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절제형과 대치형 인공 슬관절의 단기 추시 결과 = Short-term Results of Posterior Cruciate Sacrificing and Substitution Total Knee Arthropl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48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후방십자인대 절제형과 후방십자인대 대치형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으로 가동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후방십자인대 절제형과 후방십자인대 대치형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으로 가동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53명(66예)의 환자 중 후방십자인대 절제형을 시행한 27명(30예), 대치형을 시행한 31명(36예)을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는 절제형 33점에서 81.9점, 대치형 35점에서 86.6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관절운동 범위는 절제형이 수술 전 평군 후속 굴곡 104.5o˚에서 최종 추시 시 113.9˚로 대치형이 104.7˚에서 114.7˚로 각각 양 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최종 추시 시 방사선 평가에서는 절제형이 α각 98.9˚, β각 89.9˚, γ각 5.0˚, δ각 39.2˚ 였고 대치형이 α각 95.6˚, β각 89.0˚, γ각 9.0˚, δ각 88.4˚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두 군 모두에서 해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합병증으로 절제형에서 폴리에틸렌삽입물 탈구 1예(1.5%), 후방십자인대 대치형에서 인공삽입물 주위 골절 1예(1.5%)가 조사되었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절제형 및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2년에서 4.5년 추시한 결과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compar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posterior cruciate sacrificing (PCS) and posterior cruciate substitution (PS). Materials and Methods: Of 66 knees in 53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

      Purpose: To compar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posterior cruciate sacrificing (PCS) and posterior cruciate substitution (PS). Materials and Methods: Of 66 knees in 53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we completed both pract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for 27 patients with PCS TKA (30 knees) and 31 patients with PS TKA (36 knees). Results: The knee score improved from 33 to 81.9 for PCS TKA and from 35 to 86.6 for PS TKA. Preoperative flexion was 104.5˚ in the PCS TKA group and 104.7˚ in the PS TKA group. These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to 113.9˚ and 104.7˚ respectively (p<0.05 for each).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comparing postoperative results and improvements (p>0.05). On radiological evaluation, the α angle was found to be 98.9˚, the β angle 89.9˚, the γ angle 5.0˚, and the δ angle 39.2˚ for PCS TKA. Also, the α angle was 95.6˚, β angle 89.0˚, γ angle 9.0˚, and δ angle 88.4˚ for PS TKA (p>0.05). Loosening was not encountered in either typ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few; there was 1 knee (1.5%) with a polyethylene insert spin-out for the PCS TKA group and 1 knee (1.5%) with a periprosthetic fracture for the PS TKA group. Conclusion: On both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PCS TKA and PS TKA demonstrated satisfactory results out to 4.5 years of follow up, which also indicated a lack of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yp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