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사동사 목록 선정과 제시 - 초·급 수준의 사동사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5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활용하여 사동사 63개를 추출한 뒤, 형태‧통사 측면을 고려한 사동사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사동사 45개를 유형①과 유형②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는 사동사로 만들어지는 사동문의 특성과 사동문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문장 층위에서 공통된 특성을 공유하는 사동사끼리 묶어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는 상이한 특성을 지닌 복수의 사동사를 구분하지 않고 한곳에서 제시할 때 발생하는 교수와 학습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주동문을 사동문으로 전환하기 위한 규칙과 원리를 명시적으로 나타내 보일 수 있어 체계적이고 일관된 사동의 교수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사동사의 형태는 물론 사동문의 유형, 사동문의 의미, 사동문의 구조, 사동문의 생성 방법 등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활용하여 사동사 63개를 추출한 뒤, 형태‧통사 측면을 고려한 사동사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사동사 45...

      본 연구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활용하여 사동사 63개를 추출한 뒤, 형태‧통사 측면을 고려한 사동사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사동사 45개를 유형①과 유형②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는 사동사로 만들어지는 사동문의 특성과 사동문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문장 층위에서 공통된 특성을 공유하는 사동사끼리 묶어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는 상이한 특성을 지닌 복수의 사동사를 구분하지 않고 한곳에서 제시할 때 발생하는 교수와 학습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주동문을 사동문으로 전환하기 위한 규칙과 원리를 명시적으로 나타내 보일 수 있어 체계적이고 일관된 사동의 교수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사동사의 형태는 물론 사동문의 유형, 사동문의 의미, 사동문의 구조, 사동문의 생성 방법 등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an by examining sixty-three causative verbs from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From that list, this study proposes forty-five causative verbs as a final verb list and divides them into two types by applying a criteria based on morphology and syntax. This is a grouping of causative verbs that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entence-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usative sentences made by causative verbs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ausative sentences. Through this process, it can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that occur when presenting many causative verb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one place without distinguishing them. Furthermore, the rules and principles for converting judong sentences into causative sentences are clearly seen, so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systematic and consistent. Thus, students wi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forms of causative verbs, the meaning of causative sentences, the structure of causative sentences, and methods of making causative sentences.
      번역하기

      This study began by examining sixty-three causative verbs from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From that list, this study proposes forty-five causative verbs as a final verb list and div...

      This study began by examining sixty-three causative verbs from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From that list, this study proposes forty-five causative verbs as a final verb list and divides them into two types by applying a criteria based on morphology and syntax. This is a grouping of causative verbs that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entence-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usative sentences made by causative verbs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ausative sentences. Through this process, it can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that occur when presenting many causative verb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one place without distinguishing them. Furthermore, the rules and principles for converting judong sentences into causative sentences are clearly seen, so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systematic and consistent. Thus, students wi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forms of causative verbs, the meaning of causative sentences, the structure of causative sentences, and methods of making causative sent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서론
      • 2. 선행 연구 검토
      • 3. ‘표준국어대사전’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활용한 사동사 목록 추출
      • 4. 형태·통사 측면의 기준을 적용한 사동사 목록 선정과 제시
      • 국문 요약
      • 1. 서론
      • 2. 선행 연구 검토
      • 3. ‘표준국어대사전’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활용한 사동사 목록 추출
      • 4. 형태·통사 측면의 기준을 적용한 사동사 목록 선정과 제시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