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소・중견기업의 탄소배출 결정요인 : 신용보증 이용기업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of SME and Mid-sized Enterprises : Focusing on Companies Granted Credit Guaranteed Lo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90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탄소배출 정보를 공시한 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탄소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용보증 이용기업이 2017년∼2020년에 공시한 탄소배출 정보를 활용하여, 탄소배출량 및 탄소배출집약도(탄소배출량/매출액)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탄소배출량은 중견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더 많은 데 반해, 탄소배출집약도는 중소기업이 중 견기업보다 높았다. 그 이유는 중소기업이 탄소 비효율적으로 생산활동을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둘째, 탄소배출량은 탄소집약업종에서 높았고,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탄소배출집약도 는 수도권에서 낮았고, 노동숙련도와는 비례적 관계를 보였다. 탄소배출량와 탄소배출집약도 모두 수출기업이 비수출기업보다 낮았고, 연구개발집약도와는 음(-)의 관계를 보이며, 자본집약도 및 광 고비지출비율과는 양(+)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중견기업과 제조업을 대상으로 탄소배출 결정요인에 이질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중 견기업은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탄소배출량이 증가하고, 제조업에서는 매출액순이익률과 현 금비율이 증가할수록 탄소배출집약도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총자산과 제조원가를 기준으로 탄소배출집약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고, 일관된 결과 가 도출되어 본 실증분석 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결과는 탄소배출 결정요인 관련 연구가 거의 없는 국내 실정에서 중소・중견기업의 탄소배 출에 관해 기본적 이해를 돕고, 정부의 탄소배출 저감 정책 추진과 기업 대응전략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탄소배출 정보를 공시한 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탄소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용보증 이용기업이 2017년∼2020...

      본 논문은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탄소배출 정보를 공시한 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탄소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용보증 이용기업이 2017년∼2020년에 공시한 탄소배출 정보를 활용하여, 탄소배출량 및 탄소배출집약도(탄소배출량/매출액)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탄소배출량은 중견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더 많은 데 반해, 탄소배출집약도는 중소기업이 중 견기업보다 높았다. 그 이유는 중소기업이 탄소 비효율적으로 생산활동을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둘째, 탄소배출량은 탄소집약업종에서 높았고,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탄소배출집약도 는 수도권에서 낮았고, 노동숙련도와는 비례적 관계를 보였다. 탄소배출량와 탄소배출집약도 모두 수출기업이 비수출기업보다 낮았고, 연구개발집약도와는 음(-)의 관계를 보이며, 자본집약도 및 광 고비지출비율과는 양(+)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중견기업과 제조업을 대상으로 탄소배출 결정요인에 이질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중 견기업은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탄소배출량이 증가하고, 제조업에서는 매출액순이익률과 현 금비율이 증가할수록 탄소배출집약도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총자산과 제조원가를 기준으로 탄소배출집약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고, 일관된 결과 가 도출되어 본 실증분석 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결과는 탄소배출 결정요인 관련 연구가 거의 없는 국내 실정에서 중소・중견기업의 탄소배 출에 관해 기본적 이해를 돕고, 정부의 탄소배출 저감 정책 추진과 기업 대응전략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MEs and mid-sized enterprises that have disclosed carbon emissions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arbon emissions. Using carbon emissions information disclosed by companies guaranteed Korea Credit Guarantee Fund from 2017 to 2020,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for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carbon emissions intensity (carbon emissions/sales). The main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mid-sized enterprises had more carbon emissions than SMEs, the carbon emission intensity of SMEs was higher than that of mid-sized enterprises. We conclude that SMEs are more likely to carry out production activities in a carbon-inefficient manner. Second, carbon emissions were higher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and are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verage. Carbon emission inten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lower than the others. Empirical result also showed that carbon intensity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labor- skillfulness. Both carbon emissions and carbon emissions intensity were lower for exporting companies than for domestic-oriented companies, and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D intensity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pital intensity and advertising expenditure ratio. Third, we analyzed whether there were heterogeneity in the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for mid-sized companie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In mid-sized companies, carbon emissions increased as net income to sales increased, and in manufacturing sector, carbon emission intensity is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net income to sales and cash ratio.
      Finally, for robustness test, carbon emission intensity was calculated as both carbon emission to total assets and carbon emission to manufacturing costs. We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on carbon intensity are similar to main results.
      The empirical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MEs and mid-sized companies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and insight on the carbon emissions in a realistic situation wher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It is worthwhile to note that this results can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government’s carbon emissions abatement policy and to a company’s response strateg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MEs and mid-sized enterprises that have disclosed carbon emissions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arbon emissions. Using carbon emissions information discl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MEs and mid-sized enterprises that have disclosed carbon emissions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arbon emissions. Using carbon emissions information disclosed by companies guaranteed Korea Credit Guarantee Fund from 2017 to 2020,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for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carbon emissions intensity (carbon emissions/sales). The main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mid-sized enterprises had more carbon emissions than SMEs, the carbon emission intensity of SMEs was higher than that of mid-sized enterprises. We conclude that SMEs are more likely to carry out production activities in a carbon-inefficient manner. Second, carbon emissions were higher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and are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verage. Carbon emission inten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lower than the others. Empirical result also showed that carbon intensity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labor- skillfulness. Both carbon emissions and carbon emissions intensity were lower for exporting companies than for domestic-oriented companies, and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D intensity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pital intensity and advertising expenditure ratio. Third, we analyzed whether there were heterogeneity in the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for mid-sized companie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In mid-sized companies, carbon emissions increased as net income to sales increased, and in manufacturing sector, carbon emission intensity is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net income to sales and cash ratio.
      Finally, for robustness test, carbon emission intensity was calculated as both carbon emission to total assets and carbon emission to manufacturing costs. We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on carbon intensity are similar to main results.
      The empirical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MEs and mid-sized companies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and insight on the carbon emissions in a realistic situation wher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It is worthwhile to note that this results can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government’s carbon emissions abatement policy and to a company’s response strate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 탄소중립 대응 지원방안" 중소벤처기업부 2021

      2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 ESG 애로조사 보고서" 중소기업중앙회 2021

      3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기 탄소중립 대응 동향조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2021

      4 김선화, "정보비대칭이 탄소위험과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신용보증기금 41 (41): 1-24, 2021

      5 박원우, "적정 표본크기(sample size)결정을 위한 제언" 21 : 51-85, 2010

      6 모정윤, "음식료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결정요인 분석: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지식경영연구원 44 (44): 23-33, 2021

      7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 성과분석 및 뉴노멀 시대 보증정책 방향"

      8 "World Bank"

      9 Apergis, 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Carbon Emissions, and R&D Expenditures : Evidence from European Manufacturing Firms" 88 : 57-66, 2013

      10 Ehlers, T., "The Pricing of Carbon Risk in Syndicated Loans : Which Risks are Priced and Why?" 136 : 106180-, 2022

      1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 탄소중립 대응 지원방안" 중소벤처기업부 2021

      2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 ESG 애로조사 보고서" 중소기업중앙회 2021

      3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기 탄소중립 대응 동향조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2021

      4 김선화, "정보비대칭이 탄소위험과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신용보증기금 41 (41): 1-24, 2021

      5 박원우, "적정 표본크기(sample size)결정을 위한 제언" 21 : 51-85, 2010

      6 모정윤, "음식료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결정요인 분석: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지식경영연구원 44 (44): 23-33, 2021

      7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 성과분석 및 뉴노멀 시대 보증정책 방향"

      8 "World Bank"

      9 Apergis, 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Carbon Emissions, and R&D Expenditures : Evidence from European Manufacturing Firms" 88 : 57-66, 2013

      10 Ehlers, T., "The Pricing of Carbon Risk in Syndicated Loans : Which Risks are Priced and Why?" 136 : 106180-, 2022

      11 Cole, M. A.,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of Firms : A Spatial Analysis" 65 : 290-309, 2013

      12 Azar, J., "The Big Three and Corporate Carbon Emissions around the World" 142 : 674-696, 2021

      13 삼일회계법인, "SEC 기후 공시 의무화 규칙안"

      14 Lee, K-H., "Green R&D for Eco-innovation and its Impact on Carbon Emissions and Firm Performance" 108 : 534-542, 2015

      15 EDGAR, "GHG emissions of all world countries-2021 Report" 2022

      16 Barrows, G., "Foreign Demand, Developing Country Exports, and CO2Emissions : Firm-level Evidence from India" 149 : 102587-, 2021

      17 Cao, J., "Firm-level Determinants of Energy and Carbon Intensity in China" 75 : 167-178, 2014

      18 대한상공회의소, "ESG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2021

      19 "EDGAR"

      20 Lee, C-C., "Crossing the Rivers by Feeling the Stones : The Effect of China’s Green Credit Policy on Manufacturing Firms’ Carbon Emission Intensity" 116 : 106413-, 2022

      21 IPCC, "Climate Change 2022: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Working Group Ⅲ Contribution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22

      22 Alam, M. S., "Cash-rich Firms and Carbon Emissions" 81 : 102106-, 2022

      23 Richter, P. M., "CO2 Emission Intensity and Exporting : Evidence from Firm-level Data" 98 : 373-391, 2017

      24 White, H., "A Heteroskedasticity-Consistent Covariance Matrix Estimator and a Direct Test for Heteroskedasticity" 48 (48): 817-838, 1980

      25 중소기업중앙회, "2050년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결과보고서-" 중소기업중앙회 2021

      26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22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1990-2020) 보고서"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