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영방송 사장 해임을 둘러싼 법적 쟁점과 제언 —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 Legal Issues and Proposals about the Dismissal of The President of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 Focused on Precedent Analys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6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social system, public broadcasting has a heavy public responsibility. The head of public broadcasting is in a position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front line of public responsibility. However, KBS has experienced a lot of confusion in the past 10 years, with only one president who has properly completed his three years in office. The current public broadcasting legislation creates a lot of social controversy because it has no provisions for the dismissal of the pres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dismissal of the president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precedents of three dismissed KBS presidents.
      As a result of precedent analysis, Korean courts tended to recognize the president's right to dismiss KBS president as a reason for dismissal by applying strict standards on dismissal reasons directly related to broadcasting independence, fairness and public responsibility of public broadcasting. The court deemed possible dismissal if the president of KBS had inadequate financial management. However, in recognition of the reason for dismissal, the judgment wa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anagement deterioration, self-reliance as a president, and the existence of errors in management judgment.
      Nevertheless, it remains a problem that there are no regulations on dismissal of KBS president in current public broadcasting legis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pecial majority, formalization of dismissal procedure, and the minimum reason for dismissal through public legal review and social discussion.
      번역하기

      As a social system, public broadcasting has a heavy public responsibility. The head of public broadcasting is in a position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front line of public responsibility. However, KBS has experienced a lot of confusion in ...

      As a social system, public broadcasting has a heavy public responsibility. The head of public broadcasting is in a position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front line of public responsibility. However, KBS has experienced a lot of confusion in the past 10 years, with only one president who has properly completed his three years in office. The current public broadcasting legislation creates a lot of social controversy because it has no provisions for the dismissal of the pres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dismissal of the president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precedents of three dismissed KBS presidents.
      As a result of precedent analysis, Korean courts tended to recognize the president's right to dismiss KBS president as a reason for dismissal by applying strict standards on dismissal reasons directly related to broadcasting independence, fairness and public responsibility of public broadcasting. The court deemed possible dismissal if the president of KBS had inadequate financial management. However, in recognition of the reason for dismissal, the judgment wa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anagement deterioration, self-reliance as a president, and the existence of errors in management judgment.
      Nevertheless, it remains a problem that there are no regulations on dismissal of KBS president in current public broadcasting legis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pecial majority, formalization of dismissal procedure, and the minimum reason for dismissal through public legal review and social discu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제도로서 공영방송은 막중한 공적 책무를 지고 있다. 공영방송의 수장은 이러한 공적 책무 실현의 최일선에서 가장 막중한 역할을 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KBS의 경우 지난 10년 동안 임기 3년을 제대로 마친 사장이 한 명에 불과할 정도로 많은 혼란을 겪었다. 현행 공영방송 관련 법령은 KBS 사장의 해임에 대한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음으로서 많은 사회적 논란을 낳고 있다. 이 연구는 해임된 KBS 사장 3명에 대한 해임무효 소송, 해임취소 소송에 대한 판례를 분석함으로서 공영방송의 사장 해임에 관련된 법적 쟁점을 살펴보고 제도적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판례 분석 결과, 우리 법원은 KBS 사장에 대한 대통령의 해임권을 인정하고 방송의 독립성과 공정성, 공영방송의 공적 책무와 직결된 해임사유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책임을 물어 해임사유로 인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법원은 적자경영 등 재원운영의 실패와 같은 경영과 관련된 해임사유에 대해서는 KBS 사장이 재원 운영을 부실하게 하였다면 해임이 가능하다고 보면서도 해임사유로 인정하는데 있어서는 ①경영악화에 대한 구조적, 환경적인 요인 ②사장으로서의 자구노력 ③경영판단의 오류의 존재 등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법원은 어떠한 사유가 해임사유에 해당하는지는 방송법의 입법취지, 공사의 설립 취지, KBS 사장의 임기제, 공적 기능의 장해를 초래한 경위 및 공적기능 훼손의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공영방송 관련 법제에 KBS 사장에 대한 아무런 해임 관련 규정이 없다는 점은 큰 문제로 남아 있다. 따라서 공영방송 사장 해임제청시 특별다수제 도입, 해임절차의 공식화, 최소한의 해임사유를 명시하는 방안을 충분한 법률적 검토와 사회적 논의를 통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사회적 제도로서 공영방송은 막중한 공적 책무를 지고 있다. 공영방송의 수장은 이러한 공적 책무 실현의 최일선에서 가장 막중한 역할을 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KBS의 경우 지난 10...

      사회적 제도로서 공영방송은 막중한 공적 책무를 지고 있다. 공영방송의 수장은 이러한 공적 책무 실현의 최일선에서 가장 막중한 역할을 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KBS의 경우 지난 10년 동안 임기 3년을 제대로 마친 사장이 한 명에 불과할 정도로 많은 혼란을 겪었다. 현행 공영방송 관련 법령은 KBS 사장의 해임에 대한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음으로서 많은 사회적 논란을 낳고 있다. 이 연구는 해임된 KBS 사장 3명에 대한 해임무효 소송, 해임취소 소송에 대한 판례를 분석함으로서 공영방송의 사장 해임에 관련된 법적 쟁점을 살펴보고 제도적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판례 분석 결과, 우리 법원은 KBS 사장에 대한 대통령의 해임권을 인정하고 방송의 독립성과 공정성, 공영방송의 공적 책무와 직결된 해임사유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책임을 물어 해임사유로 인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법원은 적자경영 등 재원운영의 실패와 같은 경영과 관련된 해임사유에 대해서는 KBS 사장이 재원 운영을 부실하게 하였다면 해임이 가능하다고 보면서도 해임사유로 인정하는데 있어서는 ①경영악화에 대한 구조적, 환경적인 요인 ②사장으로서의 자구노력 ③경영판단의 오류의 존재 등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법원은 어떠한 사유가 해임사유에 해당하는지는 방송법의 입법취지, 공사의 설립 취지, KBS 사장의 임기제, 공적 기능의 장해를 초래한 경위 및 공적기능 훼손의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공영방송 관련 법제에 KBS 사장에 대한 아무런 해임 관련 규정이 없다는 점은 큰 문제로 남아 있다. 따라서 공영방송 사장 해임제청시 특별다수제 도입, 해임절차의 공식화, 최소한의 해임사유를 명시하는 방안을 충분한 법률적 검토와 사회적 논의를 통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형철, "한국사회 공영방송의 존립 의의와 과제: ‘공영방송 정상화’ 이후의 정상화" 언론정보연구소 55 (55): 5-55, 2018

      2 오형일, "한국 공영방송이 추구하는 공익 이념과 실제공영방송 법제도 및 KBS 편성목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87) : 107-146, 2014

      3 이진로, "한국 공영방송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 초기 한국방송공사(KBS) 사장 선임 과정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4 (4): 177-208, 2004

      4 조항제, "한국 공영방송 노동조합의 독립성 투쟁: 반후견주의와 전문직주의 노조주의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112-168, 2018

      5 이창근, "주권재민 원칙을 구현하는 공영방송사의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탐색" (주)에스비에스 7 (7): 149-200, 2009

      6 장병희, "자원기준관점(Resource-based View)을 적용한 영국, 독일, 일본의 공영방송 지배구조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502-543, 2010

      7 정용준, "우파 정부의 공영방송 통제 비교분석: 대처와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1 (41): 55-74, 2017

      8 최영묵,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확보를 위한 미디어 정책 방향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6 (46): 590-626, 2009

      9 조소영, "방송법 개정 관련 법안들에 대한 법적 검토 — 한국방송공사의 공적 책임 및 지배구조 개선내용을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8 (18): 37-70, 2019

      10 정영주, "방송 자유의 성격과 주체, 구현 방안에 대한 법원의 인식 분석" 방송문화진흥회 19 (19): 5-48, 2018

      1 강형철, "한국사회 공영방송의 존립 의의와 과제: ‘공영방송 정상화’ 이후의 정상화" 언론정보연구소 55 (55): 5-55, 2018

      2 오형일, "한국 공영방송이 추구하는 공익 이념과 실제공영방송 법제도 및 KBS 편성목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87) : 107-146, 2014

      3 이진로, "한국 공영방송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 초기 한국방송공사(KBS) 사장 선임 과정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4 (4): 177-208, 2004

      4 조항제, "한국 공영방송 노동조합의 독립성 투쟁: 반후견주의와 전문직주의 노조주의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112-168, 2018

      5 이창근, "주권재민 원칙을 구현하는 공영방송사의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탐색" (주)에스비에스 7 (7): 149-200, 2009

      6 장병희, "자원기준관점(Resource-based View)을 적용한 영국, 독일, 일본의 공영방송 지배구조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502-543, 2010

      7 정용준, "우파 정부의 공영방송 통제 비교분석: 대처와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1 (41): 55-74, 2017

      8 최영묵,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확보를 위한 미디어 정책 방향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6 (46): 590-626, 2009

      9 조소영, "방송법 개정 관련 법안들에 대한 법적 검토 — 한국방송공사의 공적 책임 및 지배구조 개선내용을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8 (18): 37-70, 2019

      10 정영주, "방송 자유의 성격과 주체, 구현 방안에 대한 법원의 인식 분석" 방송문화진흥회 19 (19): 5-48, 2018

      11 강형철, "방송 공익 개념과 공영방송의 수용 : 조선방송협회에서 한국방송공사까지" 한국방송공사 23 (23): 7-40, 2011

      12 임정하, "대표이사 해임의 법적 쟁점" 한국기업법학회 29 (29): 77-115, 2015

      13 김동국, "대통령의 한국방송공사 사장 해임사건을 통하여 본 법령의 해석방법과 절차적 사법통제" 한국행정판례연구회 18 (18): 53-85, 2013

      14 김민정,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확보를 위한 입법 과제 고찰: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법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9 (9): 427-451, 2017

      15 최종선, "공영방송 지배구조의 법률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암법학회 (53) : 105-139, 2017

      16 정영주, "공영방송 제도 정립을 위한 현행 방송법의 한계와 입법 과제 고찰 -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4 (14): 329-364, 2015

      17 이준웅, "공영방송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배구조 개선방안" 한국방송공사 29 (29): 73-120, 2017

      18 최선욱, "공영방송 사장의 해임 뉴스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52 (52): 69-89, 2010

      19 유승원, "공기업의 임원교체와 중도퇴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34 (34): 95-131, 2012

      20 김상유, "경쟁적 정치와 후견주의가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61 (61): 7-36, 2017

      21 김경환, "각 국 공영방송 사장 선임제도의 특징" (424) : 48-51, 2014

      22 이승선, "‘공정방송’ 파업의 정당성 여부와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의 범위" (사)한국언론법학회 17 (17): 85-125, 2018

      23 최은희, "KBS 보도 및 편성 책임 주체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87-19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