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세계자연유산 관리 체계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World Natural Heritage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3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deduce an implication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World Heritage in Korea which was legislated in February, 2020. To draw an implication, which is regarded as highly valuable for prepar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several case studies were performed focusing on four World Natural Heritage sites in Japan,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enormously crucial for the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and the local government to have a system through which they communicate one another regularly. All the target areas in Japan consist of three national parks and a prefectural park with natural monuments, and the national forest covers a tremendously large proportion of the areas. The Japanese central agencies including Ministry of the Environment, Forestry Agency and Agency for Cultural Affairs hav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a system named Regional Liaison Committee in order to manage the sites effectively. Also, in the case of Japan, de facto administrating agencies involving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tourism association also participate in the regular conferences to communicate. Second, a specific committee consisting of academic advisers is strongly needed. In the case of Japan, Scientific Committee provides academic grounds for the management plan established by the members of Regional Liaison Committee, and an active system which allows the members to organize consultative committees and subcommittees has been established. Scientific Committe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the local government, which tends to manage the world natural heritage in more economically profitable ways, from damaging the environment of the site. The establishment of this type of committee is thought to be extremely desirable because the World Natural Heritage requires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management plans on the ecosystem. Third,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based on continuous monitoring on the environment and detailed action plan is exceedingly needed. To sum up, it is vital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considering environmental aspect, and detailed guidelines, which help execute the plan both properly and effectively, are required for systematic and sustainable manag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s designed to deduce an implication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World Heritage in Korea which was legislated in February, 2020. To draw an implication, which is regarde...

      This study is designed to deduce an implication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World Heritage in Korea which was legislated in February, 2020. To draw an implication, which is regarded as highly valuable for prepar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several case studies were performed focusing on four World Natural Heritage sites in Japan,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enormously crucial for the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and the local government to have a system through which they communicate one another regularly. All the target areas in Japan consist of three national parks and a prefectural park with natural monuments, and the national forest covers a tremendously large proportion of the areas. The Japanese central agencies including Ministry of the Environment, Forestry Agency and Agency for Cultural Affairs hav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a system named Regional Liaison Committee in order to manage the sites effectively. Also, in the case of Japan, de facto administrating agencies involving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tourism association also participate in the regular conferences to communicate. Second, a specific committee consisting of academic advisers is strongly needed. In the case of Japan, Scientific Committee provides academic grounds for the management plan established by the members of Regional Liaison Committee, and an active system which allows the members to organize consultative committees and subcommittees has been established. Scientific Committe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the local government, which tends to manage the world natural heritage in more economically profitable ways, from damaging the environment of the site. The establishment of this type of committee is thought to be extremely desirable because the World Natural Heritage requires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management plans on the ecosystem. Third,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based on continuous monitoring on the environment and detailed action plan is exceedingly needed. To sum up, it is vital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considering environmental aspect, and detailed guidelines, which help execute the plan both properly and effectively, are required for systematic and sustainable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올해 제정된 ‘세계유산의 보전·관리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시도한 연구이다.
      시사점 도출을 위해 일본의 세계자연유산지역 4곳을 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중앙행정부처 및 지자체가 소통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에는 대상지 4곳이 모두국유림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천연기념물이 있고,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도 3곳이었다. 따라서, 관할 부처인 환경성, 임야청 및문화청의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하는 회의를 설치함으로서 서로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세계자연유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NPO, 관광협회 등 실질적인 활동 주체들도 회의에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학술전문가로구성된 위원회의 설치이다. 일본의 경우, 과학위원회는 연락회의의 주체가 관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있다. 특히, 지속적이며 정기적인 위원회 활동과 주제별로 소분과를 설치할 수 있는 등 능동적인 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지자체 등에서는 세계자연유산을 지역활성화 관점에서 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자연유산의 특성상 지속적이며,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생태계 관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도입이 꼭 필요한제도로 생각된다. 셋째, 지속인 모니터링 및 이에 기반한 관리계획의 수립과 구체적인 운영계획의 필요성이다. 일본의 야쿠시마에서등재 이후 등산객의 증가로 인한 환경훼손이 일어났으며, 이 훼손으로 인한 등산객이 감소하는 등의 악순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적 측면과 활용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며, 오가사와라제도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관리계획을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도 마련하는 것이 자연유산의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올해 제정된 ‘세계유산의 보전·관리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시도한 연구이다. 시사점 도출을 위해 일본의 세계자연유산지역 4곳을 사례연�...

      본 연구는 올해 제정된 ‘세계유산의 보전·관리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시도한 연구이다.
      시사점 도출을 위해 일본의 세계자연유산지역 4곳을 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중앙행정부처 및 지자체가 소통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에는 대상지 4곳이 모두국유림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천연기념물이 있고,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도 3곳이었다. 따라서, 관할 부처인 환경성, 임야청 및문화청의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하는 회의를 설치함으로서 서로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세계자연유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NPO, 관광협회 등 실질적인 활동 주체들도 회의에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학술전문가로구성된 위원회의 설치이다. 일본의 경우, 과학위원회는 연락회의의 주체가 관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있다. 특히, 지속적이며 정기적인 위원회 활동과 주제별로 소분과를 설치할 수 있는 등 능동적인 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지자체 등에서는 세계자연유산을 지역활성화 관점에서 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자연유산의 특성상 지속적이며,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생태계 관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도입이 꼭 필요한제도로 생각된다. 셋째, 지속인 모니터링 및 이에 기반한 관리계획의 수립과 구체적인 운영계획의 필요성이다. 일본의 야쿠시마에서등재 이후 등산객의 증가로 인한 환경훼손이 일어났으며, 이 훼손으로 인한 등산객이 감소하는 등의 악순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적 측면과 활용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며, 오가사와라제도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관리계획을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도 마련하는 것이 자연유산의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선, "제주도의 UNESCO 세계자연유산 등재 과정에 대한의제설정 및 규제정치 분석" 한국환경정책학회 26 (26): 147-179, 2018

      2 박희성,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한국전통조경학회 37 (37): 76-84, 2019

      3 조효상, "세계유산협약의 기초개념 연구 :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에 관하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김준, "서남해안 어촌의 갯벌이용형태와 지속가능한 어업 -갯벌세계유산 신청지역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38) : 7-43, 2019

      5 "https://www.rinya.maff.go.jp/j/sin_riyou/sekaiisan/nihon_sekaiisan. html"

      6 "https://www.env.go.jp/park/yakushima/ywhcc/index.htm"

      7 "https://www.env.go.jp/nature/isan/worldheritage/index.html"

      8 "http://whc.unesco.org/"

      9 Hallailbosa,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Jeju volcanic lsland and lava tubes" Hallailbosa 2007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ymposium on Natural Heritage Development"

      1 김효선, "제주도의 UNESCO 세계자연유산 등재 과정에 대한의제설정 및 규제정치 분석" 한국환경정책학회 26 (26): 147-179, 2018

      2 박희성,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한국전통조경학회 37 (37): 76-84, 2019

      3 조효상, "세계유산협약의 기초개념 연구 :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에 관하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김준, "서남해안 어촌의 갯벌이용형태와 지속가능한 어업 -갯벌세계유산 신청지역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38) : 7-43, 2019

      5 "https://www.rinya.maff.go.jp/j/sin_riyou/sekaiisan/nihon_sekaiisan. html"

      6 "https://www.env.go.jp/park/yakushima/ywhcc/index.htm"

      7 "https://www.env.go.jp/nature/isan/worldheritage/index.html"

      8 "http://whc.unesco.org/"

      9 Hallailbosa,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Jeju volcanic lsland and lava tubes" Hallailbosa 2007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ymposium on Natural Heritage Development"

      11 정해준, "A Values of Wonlim as the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 Focusing on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Scenic Site No.34. -" 한국전통조경학회 16 : 14-27, 2018

      12 최종희, "A Study on the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Dodong Seowon, Unesco World Heritage" 한국전통조경학회 17 : 42-48, 2019

      1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Enactment of Natural Heritage Law"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1

      14 World Heritage Headquarter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7-2017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World Heritage Headquarter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