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등학교 자영농과 학생들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교육기관에서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5493318
2007
Korean
520.7
KCI등재
학술저널
1-33(3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등학교 자영농과 학생들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교육기관에서 개�...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등학교 자영농과 학생들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교육기관에서 개설·운영하고 있는 농업경영능력 관련 교과목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였고, 전문교과 교사와 농업경영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는 농업경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이 부족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자영농과들은 농업경영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의 이수 단위 수가 매우 부족하였다. 셋째, 농업교육기관 중 한국농업전문학교, 한국농업벤처대학,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유통교육원은 농업경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다양한 교과목이나 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있었다. 넷째, 전문교과 교사들과 농업경영인 대부분은 농업경영능력 관련 교육내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 경영 개론, 농업 경제, 농업 경영 계획 및 진단, 농산물 유통, 농업 마케팅, 농업 재무 관리 등의 6개 교과목 및 교육내용, 교과목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 의해 개발된 교과목들은 자영농과 학생들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나,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전문 농업경영인에게 필요한 마인드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실제 학교 현장에서 농업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을 편성·운영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담당 교과를 가르칠 농업 교사들에게 농업경영능력 관련 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각종 소프트웨어와 실험·실습실, 기자재 확보를 위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자영농과 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농업경영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지원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AMA in the SMAD student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ized the subjects and contents related AMA, opened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AMA in the SMAD student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ized the subjects and contents related AMA, opened and operated in agricultural education agency,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experted-teacher and agricultural manager, and held the expert-conferenc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hich can improve AMA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re not enough. Second, subject credits are very small for the improvement of the AMA in most schools. Third, the curriculum of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Korea National Venture College and Agricultural Marketing Training Institute operates the subjects and the curriculum emphasizing on AMA. Fifth, subjects such as agricultural management introduction, agricultural economics, agricultural management planning and checking,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agricultural marketing, agricultural financial management were developed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ose subjects were provided, these subjects will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AMA.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rong need for developing new programs for the students dreaming of future self-management farmers to be expert mangers. Second, there is also a need for developing subjects for the improvement of AMA 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also. Third,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subjects and diverse texts. Fourth, need of those related subjects agricultural teachers shoud be retrained for the improvement of AMA. Fifth, there is a need for the financial support for organizing many programs and improving the facilities for experiments, purchase of machinery. Sixth, there is need for the teaching and supporting system for the consistent improvement of the AMA after gradu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식기반경제사회에 대비한 지식농업 추진방향" 경기: 농림부 2000
2 "제7차 교육과정 정신을 구현하는 농업계 교육과정 편성 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한국농업교육협회 63-95, 2001
3 "이제는 경영이다" 한국농어민신문 2004
4 "유통 실무 공직자 과정" 농수산물유통공사 유통교육원 2005
5 "영암지역 농업인 농산물 마케팅 교육" 농수산물유통공사 유통교육원 2005
6 "생산농업인력의 육성과 발전 과제" 한국농업교육학회 53-79, 2003
7 "사회변화에 따른 농업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 3-25, 2001
8 "농업인후계자전업농가 경영실태 조사보고서" 경기:농림부농촌진흥청 1998
9 "농업인력 확보 및 육성방안 연구" 농림부 농업정책 과제 2001
10 "농업인력 육성을 위한 농업계 고등학교와 고등농업교육기관간의 연계 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 35 (35): 15-32, 2003
1 "지식기반경제사회에 대비한 지식농업 추진방향" 경기: 농림부 2000
2 "제7차 교육과정 정신을 구현하는 농업계 교육과정 편성 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한국농업교육협회 63-95, 2001
3 "이제는 경영이다" 한국농어민신문 2004
4 "유통 실무 공직자 과정" 농수산물유통공사 유통교육원 2005
5 "영암지역 농업인 농산물 마케팅 교육" 농수산물유통공사 유통교육원 2005
6 "생산농업인력의 육성과 발전 과제" 한국농업교육학회 53-79, 2003
7 "사회변화에 따른 농업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 3-25, 2001
8 "농업인후계자전업농가 경영실태 조사보고서" 경기:농림부농촌진흥청 1998
9 "농업인력 확보 및 육성방안 연구" 농림부 농업정책 과제 2001
10 "농업인력 육성을 위한 농업계 고등학교와 고등농업교육기관간의 연계 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 35 (35): 15-32, 2003
11 "농업계 고교생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향상을 위한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 한국농업교육학회 34 (34): 25-42, 2002
12 "농업 경제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9
13 "농업 경제학"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9
14 "농업 경영학의 이해" 삼경문화사 1999
15 "농업 경영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0
16 "농업 경영학" 선진문화사 1999
17 "농업 경영 혁신의 길" 농업경영교육교재 1998
18 "농산물 품질 관리 공직자 과정" 농수산물유통공사 유통교육원 2005
19 "농산물 유통론" 선진문화사 1997
20 "농산물 브랜드 마케팅 과정" 농수산물유통공사 유통교육원 2005
21 "농산물 가격론" 선진문화사 1996
22 "농림주요통계" 농림부 각년도
23 "농고교사 유통 연수 과정" 농수산물유통공사 유통교육원 2005
24 "농가경영 컨설팅 교육 교재" 경기도농업기술원 2000
25 "교육훈련계획" 농림부 농업연수원 2006
26 "고등학교 농업 경영" 교학사 2003
27 "고등학교 농산물 유통" 교학사 2003
28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Ⅱ)" (1997-15) : 1997
29 "21세기 농업농촌의 좌표와 정책과제" 서울: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6
30 "21C 지식기반 농업을 위한 농업인력 육성 방안" 2002
31 "21C 신지식 농업인화 방안 및 교육훈련 연구" 서울:농림부 200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12-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영문명 : 미등록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5-03-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35 | 1.587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