있지만 용례가 많지 않으면서 관련된 어휘를 가지는 것들을 대상으로 형태 분석과 예문 및 의미 등을 검토하였다.
      이 글에서 살펴본 부사는 ‘낟비, 넌즈기, 느러니, 사기, 서어히, 섭서비’ 등이다. 이 중 ‘넌즈기’는 이 책에서만 보이는 것이고, ‘사기’는 이 책과 『석보상절』, 『월인석보』에서만 각각 한 예씩 보이는 것으로 이 책의 원고 작성 시기를 15세기 중엽(세종대 또는 세조대)으로 추정케 하는 새로운 예로 보았다. ‘섭서비’는 ‘섭섭-’의 어근 ‘섭섭’을 어기로 파생된 부사로 중세국어의 ‘섭섭-’는 현대국어의 ‘섭섭하-’와 달리 “허황되다, 거짓되다” 정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 책에 쓰인 부사를 후대본에서 교체된 어형과 비교하고 관련된 어휘들을 찾아 분석하고 의미를 파악해 보는 것은 이 책에 쓰인 부사의 특징을 밝히는 데 유용할 것이고 어휘사 연구 및 중세국어의 어휘를 정밀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삼강행실도』 언해본(1490)의 부사들 가운데 이 책에서만 보이거나 중세국어 시기의 다른 문헌에도 있지만 용례가 많지 않으면서 관련된 어휘를 가지는 것들을 대상으로 형태 ...

      이 글에서는 『삼강행실도』 언해본(1490)의 부사들 가운데 이 책에서만 보이거나 중세국어 시기의 다른 문헌에도 있지만 용례가 많지 않으면서 관련된 어휘를 가지는 것들을 대상으로 형태 분석과 예문 및 의미 등을 검토하였다.
      이 글에서 살펴본 부사는 ‘낟비, 넌즈기, 느러니, 사기, 서어히, 섭서비’ 등이다. 이 중 ‘넌즈기’는 이 책에서만 보이는 것이고, ‘사기’는 이 책과 『석보상절』, 『월인석보』에서만 각각 한 예씩 보이는 것으로 이 책의 원고 작성 시기를 15세기 중엽(세종대 또는 세조대)으로 추정케 하는 새로운 예로 보았다. ‘섭서비’는 ‘섭섭-’의 어근 ‘섭섭’을 어기로 파생된 부사로 중세국어의 ‘섭섭-’는 현대국어의 ‘섭섭하-’와 달리 “허황되다, 거짓되다” 정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 책에 쓰인 부사를 후대본에서 교체된 어형과 비교하고 관련된 어휘들을 찾아 분석하고 의미를 파악해 보는 것은 이 책에 쓰인 부사의 특징을 밝히는 데 유용할 것이고 어휘사 연구 및 중세국어의 어휘를 정밀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form analysis, example studies and meanings based on the objects which include related terms that still do not have examples even though they can find in other literatures in Korean in the middle period or in the books among adverbs of Unhadbon in Samganghaengsildo(1490).
      The adverbs studied in this study are ‘Natbi, Nunzigi, Neureoni, Sagi, Seoeohi, and Seopseobi.’ ‘Neonzeugi’ among them only can be seen in the book, but ‘Sagi only can be seen one example in this book, Seokbosangjel and WolinSeokbo. So, this study viewed the new example which can be assumed that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middle of 15th century. ‘Seopseobi’ is an adverb derived from the root of ‘seopseophʌda’, so ‘seopseophʌda’ in middle Korean had the meaning “absurd” or “false” unlike “regrettable” in modern Korean.
      Comparing the adverbs used in this book with the words replaced in the latter version, finding related words, and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m with the meanings would be very useful to reveal the adverbs in this book, furthermore, it will be really helpful to study vocabularies in middle Korean and language study of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reviewed the form analysis, example studies and meanings based on the objects which include related terms that still do not have examples even though they can find in other literatures in Korean in the middle period or in the books among ad...

      This study reviewed the form analysis, example studies and meanings based on the objects which include related terms that still do not have examples even though they can find in other literatures in Korean in the middle period or in the books among adverbs of Unhadbon in Samganghaengsildo(1490).
      The adverbs studied in this study are ‘Natbi, Nunzigi, Neureoni, Sagi, Seoeohi, and Seopseobi.’ ‘Neonzeugi’ among them only can be seen in the book, but ‘Sagi only can be seen one example in this book, Seokbosangjel and WolinSeokbo. So, this study viewed the new example which can be assumed that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middle of 15th century. ‘Seopseobi’ is an adverb derived from the root of ‘seopseophʌda’, so ‘seopseophʌda’ in middle Korean had the meaning “absurd” or “false” unlike “regrettable” in modern Korean.
      Comparing the adverbs used in this book with the words replaced in the latter version, finding related words, and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m with the meanings would be very useful to reveal the adverbs in this book, furthermore, it will be really helpful to study vocabularies in middle Korean and language study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서론
      • 2. 개별 어휘 고찰
      • 3. 결론
      • 참고문헌
      • 국문 요약
      • 1. 서론
      • 2. 개별 어휘 고찰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