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표출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 = Responses of Fema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Picture-Book Reading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7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N구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4명을 대상으로 19권의 그림책으로 하는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을 주 1회씩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의 반응 양상을 알기 위하여 전사자료, 연구자관찰일지, 이주여성과의 상담 자료, 이주여성의 활동결과물 포트폴리오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 함께 읽기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였으며 자신의 모국 문화에 관해서도 자부심을 가지고 보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을 읽으며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한국어를 학습하게 되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들은 그들이 떠나 온 모국의 가족들과 새로이 형성한 한국의 가족 모두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표출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을 함께 읽는 경험을 통하여 자녀 교육에 많은 도움을 받고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향상됨을 표현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N구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4명을 대상으로 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N구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4명을 대상으로 19권의 그림책으로 하는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을 주 1회씩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의 반응 양상을 알기 위하여 전사자료, 연구자관찰일지, 이주여성과의 상담 자료, 이주여성의 활동결과물 포트폴리오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 함께 읽기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였으며 자신의 모국 문화에 관해서도 자부심을 가지고 보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을 읽으며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한국어를 학습하게 되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들은 그들이 떠나 온 모국의 가족들과 새로이 형성한 한국의 가족 모두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표출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그림책을 함께 읽는 경험을 통하여 자녀 교육에 많은 도움을 받고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향상됨을 표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female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 migrant female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migrant females, observational records, video tapes, interview reports, and portfolio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1) migrant females experienced various cultures without prejudice through multicultural picture-book reading and they represented positive attitude and pride toward their own cultures: (2) migrant females have learned Korean through a lot more intere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3) migrant females represented affection towards their families both in their own country and in Korea. (4) migrant females attained meaningful help to teach their children and they expressed their feeling of effectiveness as par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female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 migrant female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migrant females, observational records, video tapes,...

      This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female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 migrant female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migrant females, observational records, video tapes, interview reports, and portfolio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1) migrant females experienced various cultures without prejudice through multicultural picture-book reading and they represented positive attitude and pride toward their own cultures: (2) migrant females have learned Korean through a lot more intere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3) migrant females represented affection towards their families both in their own country and in Korea. (4) migrant females attained meaningful help to teach their children and they expressed their feeling of effectiveness as par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 요인 연구" 카톨릭대 2006

      3 이영옥, "이주 여성을 위한 생활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배제대 2006

      4 장영희,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개념 및 교수 방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 35 : 196-315, 1996

      5 김영옥,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6 (6): 1-38, 2002

      6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8 (8): 299-339, 2005

      7 전만길, "외국인 주부의 바람직한 한국생활 정착을 위한 연구: 생활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2005

      8 김현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17-128, 2008

      9 이언숙,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 2008

      10 현은자,윤현민, "세계화 시대의 교육과 어린이문학: 그림책을 중심으로" 29-61, 2007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 요인 연구" 카톨릭대 2006

      3 이영옥, "이주 여성을 위한 생활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배제대 2006

      4 장영희,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개념 및 교수 방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 35 : 196-315, 1996

      5 김영옥,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6 (6): 1-38, 2002

      6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8 (8): 299-339, 2005

      7 전만길, "외국인 주부의 바람직한 한국생활 정착을 위한 연구: 생활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2005

      8 김현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17-128, 2008

      9 이언숙,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 2008

      10 현은자,윤현민, "세계화 시대의 교육과 어린이문학: 그림책을 중심으로" 29-61, 2007

      11 정영근, "세계화 시대의 교육과 어린이 문학: 그림책을 중심으로" 29-66, 2007

      12 김상임, "상담사례를 통해 본 한국 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17-48, 2004

      13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14 진미경,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아동의 애착 표상과 아동이 인식한 양육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1 (11): 43-54, 2008

      15 김정원,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3 (13): 5-26, 2009

      16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 인간학연구소 12 (12): 57-92, 2007

      17 이경하,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적응교육 방안 모색 : 반성적 그림책 읽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141-162, 2008

      18 이경하,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이야기 구조 개념과 언어능력의 변화를 위한 반성적 그림책 읽기활동의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7-32, 2009

      19 서정숙, "그림책으로 하는 유아문학교육" 창지사 2005

      20 장수정, "국제이주여성을 위한 어휘교제 개발연구" 상명대 2006

      21 왕한석,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언어 및 문화 적응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005

      22 방성원, "국제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65-293, 2008

      23 이은주,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초급 한국어교재 단원 내용 구성 방안: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선문대 2006

      24 Rosenblatt, L. M.,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the transactional theory of the literary work" Carbondaile, Ⅱ: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78

      25 Mo, W., "Reexamining the issue of authenticity in picture books" 28 (28): 85-93, 1997

      26 Steiner, S. F., "Promoting a Global Community through Multicultural Children's Literature" Libraries Unlimited 2001

      27 Lincoln,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28 Rosenblatt, L. M., "Literature-S. O. S" 68 (68): 44-448, 1991

      29 Guzzetti, B. J., "Literacy for the new millennium, Vol.4: Adult literacy, Praeger perspectives, (ED498285)" 2007

      30 Crawford, L., "Language and literacy in multicultural classrooms" Allyn and Bacon 1993

      31 Menard-Warwick, J., "Intergenerational trajectories and sociopolitical context: Latina immigrants in adult ESL" 39 (39): 165-185, 2005

      32 Hohn, M. D., "Immigrant education: Don't forget the 1.4 million global assets in New England's backyard" 21 (21): 25-27, 2006

      33 Morales, B., "Identity issues in building an ESL community: The Puerto Rican Experience" 121 : 45-53, 2009

      34 Lim, Y. S., "Facilitating first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Korean children through parent training in picture book interaction" 26 (26): 367-81, 2002

      35 Zarrillo, J., "Efferent and aesthetic teaching In: Stance and literary understanding: exploring the theories, research and practice" Ablex 239-245, 1992

      36 Nakazawa, D. J., "Does anybody else look like me? A parent's guide to raising multiracial children. (ED477138)" 2003

      37 통계청, "2008년 혼인통계 결과" 2008

      38 김진영, "(영유아를 위한) 부모 교육" 창지사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