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후반 이래로 한국에서도 환경정의를 새로운 이념 혹은 활동 지침으로 수용하는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환경정의는 환경운동 안에서는 윤리적 지침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후반 이래로 한국에서도 환경정의를 새로운 이념 혹은 활동 지침으로 수용하는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환경정의는 환경운동 안에서는 윤리적 지침으로, ...
1990년대 후반 이래로 한국에서도 환경정의를 새로운 이념 혹은 활동 지침으로 수용하는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환경정의는 환경운동 안에서는 윤리적 지침으로, 학계에서는 그 정의를 둘러싼 담론의 차원에 여전히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정의 담론에 공간성 논의를 접목하도록 지리학적 기여를 탐구하고, 환경정의 운동에 스케일의 정치학에 기초한 실천적 해석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사례로 2012년 1월 밀양에서 발생한 70대 노인의 분신 사건이 만들어낸 파열의 공간에 주목한다. 이 죽음은 한편으로는 송전탑 건설이 내세우는 국책사업의 일방적 추진에 내재한 국가 폭력성이 드러난 사건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송전탑과 대규모 핵발전 단지 사이의 숨겨졌던 연결고리를 가시화시킨 사건이었다. 이후 송전탑에 반대하는 풀뿌리 지역운동은 더 넓은 전국단위 탈핵운동과 절합되어 새로운 차원의 운동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한노인의 죽음 이후 드러난 의미의 공백에서 탈핵 사회를 향한 사회운동이 생성되는 스케일 정치의 역동성을 묘사했다. 지역 주체들의 새로운 의미 구성에의 참여와 시민들 사이의 다른 방식의 윤리적 관계맺음을 통해 의존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관계의 공간이 창출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타자의 윤리학에 기초한 환경정의의 실천적 재정립을 주장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environmental NGOs and researchers accepting the environmental justice(hereafter, EJ)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activities or the new ideal agenda have emerged in South Korea since late 1990s. However, the idea of EJ has been tied up ethical p...
Some environmental NGOs and researchers accepting the environmental justice(hereafter, EJ)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activities or the new ideal agenda have emerged in South Korea since late 1990s. However, the idea of EJ has been tied up ethical principle or initial stage of discourse on defining it among environmental group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of geographical contribution in spatiality of EJ theory and to provide of practical explanation and suggestions in EJ movement. This study pays attention on the self-burning accident of one 70s’ senior, who had resisted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planed to be put on his rice paddy in Miryang, Kyoungsang Province. His death had uncovered the state’s hidden violence conducting forceful process of larger state projects and exposed the linkage between the transmission facilities and intensive nuclear complex. After his death, localized grassroots resistance against building transmission towers has been re-scaling toward national-wide anti-nuclear movement. This study describes the dynamics of scale politics generating social movement toward post-nuclear society, which fills up the blank of social meaning after his death.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ized agents for reconstructing social meanings on their locality and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people and voluntary citizens in new ways could produce various spaces of engagement. Finally, this study insists to establish the practically-oriented EJ discourse based on the ethics of the ot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명래, "환경정의론의 재조명: 담론에서 실천으로" 26 : 28-83, 2000
2 윤순진,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과정"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42, 2006
3 박재묵,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5-114, 2006
4 진위향, "환경·생명운동의 지역화와 사회적 행위자의 역할: 청계산 송전선로 분쟁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3
5 조승수의원실, "한전 송전탑 건설 .이대로 좋은가?" 2009
6 유종영, "한국전기 116년. 그때 그 일들" 304 : 2-7, 2002
7 "프레시안"
8 유정민, "탈핵" 이매진 2011
9 박배균,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616-634, 2009
10 박일형,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4 (24): 57-78, 2011
1 조명래, "환경정의론의 재조명: 담론에서 실천으로" 26 : 28-83, 2000
2 윤순진,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과정"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42, 2006
3 박재묵,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5-114, 2006
4 진위향, "환경·생명운동의 지역화와 사회적 행위자의 역할: 청계산 송전선로 분쟁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3
5 조승수의원실, "한전 송전탑 건설 .이대로 좋은가?" 2009
6 유종영, "한국전기 116년. 그때 그 일들" 304 : 2-7, 2002
7 "프레시안"
8 유정민, "탈핵" 이매진 2011
9 박배균,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616-634, 2009
10 박일형,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4 (24): 57-78, 2011
11 "전력거래소"
12 최병두, "자유주의적 환경론과 환경정의" 대한지리학회 40 (40): 671-693, 2005
13 정현주,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한지리학회 43 (43): 894-913, 2008
14 이유진, "원자력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갈등해소를 위한 과제" 639 : 32-45, 2012
15 "오마이 뉴스"
16 이상헌, "실천적 환경정의론을 위하여" 26 : 48-59, 1997
17 "시사IN"
18 류연택, "스케일의 정치: 한국 주택 정치에서의 지리적 스케일의 사회적·정치적 구성" 대한지리학회 42 (42): 691-709, 2007
19 국민권익위원회, "송전선로 건설사업 개선방안" 2010
20 정현주, "사회운동의 공간성: 사회운동연구에 있어서 지리학적 기여에 대한 탐색" 대한지리학회 41 (41): 470-490, 2006
21 "부산일보"
22 박배균, "발전주의 시기 국책사업을 매개로 한 국가와 지방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923-933, 2012
23 "밀양사랑"
24 "동아일보"
25 "꼬뮤넷 수유너머"
26 박경환, "글로벌, 로컬, 스케일" 5 : 47-85, 2011
27 박배균, "규모의 생산과 정치, 그리고 지구화" 한국공간환경학회 (16) : 200-224, 2001
28 전재경, "국책사업의 친환경성 담보전략" 녹색연합. 2003
29 우주호, "국책사업의 지역 간 갈등과 분쟁, 그리고 극복 대안의 구상" 한국지방정부학회 329-358, 2011
30 이경원, "공공갈등과 공익의 재검토 : 제주해군기지 건설 사례" 비판사회학회 (89) : 298-332, 2011
31 "가톨릭뉴스"
32 양현석, "[TOPIC: 전원설비갈등 ‘비등점’에 왔나] 송전탑 건설 반대 전국연합회 출범" 48-51, 2009
33 Smith, N.,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1984
34 Marston, A.,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ale" 24 : 219-242, 2000
35 Sandweiss, S., "The social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In Environmental injustices. political struggles" Duke University Prress 31-58, 1998
36 Taylor, D., "The rise of the environmental justice paradigm: injustice fram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discourse" 43 (43): 508-580, 2000
37 Delaney, D, "The political construction of scale" 16 (16): 93-97, 1997
38 Brenner, N., "The Limits to Scale? Methodological Reflections on Scalar Structuration" 25 (25): 591-614, 2001
39 Cox, K., "Spaces of dependence, spaces of engagement and the politics of scale, or looking for local politics" 17 (17): 1-23, 1998
40 Kurtz, H., "Scale frames and counter-scale frames: constructing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injustice" 22 : 887-916, 2003
41 Jones, K., "Scale as epistemology" 17 (17): 1-23, 1998
42 Swyngedouw, E., "Excluding the other: the production of scale and scaled politics, In Geographies of Economics" Arnold 167-176, 1997
43 Williams, R., "Environmental injustice in America and its politics of scale" 18 (18): 49-73, 1999
44 Newton, D. E., "Environmental Justice: A Reference Handbook" ABC-CLIO. Inc 1996
45 Agyeman, J., "Environmental Justice. Sustainable Communities and the Challenge of Environmental Justice" New York University Press 14-38, 2005
46 Rhodes, E. L., "Environmental Justice in America: A New Paradigm" Indiana University Press 2003
47 Towers, G., "Applying the political geography of scale: grassroots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justice" 52 (52): 23-36, 2000
왜 국가인가?: 제임스 C. 스콧의 『국가처럼 보기』를 읽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32 | 1.495 | 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