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는 재난관리기관의 다원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수자원의 통합관제, 기후변화 대응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며 물정보 공유 및 분석을 통한 유역단위 통합 연계방법인 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878477
2016
Korean
학술저널
112-115(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재난관리기관의 다원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수자원의 통합관제, 기후변화 대응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며 물정보 공유 및 분석을 통한 유역단위 통합 연계방법인 홍...
본 고는 재난관리기관의 다원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수자원의 통합관제, 기후변화 대응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며 물정보 공유 및 분석을 통한 유역단위 통합 연계방법인 홍수재해통합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K-water는 2011년 이후부터 저비용, 고효율의 홍수재해감시제어 전용툴(Smart TM)을 자체개발・적용하였으며 실시간 수문관측시스템, 홍수모니터링 기준을 수립하여 관리시스템을 체계화 하였다. 또한 유관기관(지자체, 기상청, 홍수통제소 등) 데이터 통합관리 방안을 제시하여 ICT 기반의 과학적인 재난예측 및 선제적 대응체계의 구축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인제군의 구축사례를 통해 홍수재해통합관제시스템을 해당 지자체에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재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홍수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사후복구보다 예방을 강조하여 재난관리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극점 검출기와 상태머신을 이용한 보행자의 보행단계 추정 기법에 대한 연구
영상 소나를 이용한 수중 물체 외형 복원에 관한 기초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