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Hill의 인지-체험적 꿈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집단 상담에 참가한 사람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잘 된 요인과 그렇지 않은 요인은 무엇인지,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본 연구의 목적은 Hill의 인지-체험적 꿈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집단 상담에 참가한 사람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잘 된 요인과 그렇지 않은 요인은 무엇인지,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Ⅰ에서는, 우선 꿈에 대한 태도 척도(ATD-R)의 한국 버전을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그리고 아주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14명의 대학생이 총 6회기의 집단 상담에 참가한 후 인터뷰를 받았으며, 이 자료를 근거로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꿈에 대한 태도가 꿈 해석 집단 참가 이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통찰을 얻었고, 정서 및 행동 변화 등을 보고하였다. 꿈 작업이 잘 된 요인은 집단의 적극적이며 지지적인 분위기, 다양한 시각 제공 등이었으며, 잘 안 된 요인은 시간의 제한, 단정적 해석 등이었다. 집단상담자의 도움을 준 요인은 꿈 해석의 맥락과 방향 제시, 새로운 관점, 적절한 해석, 공감, 지지 제공 및 탐색 촉진을 위한 질문 및 피드백이었다. 꿈 사용의 이점은 수월한 자기 개방과, 문제에 깊이 있는 접근을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연구Ⅱ에서는 연구Ⅰ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꿈 해석 집단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20명의 아주대학교 대학생들에 대해, 실험 집단에 10명, 통제 집단에 10명을 배치하여 양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꿈에 대한 태도(ATD-R)’, ‘대인관계 지지 평가(ISEL)’, ‘대인관계 패턴에서의 자기이해(SUIP)’에서 사전-사후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자존감과 정신건강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Hill 모델을 국내의 대학생 집단 상담에 적용한 최초의 연구로서, Hill 모델을 통해 상담자들이 쉽게 꿈 해석에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발적이고 꿈 해석에 동기화되어 있는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상담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