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개혁: 한ㆍ일간 비교분석 = Government Innovation and Decentralization Reform: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9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참여정부가 출범한 후 설립되었던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라는 기구 명칭으로부터 참여정부의 지방분권개혁 의지와 추진전략을 추론하여 보았다. 지방분권을 정부혁신의 주요한 방안 중의 하나로 설정하였다는 것은 지방분권을 정부혁신에 비견될 만큼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정책적 의지인 동시에 추진전략인 셈이다. 이러한 가정은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따라서 참여정부가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개혁에 대하여 동일하게 취급하는 정책적 비중과 정부혁신을 지방분권 개혁의 전략으로 선택한 점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지방분권을 정부혁신의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정은 매우 적절하였다.
      정부혁신이 지방분권 개혁을 압박할 수 있는 추동력을 갖기 위해서는 정부혁신의 목표가 작고 효율적인 중앙정부의 수립이라는 점은 일본의 사례에서 확인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참여정부의 정부혁신은 지방분권 개혁을 촉발할 방안의 수립에는 미흡하였다고 판단된다. 중앙행정의 슬림화가 글로벌 시대의 추세라는 점에서도 참여정부도 작은 중앙정부를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참여정부가 출범한 후 설립되었던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라는 기구 명칭으로부터 참여정부의 지방분권개혁 의지와 추진전략을 추론하여 보았다. 지방분권을 정부혁신의 주요한 방안 중...

      참여정부가 출범한 후 설립되었던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라는 기구 명칭으로부터 참여정부의 지방분권개혁 의지와 추진전략을 추론하여 보았다. 지방분권을 정부혁신의 주요한 방안 중의 하나로 설정하였다는 것은 지방분권을 정부혁신에 비견될 만큼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정책적 의지인 동시에 추진전략인 셈이다. 이러한 가정은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따라서 참여정부가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개혁에 대하여 동일하게 취급하는 정책적 비중과 정부혁신을 지방분권 개혁의 전략으로 선택한 점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지방분권을 정부혁신의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정은 매우 적절하였다.
      정부혁신이 지방분권 개혁을 압박할 수 있는 추동력을 갖기 위해서는 정부혁신의 목표가 작고 효율적인 중앙정부의 수립이라는 점은 일본의 사례에서 확인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참여정부의 정부혁신은 지방분권 개혁을 촉발할 방안의 수립에는 미흡하였다고 판단된다. 중앙행정의 슬림화가 글로벌 시대의 추세라는 점에서도 참여정부도 작은 중앙정부를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ill and strategy of decentralization reform of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was induced from the title of Presidential Committee on Government Innovation & Decentralization. It is certainly assumed tha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tries to promote decentralization reform as a way to carry out government innovation. Decentralization reform under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is supposed to be promoted as a same extent as government innovation in general.
      As seen in the case of decentralization reform in Japan, the assumption mentioned above is presumably correct. In order to enforce the decentralization reform as a way of government innovation, however, the aim of government innovation ought to be precise,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small government. In this sense, the aim of government innovation of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is not clear enough to enforce a small government. As a resul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clear goal of government innovation in order to carry out decentralization reform effectivel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will and strategy of decentralization reform of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was induced from the title of Presidential Committee on Government Innovation & Decentralization. It is certainly assumed tha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tries to promo...

      The will and strategy of decentralization reform of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was induced from the title of Presidential Committee on Government Innovation & Decentralization. It is certainly assumed tha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tries to promote decentralization reform as a way to carry out government innovation. Decentralization reform under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is supposed to be promoted as a same extent as government innovation in general.
      As seen in the case of decentralization reform in Japan, the assumption mentioned above is presumably correct. In order to enforce the decentralization reform as a way of government innovation, however, the aim of government innovation ought to be precise,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small government. In this sense, the aim of government innovation of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is not clear enough to enforce a small government. As a resul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clear goal of government innovation in order to carry out decentralization reform effectively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의 분석과 연구의 분석 틀
      • Ⅲ. 일본의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개혁
      • Ⅳ. 참여정부의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개혁
      • Ⅴ. 정부혁신과 지방분권의 한ㆍ일 비교분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의 분석과 연구의 분석 틀
      • Ⅲ. 일본의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개혁
      • Ⅳ. 참여정부의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개혁
      • Ⅴ. 정부혁신과 지방분권의 한ㆍ일 비교분석
      • Ⅵ. 정책적 시사점
      • Ⅶ.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우용, "현대행정과 지방자치법" 세종출판사 2002

      2 임도빈, "행정관료조직의 개혁? - 목표설정이 잘 되어야 한다" 105 : 10-12, 2004

      3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행정개혁 로드맵"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c

      4 전기성, "한국형 ‘지방일괄이양법’을 만들자" 7 (7): 49-63, 2004

      5 김순은, "참여정부의 지방분권 추진 계획 의 평가" 7 (7): 113-133, 2003e

      6 소진광, "참여정부의 지방분권 정책기조" 17 (17): 3-40, 2003

      7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로드맵」"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e

      8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의 비전과 추진방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a

      9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 추진 로드맵: 분권형 선진국가의 건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b

      10 하혜수, "차등적 분권제도에 대한 비교연구:영·미·일·북유럽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09-127, 2002

      1 최우용, "현대행정과 지방자치법" 세종출판사 2002

      2 임도빈, "행정관료조직의 개혁? - 목표설정이 잘 되어야 한다" 105 : 10-12, 2004

      3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행정개혁 로드맵"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c

      4 전기성, "한국형 ‘지방일괄이양법’을 만들자" 7 (7): 49-63, 2004

      5 김순은, "참여정부의 지방분권 추진 계획 의 평가" 7 (7): 113-133, 2003e

      6 소진광, "참여정부의 지방분권 정책기조" 17 (17): 3-40, 2003

      7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로드맵」"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e

      8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의 비전과 추진방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a

      9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 추진 로드맵: 분권형 선진국가의 건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b

      10 하혜수, "차등적 분권제도에 대한 비교연구:영·미·일·북유럽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09-127, 2002

      11 유재현, "지방정부의 분권화 논리와 과제" 6 (6): 7-22, 2002

      12 김순은, "지방자치단체의 지방분권 추진전략" 2004a

      13 박혜자., "지방이양과 중앙-지방정부간 사무배분체계의 변화" 13 (13): 125-146, 2003

      14 이환범, "지방분권적 시각에서의 지방중소기업청 조직 통폐합 논의에 대한 평가" 14 (14): 123-148, 2003

      15 김순은, "지방분권의 적정 모형" 도서출판 금정 2003b

      16 김순은, "지방분권과 지방정부의 혁신" 도서출판 금정 2003a

      17 김순은, "지방분권과 제도개혁의 이슈" 2004c

      18 김순은, "지방분권 정책에 대한 평가: 추진 절차 및 과정을 중심으로" 17 (17): 41-72, 2003c

      19 이재은, "지방 살리기 3대 특별법 관련 법령 제;개정 방향" 2004

      20 홍준현, "중앙행정권한의 지방이양 운영체계의 개선방향" 12 (12): 23-46, 2000

      21 정주택, "중앙행정권한 지방이양사업의 개선방안 」" 13 (13): 167-184, 2003

      22 이기우, "중앙정부의 지방분권 추진전략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주최" 2004

      23 홍준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과 기능 재배분" 도서출판 금정 2003

      24 홍준현, "중앙사무의 지방이양에 있어서 차등 이양제도의 도입방향" 13 (13): 5-20, 2001

      25 김동욱, "정부조직 개편 연구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편바른한국 이렇게 만들자" 나남신서 2003

      26 채원호, "전환기 일본의 지방분권개혁 1990년대의 지방분권개혁을 중심으로" 9 (9): 193-217, 2000193-217

      27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재정세제개혁 로드맵"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d

      28 "일본 지방분권의 평가와 시사점" 313-336, 2003d

      29 "일본 지방분권 정책의 집행에 영향을 미친 요인" 7 (7): 7-30, 2004b

      30 소순창, "일본 지방분권 개혁의 과정과 평가 그리고 방향 기관위임사무 제도의 폐지를 중심으로" 6 (6): 251-274, 2002

      31 정덕주, "일본 중앙정부의 지방정부에 대한 관여 관계 변화" 15 (15): 127-144, 2003

      32 김순은, "우리나라 지방분권의 특징과 과제 영국과 일본의 지방분권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12 (12): 57-75, 2001a

      33 김순은, "영국과 일본의 지방분권 비교분석" 101-122, 2001b

      34 이승종, "분권과 균형발전" 17 (17): 73-100, 2003

      35 野上修市,, "行政改革の開幕と行方" 新日本法規 1996

      36 西尾 勝, "未完の分權改革" 岩波書店 1999

      37 毛 桂英., "日本の行政改革" 靑木書林 1997

      38 佐藤英善, "新地方自治の思想: 分權改革の法としくみ" 敬文堂 2002

      39 西尾 勝., "地方自治の具體化方案. 東京市政調査會, 編, 分權改革の新展開に向けて" 日本評論社 2002

      40 辻山幸宣, "地方分權と自治体;連合" 敬文堂. 1995

      41 佐佐木信夫, "地方分權と地方自治」" keisoshobo 1999

      42 高木健二, "分權改革の到達點" 敬文堂 1999

      43 古川俊一, "住民參政制度" ぎょうせい 2003

      44 "今後における行財政改革の基本方向」" 1986

      45 遠藤 乾,., "ポスト主權の政治思想" 思想 945 : 207-228, 2003a

      46 遠藤 乾,, "グローバル時代の 地方 ガバナンス. 山口二朗, 山岐幹根, 遠藤 乾 編, 「グローバル時代の 地方 ガバナンス」." 岩波書店 2003b

      47 김순은, "21세기를 대비한 대도시정치행정 체제의 개혁" 도서출판 금정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