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개양귀비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1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종의 개양귀비(PRA, PRS)를 전초, 잎, 열매로 나누고 50% 주정으로 추출하여 각각의 시료를 DPPH 또는 ABTS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인간 간암세포인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ROS 억...

      본 연구에서는 2종의 개양귀비(PRA, PRS)를 전초, 잎, 열매로 나누고 50% 주정으로 추출하여 각각의 시료를 DPPH 또는 ABTS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인간 간암세포인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ROS 억제 활성 및 항산화 효소활성을 조사하였다. 개양귀비 부위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화합물은 2종 모두 잎과 열매 추출물이 전초 추출물보다 함량이 높았다. DPPH와 ABTS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도 잎, 열매, 전초 순으로 높았다. 모든 개양귀비 추출물은 H₂O₂로 자극한 HepG2 세포의 생존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그중에서 잎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HepG2 세포 내 ROS 소거 활성과 항산화 효소 중 SOD, CAT의 활성이 모든 추출물에서 증가했지만 잎 추출물을 전처리했을 때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2종의 개양귀비 추출물 모두 잎 추출물에서 라디칼 소거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개양귀비잎에 함유된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2종의 개양귀비 추출물 중 PRR이 PRP보다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2종의 개양귀비 중 PRR을 천연 생리활성물질로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two Papaver rhoeas L. (PR; PRP (pink flower PR), PRR (red flower PR)) on hydrogen peroxide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Different parts (whole, leaf, and fruit) of PRP and PR...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two Papaver rhoeas L. (PR; PRP (pink flower PR), PRR (red flower PR)) on hydrogen peroxide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Different parts (whole, leaf, and fruit) of PRP and PRR were extracted with 50% ethanol.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extracts were evaluated for cellular anti-oxidation and protection from the cell viability,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The PR leaf and fruit extracts contained high amounts of bio-active compounds, such as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The DPPH and ABTS results reveale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following order: leaf, fruit, and whole plant. The pretreatment with all the PR extracts increased the viability,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₂O₂-treated HepG2 cells. In particular,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using the leaf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50% ethanol extracts of PR could be used as functional food sour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용, "칠면초 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48): 40-48, 2019

      2 Ga Hee Kim, "진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통한 인체 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 한국생명과학회 23 (23): 1057-1063, 2013

      3 하대식, "지질 괴산화에 대한 전통약용 식물의 항산화 효과" 대한수의학회 45 (45): 341-350, 2005

      4 김동규, "쇠비름 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98-106, 2018

      5 황정승, "삼채의 잎, 인경, 뿌리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 한국식품과학회 47 (47): 261-266, 2015

      6 최선영, "몇 가지 장미꽃 품종의 기능 성분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48): 494-500, 2019

      7 이규옥, "멀꿀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아세트아미노펜 독성 모델에서의 간 보호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8 (28): 708-717, 2018

      8 Lambert AJ,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by mitochondria" 554 : 165-181, 2009

      9 Ishikawa K, "ROS-generating mitochondrial DNA mutations can regulate tumor cell metastasis" 320 : 661-664, 2008

      10 Baek JP,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stenocephala and Asparagus officinalis producted in Yanggu, Gangwon province" 26 : 42-49, 2014

      1 김인용, "칠면초 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48): 40-48, 2019

      2 Ga Hee Kim, "진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통한 인체 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 한국생명과학회 23 (23): 1057-1063, 2013

      3 하대식, "지질 괴산화에 대한 전통약용 식물의 항산화 효과" 대한수의학회 45 (45): 341-350, 2005

      4 김동규, "쇠비름 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98-106, 2018

      5 황정승, "삼채의 잎, 인경, 뿌리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 한국식품과학회 47 (47): 261-266, 2015

      6 최선영, "몇 가지 장미꽃 품종의 기능 성분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48): 494-500, 2019

      7 이규옥, "멀꿀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아세트아미노펜 독성 모델에서의 간 보호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8 (28): 708-717, 2018

      8 Lambert AJ,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by mitochondria" 554 : 165-181, 2009

      9 Ishikawa K, "ROS-generating mitochondrial DNA mutations can regulate tumor cell metastasis" 320 : 661-664, 2008

      10 Baek JP,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stenocephala and Asparagus officinalis producted in Yanggu, Gangwon province" 26 : 42-49, 2014

      11 Zhuang Y, "Protective effects of rambutan (Nephelium lappaceum) peel phenolics on H2O2-induced oxidative damages in HepG2 cells and D-galactose-induced aging mice" 108 : 554-562, 2017

      12 Vardi N, "Potent protective effect of apricot and β-carotene on methotrexate-induced intestinal oxidative damage in rats" 46 : 3015-3022, 2008

      13 Gupta VK, "Plants as natural antioxidants" 5 : 326-334, 2006

      14 Kostic DA, "Phenolic contents, antioxidant and antimicobial activity of Papaver rhoeas L. extracts from southeast Serbia" 4 : 1727-1732, 2010

      15 Cichoż-Lach H, "Oxidative stress as a crucial factor in liver diseases" 20 : 8082-8091, 2014

      16 Gupta RK,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disease and cancer: a review" 15 : 4405-4409, 2014

      17 Trichopoulou A, "Nutritional composition and flavonoid content of edible wild greens and green pies: a potential rich source of antioxidant nutrients in the mediterranean diet" 70 : 319-323, 2000

      18 Bondi M, "Natural preservation to improve food quality and safety" 2017

      19 Kati V, "Isol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11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in Papaver rhoeas L. (corn poppy), a major annual plant species from cultivated areas" 14 : 470-479, 2013

      20 Oh JH, "Identification and metabolite profiling of alkaloids in aerial parts of Papaver rhoeas by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quadrupole time-of-flight tandem mass spectrometry" 41 : 2517-2527, 2018

      21 Mlcek J, "Fresh edible flowers of ornamental plants-A new source of nutraceutical foods" 22 : 561-569, 2011

      22 Orr WC, "Extension of life-span by over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Drosophila melanogaster" 263 : 1128-1130, 1994

      23 Steiling H, "Different types of ROS-scavenging enzymes are expressed during cutaneous wound repair" 247 : 484-494, 1999

      24 Kang KA, "Cytoprotective effect of phloroglucinol on oxidative stress induced cell damage via catalase activation" 97 : 609-620, 2006

      25 Grauso L, "Corn poppy, Papaver rhoeas L.: a critical review of its botan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2020

      26 Mitich LW, "Corn poppy (Papaver rhoeas L.)" 14 : 826-829, 2000

      27 Kim M,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sprout extracts and their regulation of inflammatory activity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8 : 246-256, 2020

      28 Soulimani R, "Behavioral and pharmaco-toxicological study of Papaver rhoeas L. in mice" 74 : 265-274, 2001

      29 Montefusco A, "Antioxidants in varieties of chicory (Cichorium intybus L.) and wild poppy (Papaver rhoeas L.) of southern Italy" 2015

      30 Schaffer S, "Antioxidant properties of mediterranean food plant extracts: geographical differences" 56 : 115-124, 2005

      31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2 Shanmugam Parthasarathi,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White Ginsengs in H2O2-Treated HepG2 Cells" 한국생약학회 21 (21): 210-218, 2015

      33 Isbilir SS, "An assessment o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extracts from Papaver rhoeas L. leaves" 15 : 1300-1308, 2012

      34 윤보라, "3T3-L1 지방세포내 ROS 생성에 대한 천년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443-45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